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中国)China/윈난(雲南Yúnnán)

2017_윈난_리장5_목부(木府)_1

by isanjo 2017. 12. 12.

2017_윈난_리장5_목부(木府)_1


# 목부(木府)



◆ 아침 먹고 들어간 木府

- 거의 새로 지은 것이다.

목부 안에 화장실은 있으나 휴지가 없다.

구시가지 화장실에 비하면 너무 소박....

 

 


 

 

◆ 고성박물관

-1인 60元. 가격대비 실망.

굳이 돈 내고 들어가라고 추천하기에는 부족.

 

 


◆ 목부 간략 설명  

 

◆ "목부"

- 나시문자 한자 영어로 되어 있다. 

 


 

 

 

 

◆ 나시족 민속관 

- 목부 회랑을 따라 가면 오른쪽에 소박한 민속관이 있다.

농기구 몇 개가 전부.

 

 

 

 

 

 

 

 

육교를 통해 안쪽 건물로 넘어가면 나오는 건물.

화장실은 왼쪽 회랑쪽에 있다.

 

 

전망대에 올라 가는 길.

 

 

◆ 무자비(無字碑)

- 말로만 듣던 글자 없는 비석.

하지만 맨 위에 전서로 3글자가 있지 않은가?

 

 

◆ 전망대 입구

- 무자비를 지나 망고루에 오르기 우해 문을 통과하려면 또 전망대 입장료를 내야한다.

결국 정문을 나가 다시 골목을 돌아 전망대 입구까지 올라갔다.

 

 

 

 

 

 

 

인도에 있는 화장실 표시.

 

 

◆ 옥음루(玉音樓)


◆ 동파법기(東巴法器)  

 

◆ 천지군친사(天地君親師) 

 

 

 

 

 

 

 

◆ 호법전(護法殿)

 


- 호법전 입구에 돌에 소나무와 학이 새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용이 있다. 



◆ 교목세가(喬木世家)

 

 

 

 

 

 


◆ 창으로 바라본 용룡설상  

 

 

 

 

◆ 만권루(萬卷樓)

- 도서관 건물.


◆ 전시용 서적이 몇 권 있다. 

 

 

◆ 나시 동파문자 역주전집

 


◆ 도서관에서 학과 소나무...  


◆ 아래 현판 "행화변요(行化邊徼)" 

- 명 세종이 가정 신미년에 내렸다고 되어 있으나 가정(嘉靖) 연간에는 신미년이 없다.

목고경(木高敬)이 현판을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

 

 

◆ 이 돌은 좀 특이하다. 

 

 

 

 

 

 

 

 

 

◆ 목부 중수비.

 

 

 

 

◆ 가원(家院)

- 목부의 오른쪽에 있다.



◆ 여정도치(勵精圖治)

 

 

 

 

 

 

 

 

 

 

 

 

 

의사청(議事廳)

 

 

 

 

 

 

 

 

 

 

 

 

 

현재는 목부에서 표를 사서 앞 건물과 뒷건물 사이에 있는 육교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육교 밑에는 통로가 있다.

광벽루光碧樓

 

 

 

도로에 새겨진 한자漢字 '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