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역사박물관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3_기본진열17

by isanjo 2022. 11.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3_기본진열17

 

# 진(秦)나라1

-  秦나라와 진대(秦代)

- 秦나라는 기원전 770년~기원전221년까지를 가리키고, 진대(秦代)는 기원전 221년~기원전207년까지를 가리킨다.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1)

- 서주시기 지금의 감숙성 천수(天水) 지역에서 활동하던 秦人은 주왕실의 말을 기르는데 공에 있었기 때문에 주나라 효왕에게 秦땅을 봉지로 받았다.

기원전 770년 秦나라 양공이 주나라 평왕을 호송하여 낙양으로 동천할 때 공이 있어 제후로 봉해지고 岐땅 서쪽지역을 하사받았다. 이때부터 秦人이 정식적으로 국가 정권을 건립하여 제후의 반열에 들어가게 되어 참신한 정치 면모로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게 되었다.

 

 

◆ 1. 굉궤(訇簋) *訇: 중국 현대 발음은 '홍'.

- 서주(西周)

- 섬서박물관소장

 

 

◆ 3. 채회도궤(彩繪陶簋)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출토

 

 

◆ 7. 석고(石鼓) *복제품

-  춘추시기

 

모양이 북과 유사하여 생긴이다. 내용이 모두 사냥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이를 '엽갈'(獵碣)이라고 불렀다. 당대(618~907) 산시성[陝西省] 천흥현(天興縣:지금의 펑샹 현[鳳翔縣])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북경고궁박물관원에 있다. 석고는 모두 10개였는데 각 돌마다 모두 4언시 1수 씩 새겨져 있었다. 10개의 석고는 각각 오거(吾車)·견면(汧沔)·전거(田車)·칙홀(勅來)·영우(霝雨)·작원(作原)·이사(而師)·마천(馬薦)·오수(吾水)·오인(吳人)으로 나누어진다.

석고문의 글자는 주문(籒文)에 가까운데 이것은 진나라 특유의 형태이다.  석고는 문학사와 서법사에서 함께 중용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8. "四"자 형태의 판기와[四字型板瓦]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요가강(姚家崗) 출토

 

 

◆ 9. 끈 문양 질 수로관[繩紋陶水管]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요가강(姚家崗) 출토

 

 

◆ 10.  청동 기물

 

 

◆ 11.  통와(筒瓦)_대통모양 기와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진공(秦公)1호 무덤 출토

 

 

◆ 12. 기룡문 반와당(夔龍紋半瓦當)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요가강(姚家崗) 출토

 

 

◆ 13. 도철문 반와당(饕餮紋半瓦當)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요가강(姚家崗) 출토

 

 

◆ 14. 분록문 와당(奔鹿瓦當)_달아나는 사슴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함양시 삼도원(三道原) 출토

 

 

 

 

◆ 15. 표문와당(豹瓦當)_표범문와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북쪽 교외 서가만(徐家灣) 출토

 

 

◆ 16. 봉조문(鳳鳥瓦當)_봉황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17. 단환문와당(單獾瓦當)_오소리 한마리가 새겨진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18. 단호문와당(單虎瓦當)_호랑이 한마리가 새겨진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19.문와당(雙獾瓦當)_오소리 2마리가 새겨진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0. 자모녹문와당(子母鹿瓦當)_사슴 모자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1. 호안문와당(虎雁瓦當)_호랑이와 기러기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2. 기하문와당(幾何瓦當)_기하 문양 와당.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3. 관형장식(冠形裝式)_관 모양 장식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4형장식(方形裝式)_네모 장식

-  전국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두부촌(豆腐村) 유지 출토

- 성서성 고고연구원소장

 

 

◆ 26. 좌: 금포(金泡)_물거품 모양 금 꾸미개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마가장(馬家庄) 출토

◆ 27. 우: 수면금식(獸面金飾)_짐승모양 금 꾸미개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옹성(雍城) 유지 출토

◆ 28. 중:    금양호식(金羊虎飾) _금 양과 호랑이 꾸미개 /  전국시대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마가장(馬家庄) 출토

 

 

◆ 29. 착은동대구(錯殷銅帶鉤)_은을 넣어 장식한 대구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출토

 

◆ 30. 비파형대구(琵琶形帶鉤)

- 전국시대 

- 섬서박물관소장

 

 

 

 

 

 

◆ 31. 수문동대구(獸紋銅帶鉤)_짐승문양 구리 버클

- 전국시대 

-  섬서박물관소장

 

◆ 32. 옥금구(玉襟鉤)_옥으로 만든 옷깃 걸이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고장(高庄) 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