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1
# 전국시기
◇ 전국시기 전도
◇ 전국시기 7웅 세력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0323a>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A%B5%AD_%EC%8B%9C%EB%8C%80>
<https://zh.wikipedia.org/wiki/%E6%88%98%E5%9B%BD%E6%97%B6%E6%9C%9F>
◇ 한(韓)나라
◆ '양성' 도량(陽城陶量)
- 전국_韓
- 1977년 하남 등봉(登封) 출토.
- '陽城'은 지명으로 지금의 하남 등봉이다.
◆ 금으로 상감한 청동 화[錯金靑銅(金+和)]
- 戰國_韓
- 1965년 산서 장치(長治) 출토.
- 무늬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두 금으로 입힌 것으로 당시 다른 나라의 유물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 '영호군사자令狐君嗣子' 청동호(令狐君嗣子靑銅壺)
- 전국_韓
- 1927년 하남 낙양 출토.
- 頸部에 23행 50자의 명문이 있는데, 영호군의 후예가 이 호를 주조한 것은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서 라고 기록되어 있다.
- 영호는 지명으로 지금의 산서 臨猗 서남쪽이다.
- 주둥이 윗부분 6개 갈래의 안쪽에도 모두 문양이 새겨져 있다.
◆ '정우고鄭右庫' 청동 창_과[鄭右庫靑銅戈]
- 전국_韓
- 1971년 하남 신정(新鄭)에서 촐토.
- 이 戈는 한나라 병기를 제조하던 기구인 '右庫'에서 만든 것이다. '鄭'은 한나라 수도로 지금은 하남 신정(新鄭)이다.
◆ 연왕燕王□' 청동 창[燕王靑銅戈]
- 전국_燕
- 1958년 하북 역현(易縣) 연하도(燕下都)에서 출토.
◇ 연(燕)나라
◆ 붉은 색에 짐승 귀가 있는 질그릇 호[朱繪獸耳陶壺]
- 전국_燕
- 1958년 북경 창평(昌平) 출토.
%설명추가요
◆ 차기 쇠 거푸집[車器鐵范]
- 전국_燕
- 1953년 하북 흥륭(興隆) 고동구(古洞沟) 출토.
◆ 호미 쇠 거푸집[鋤鐵范]
전국_燕
1953년 학붕 흥륭 고동구 출토.
◆ 쌍 끌 쇠 거푸집[雙鑿鐵范]
- 전국_燕
- 1953년 학붕 흥륭 고동구 출토.
◆ 쌍 낫 쇠 거푸집[雙鎌鐵范]
- 전국_燕
- 1953년 학붕 흥륭 고동구 출토.
◆ 쇠 낫[鐵鎌]
- 전국_燕
- 1958년 하북 역현 연하도 출토.
◆ 쇠 가래[鐵犁鏵]
- 전국_魏
- 1950년 하남 휘현 출토
◆ 쇠 호미[鐵鋤]
- 전국_燕
- 1958년 하북 역현 연하도 출토.
◆ 쇠 가래[鐵鍤]
- 전국_魏
- 1950년 하남 휘현 출토.
◆ 짐승 얼굴 무늬가 있는 반와당[獸面紋半瓦當]2
- 전국_燕
- 1958년 하북 역현 연하도 출토.
◆ 짐승 얼굴 무늬가 있는 반와당[獸面紋半瓦當]3
- 전국_燕
- 1958년 하북 역현 연하도 출토.
◆ '보불黼黻' 무늬 통와[黼黻紋筒瓦]
http://www.chnmuseum.cn/tabid/212/Default.aspx?AntiqueLanguageID=193
- 전국_燕
- 하북 역현 연하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양안군襄安君' 청동 편호(襄安君靑銅扁壺)
- 전국_燕
- 襄安君은 연나라 왕족으로 연나라 소왕 때 君에 봉해졌다.
- 기물의 맨 아랫부분에 명문이 있다.
