2019_12_섬서(陝西)1_화청궁5_박물관4
# 방전(方磚)_네모 벽돌
◆ 십육판단예방전(十六瓣單蕊方磚)_1개의 꽃술에 16개 꽃잎이 있는 네모 벽돌
- 당대
- 화청궁 유지
◆ 십육판칠예방전(十六瓣七蕊方磚)_7개의 꽃술에 16개 꽃잎이 있는 네모 벽돌
- 당대
- 화청궁 유지
◆ 통와(筒瓦)_죽통 모양 기와
- 당대
- 화청궁 유지
# 회도치미(灰陶鴟尾)
* 鴟尾: 우리 말로는 '망새'라고 부른다. 한나라 때는 반우(反羽), 진나라 때는 치미, 당나라 때는 치문, 통일신라 때는 누미(樓尾)라고 하였다.
# 참고사이트: blog.naver.com/hantolpark/221419101263
- 회도치미는 건축 구조물 중 하나이다. 진흙 재질로 만든 회도이다. 밑은 평평하고 속은 비어 있고 나란한 머리는 꼭 칼로 자른듯하다. 양쪽 벽의 밖은 화려하고 활모양[弧形] 깃이 있고, 양쪽에 6개의 작원 원형의 유정(乳釘:젖꼭지와 못머리 형태로 튀어 나온 분) 부조가있으며, 양도(兩道)에 호형의 활시위 문양[弦紋]과 14개의 날개깃이 있다. 둘레에는 1개의 작은 乳釘을 장식했다. #<윤문요>
◆ 회도처미(灰陶鴟尾)_재빛이 나는 치미
- 당대
- 화청궁 유지
◆ 회도치미(灰陶鴟尾)
- 당대
- 화청궁 유지
# 투수잔괘(套獸殘块)
- 건축장식이다. 질흙 재질의 회도이다. 용머리 형태의 조형물로 입을 벌리고 웃고 있는 모양에 긴 혀가 위로 말려 있고 코는 들창코 모양이다. 처진 눈섭에 튀어나온 눈, 2개의 뿔이 양쪽에 나 있으며 2개의 귀는 빰에 바짝 붙어 있다.
◆ 회도대익투수(灰陶帶翼套獸)
- 당대
- 화청궁 유지
*套獸: 용마루 덮개.
◆ 홍도각형기(紅陶角形器)_홍도 뿔모양 기물
- 당대
- 화청궁 유지
◆ 와당(瓦當)_처마 덮개_Eaves Tile
- 당대
- 화청궁 유지
- 다양한 모습의 와당들
◆ 수면전(獸面磚)_짐승 얼굴모양 벽독
- 당대
- 화청궁 유지
# 조전(條磚)
- 재질이 매우 단단하며 청회색을 띤다. 문양과 크기, 재질이 달라 초기, 중기, 말기의 3기로 나눈다. 초기에는 모양과 구조가 비교적 크고 두껍고 무거웠으며, 중기에는 규격은 약간 작고 형체는 비교적 얊았으며, 말기에는 두께가 2기에 비해 약간 얇았으며 가마에 구워 불의 온도를 높였기 때문에 안료는 남색으로 변했고 재질은 단단해졌다. 벽독의 장식에는 노끈문양, 손도장문양이 있었으며, 노끈문양 가운데는 위에 장인의 도장을 찍기도 하였다.
# 장인이 이름이 새겨진 벽돌
◆ "장작장 장역(將作匠張域)"이 새겨진 조전
- 당대
- 화청궁 유지
◆ "장작장 감보령(將作匠甘保逞)"이 새겨진 조전
- 당대
- 화청궁 유지
◆ 소탕(小湯)_간이 목욕탕
- 이름 그대로 깊이가 매우 낮다.
◆ 석각 잔편
- 당대
- 화청궁 유지
◆ 동식건(銅飾件)_ 동으로 만든 장식[ornament]
- 당대
- 화청궁 유지
◆ 동구(銅鉤)_구리 걸이
- 당대
- 화청궁 유지
◆ 청석좌(靑石座)_석회석 의자
- 당대
- 화청궁 유지
◆ 연화문 철모정(蓮花紋鐵帽釘)_연꽃문양을 새긴 쇠로돈 모자 못.
- 당대
- 화청궁 유지
# ◆ 무기수미좌(舞伎須彌座)
- 재질은 석회석이다. 위쪽에는 평평하게 깍이 광이 나며, 중심부에는 2개의 요조(凹槽)가 있다. 의자의 정면에는 3개의 호문(壺門)이 있다. 그 안에는 기악도상(伎樂圖像)이 부조되어 있다.
....내용 남음. <추가요>
◆ 무기수미좌(舞伎須彌座)
- 당대
- 화청궁 유지
'중국(中国)China > 산시(陝西섬서Shǎnxī)'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_12_섬서(陝西)1_화청궁7_박물관6 (0) | 2020.11.09 |
---|---|
2019_12_섬서(陝西)1_화청궁6_박물관5 (0) | 2020.10.02 |
2019_12_섬서(陝西)_화청궁4_박물관3 (0) | 2020.09.27 |
2019_12_섬서(陝西)_화청궁3_박물관2 (0) | 2020.09.27 |
2019_12_섬서(陝西)_화청궁2_박물관1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