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사진/박제

경성대 조류관_박제 A5 맹금류5

by isanjo 2023. 5. 24.

경성대 조류관_박제 A5 맹금류5

 

A5에는  매, 조롱이, 새호리기, 수리 4종 11개의 맹금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 목록은 아래와 같다. 

매, 새매, 벌매, 왕새매, 잿빛개구리미매, 붉은배새매, 조롱이, 황조롱이,  쇠황조롱이, 새호리기, 관수리.

 

 

 

# 조롱이

 

# 새호리기

 

 

 

# 왼쪽이 벌매, 가운데가 붉은배새매, 오른쪽이 조롱이이다.

 

- 새끼.

 

# 왼쪽이 벌매, 오른쪽이 붉은배새매이다.

 

# 황조롱이

 

<실물 사진> 황조롱이

 

# 관수리

 

 

# 잿빛개구리매

 

 

 

# 벌매

 

 

# 왕새매

 

 

# 붉은배새매

 

# 쇠황조롱이

 

 

# 매

 

# 맹금류의 분류

- 남극대류을 제외한 전대륙에 맹금류가 존재한다. 분류항상 매목으로 290여종이 알려져 있으면 이름은 뱀잡이수리과, 콘도르과, 수리과, 매과, 물수리과 5개로 나누어진다. 야행성 맹금류인 올빼미류는 올빼미목으로 따라 분류된다. 국내에서 확인된 맹금류는 34종이며, 이 중에서 물수리, 솔개, 흰꼬리수리, 알락개구리매. 붉은배새매, 조롱이, 참매, 검독수리, 벌매, 왕새매, 참수리, 독수리, 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새매, 말똥가리, 큰말똥가리, 털발말똥가리, 항라머리검독수리, 흰죽지수리, 관수리, 새호리기, 황조롱이, 쇠황조롱이, 비둘기조롱이, 매 등이 부산에서 기록 확인되었다.

 

 

# 맹금류의 이동

- 맹금류의 이동형태는 산의 사면 및 해상의 상승기류를 타고 범상과 활공을 반복하면서 이동하는 종류와 날개짓을 계속하여 이동하는 형태로 나뉜다. 날개짓을 하지 않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상승기류는 해상에는 비교적 적기 때문에 이동하는 맹금류의 대부분은 바다를 우회하여 육지로 연결된 코스를 선택하여 바다를 걸널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섬과 섬사이의 이동 간격이 최대한 짧은 코스를 선택한다. 매류나 개구리매류 등은 상승기류를 이용하지 않고 날개짓만으로도 해상의 장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 부분적 이동

 - 종에 따라 추운 겨울에만 남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번식지 내에서만 이동하고 다른 장소로는 전혀 이동하지 않는 경우, 지역 내의 일부분만 이동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것을 "부분적 이동"이라고 하는데, 참매, 새매, 말똥가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사냥 능력이 뛰어난 성조(成鳥)는 이동하지 않고 유조(幼鳥)보다 북쪽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