◇ 제(齊)나라
◆ '자화자' 청동 부(子禾子靑銅釜)
- 전국_齊
- 1857년 산동 교현(㬵縣) 영산위(靈山衛) 출토.
- 기물의 위쪽에 명(銘)을 새겨 해당 釜 용량의 대소에 관해 참고한 표준을 기록하였는데, 이것은 전국시대 초기 제나라 이미 엄격한 도량 관리제도를 제정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 釜는 제나라의 도량형의 일종이다. '子禾子'는 田和子로 그가 대부였을 때의 칭호이다. 이 釜는 그가 齊侯가 되기 전에 주조한 기물이다.
◆ 사람 모양 청동 등잔[人形靑銅燈]
- 전국_齊
- 1957년 산동 諸城葛埠村 출토.
- 양 손에 두 개의 촛대를 들고 있는 모습이 익살스럽다. 사람의 덩치에 비해 촛대의 크기를 생각하면 너무 힘들어 보인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人形铜灯
战国·齐
高21.3厘米、盘径1 1.5厘米
1957年山东省诸城县葛埠口村出土
这件青铜灯整体造型为一男子双手分别托举竹节形灯盏,盏盘下有子母口与盘柄插合,可根据需要拆卸。男子身着短衣,腰束宽带,脚踏盘龙形底座,形象威武,底座旁还附有一个添油用的长柄青铜勺。青铜灯造型新颖,构造精巧,可能是齐国宫廷中的器物。
◆ '공구' 도량(公區陶量)
- 전국_齊
- 산동 임치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제나라가 제정한 표준 양기(量器)로는 豆, 區, 釜 등의 양제(量制) 단위가 있다.
◆ '공두' 도량(公豆陶量)
- 전국_齊
- 산동 임치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양동읍성사영지니昜都邑聖徙鹽之鑈' 청동옥새(昜都邑聖徙鹽之鑈靑銅璽印)
- 전국_齊
- 명문 중의 '昜都'는 산동 沂水 유역의 陽都로 전국시기에는 제나라의 성읍이었다.
◆ 도폐(刀幣)
- 전국_齊
1-2. 卽墨之大刀, 3. 安陽之大刀, 4. 齊返邦(立+長)大刀, 5. 齊大刀.
◆ 환전(圜錢)
1-2. 賹刀(齊), 3. 賹六刀(齊), 4-6. 明化(燕), 7-10. 共(魏), 11-13. 垣(魏), 14-16. 藺(趙), 17. 東周(東周).
◇ 초(楚)나라
◆ 청동 편종[靑銅編鐘]
- 전국_楚
- 1957년 하남 신양(信陽) 장태관(長台關) 출토.
◆ 금으로 상감한 '악군 계鄂君啓' 청동 절[錯金鄂君啓靑銅節]
- 전국_楚
- 1957년 안휘 수현 출토.
- 이 節은 기원전 323년 초 회왕이 鄂君啓에게 발급한 상업활동 통행증이다. 모두 5枚로 통대나무를 쪼갠 형식이다. 위에 금으로 상감한 명문이 있는데, 車節 147자, 舟節 164자이다. 악군계가 舟節과 車節을 발급한 시간, 사용방법을 기록하였는데, 그 속에는 商隊의 수레ㆍ배의 수량, 행상의 노선, 화물의 종류 및 과세 면세의 정황을 상세히 규정하였다.
◆ 짐승 무늬를 아로새긴 청동 상자[鏤空獸紋靑銅奩]
- 전국_楚
- 1957년 하남 신양 장태관 출토.
◆ '왕명전'이 새겨진 청동 호랑이 절(節)['王命傳' 靑銅虎節]
- 전국_楚
- 안휘 수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이 節은 역사를 출입할 사용하던 일종의 증빙자료이다.
◆ 투조반리문 청동 거울[透雕蟠螭紋靑銅鏡]
- 전국_楚
- 1976년 호북 강릉(江陵) 장가산(張家山) 출토.
- 거울의 내부는 두겹으로 되어 윗쪽을 무늬에 맞추어 파낸 것이 독특하다.
◆ 은으로 상감한 와우 청동 서진[錯銀臥牛靑銅鎭]
- 전국_楚
- 1956년 안휘 수현 출토.
- 이 鎭은 초나라 왕실에서만 사용되는 기물이다.
- 소의 배 아래에는 '大府之器'라는 명문이 있다.
◆ 노금(盧金)
- 전국_楚
- 1979년 안휘 수현 출토.
- 盧金에는 원형의 도장이 있다. 그 중에 '盧'자는 지명이다.
◆ 영칭(郢爯)
- 전국_楚
- 1979년 안휘 수현 출토.
- 郢爯에는 방형 도장이 있다. 郢爯은 잘라서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 사용하는 장방형 금판 화페로 盧金과 함께 중국 최초의 황금 화폐이다. 郢은 초나라의 도성이다.
◆ 천칭(天秤)
- 전국_楚
- 1954년 호남 장사(長沙) 출토.
- 이것은 황금 화페의 무게를 재는 형기(衡器)이다.
◆ '왕'자 청동형(王字靑銅衡)
- 전국_楚
- 이 衡杆은 杆秤을 연결하는 모형이다. 그 長度는 전국 시기 1尺에 해당한다. 정면에는 度線을 고르게 새겼다.
◆ 푸른 옥의 용모양 장식[靑玉龍形飾]
- 전국_楚
- 1957년 하남 신양(信陽) 출토.
◆ '웅한熊悍' 청동 솥_정[熊悍靑銅鼎]
- 전국_楚
- 1933년 안휘 수현(壽縣) 주가집(朱家集) 출토.
- 이 鼎은 초 유왕(幽王) 웅한(熊悍)이 주조한 것이다.
◆ '초고楚高' 청동 부(楚高靑銅缶)
- 전국_楚
- 1954년 산동 태안(泰安)에서 채집
- 이 缶의 주둥이 주변에는 '楚高' '右冶尹'이라는 명문이 있다.
◆ 비단무늬 청동 창_과[錦紋靑銅戈]
- 전국_楚
- 호남 장사(長沙)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금으로 그림과 명문을 새겼다.
*戈는 'ㅜ'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위쪽 날의 반대쪽에 나무에 끼워 사용할 수 있게 구멍이 있다. 칼날은 조선낫처럼 'ㄱ'의 형태이며 좌우가 길고 상하는 짧다.
- 戈와 矛를 나무에 연결한 모습
- 왼쪽이 戈, 오른쪽에 세로로 키가 낮은 창이 矛이다.
◆ '난서欒書' 청동 부(欒書靑銅缶)
- 전국_楚
- 이 缶는 최초의 금으로 상감한 명문 청동기이다.
- 欒書는 姬姓,栾氏,시호는 武,栾武子라고도 불리렸다. 晋景公, 晋厲公시기의 집정대신이자 군 통수권자였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栾书缶
通高40.5厘米、口径16.5厘米、足径17厘米
此器光素无纹,器颈至肩下有铭文5行40字,由左而右,字皆嵌金,为栾书子孙祭祀祖先而作,但多年来习称栾书缶。器盖上亦有铭文8字。栾书又称“栾武子”或“栾伯”,是春秋时晋国大夫,执政14年,于鲁成公四年(公元前587年)将中军,卒于公元前573年。器上错金铭文字形规整,至今熠熠生光。错金技法创于春秋中叶,但此缶无论从器形还是字体看,都属楚国作风,故实际是后来入于楚国的栾书子孙的遗物。
◇ 진(秦)나라
◆ 무사와 짐승이 싸우는 무늬 청동 거울[武士鬪獸紋靑銅鏡]
- 전국_秦
◆ 十六聯弧三獸紋靑銅鏡
- 전국 시기
◆ 청동 투배(靑銅套杯) *투배: 그릇셋트
- 전국_秦
- 19779년 섬서 봉상 출토.
◆ 구리 손 집게[銅手鉗]
- 전국_秦
- 1979년 섬서 봉상 출토.
- 지금의 니퍼(nipper)와 거의 동일한 모양이다.
◆ 유금 은쟁반[鎏金銀盤]
- 전국_秦 昭王 33년(기원전274년)
- 1980년 산동 치박(淄博) 임치(臨淄) 출토.
◆ '21년 상방 염廿一年相邦冉' 청동 창_과[廿一年相邦冉靑銅戈]
- 전국_秦
- 이 戈는 秦 昭王 21년(기원전 286넌) 相國 魏冉을 위하여 만든 것이다.
◆ 청동 강(靑銅釭)
- 전국_秦
- 1973년 섬서 봉상(鳳翔) 출토.
- 이 유형이 청동 构는 서로 연결할 때나 궁전의 벽기둥, 창문을 튼튼히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위(魏)나라
◆ 돌 편경[石編磬]
- 전국_魏
- 1957년 하남 남협현 후천 출토
◆ 쇠 괭이[鐵钁]
- 전국_魏
- 1951년 하남 휘현 출토.
◆ 유금 상감 옥에 선 두른 유리 은 대구[鎏金嵌玉鑲琉璃銀帶鉤]
- 전국_魏
- 1951년 하남 휘현(輝縣)에서 출토.
*鎏金은 고대 중국 도금(鍍金)의 기법 중 하나로 금속 표면에 수은 아말감을 바른 후 가열하여, 수은이 증발한 후 표면에 금을 부착시킨다. 세계 각지에서 행해졌으며 중국에서는 춘추 말기 이후 청동기 장식으로 성행하였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包金嵌玉兽首银带钩
战国·魏
长18.7厘米、宽4.9厘米
1951年河南省辉县固围村五号墓出土
带钩呈琵琶形。中部凸起,呈弧状,底部为银托。钩首为兽首,青玉雕刻,兽首用细线刻画出圆眼、长鼻和长嘴喙。额头正中有一花蕾纹,上斜刻小方格纹,有角。面为包金组成的浮雕兽面,两侧盘绕两条夔龙,倒向勾端,合为一首。与两侧夔龙方向相反,又蟠绕着两只凤鸟纹。脊背正中,均匀嵌入三块白玉玦,前、后两玉玦的中心孔各嵌入一个琉璃珠。整个带钩把金属铸造工艺和琢玉工艺结合起来,堪称中国古代最华美的带钩。
◆ 구름 짐승 무늬 청옥 황[雲獸紋靑玉璜]
- 전국_魏
- 1951년 하남 휘현 출토.
- 중앙에 있는 짐승의 모습이 너무나도 생동적이다.
◆ 금과 은으로 상감한 말머리 모양 청동 끌채 끝에 멍에 매는 곳[錯金銀 馬首形 靑銅 䡇]
- 위나라
- 정밀하고 아름다운 말머리는 수레의 장식으로 수레 굴대 앞의 頂 끝에 설치한다.
- 1951년 하남 휘현 출토.
- 정밀하고 아름다운 말머리는 수레의 장식으로 수레 굴대 앞의 頂 끝에 설치한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错金银马首形铜辕饰
战国·魏
高8.8厘米、长13.7厘米、管径4.8厘米
1951年河南省辉县固围村出土
这件铜辕饰呈马首形,其头、颈错金饰卷毛纹、鳞纹,制作精美,为车用装饰,装配在车辕的前端,是战国时期错金银铜器的典型代表作品之一。这件错金银马首形铜辕饰出土于战国中期魏国贵族墓,此墓是目前所知魏国墓葬中规格最高的一座,出土的器物多工艺考究,精美绝伦。这件错金银青铜代表了魏国青铜器铸造及错金银工艺的最高水平。
◇ 조(趙)
◆ 청동 무사 상[靑銅武士像]
- 전국_趙
- 1955년 산서 장치 분수령 출토.
◆ 송자 삼공포(宋子三孔布)
- 전국_趙
- 산서 평삭(平朔) 출추
- '宋子'는 화폐를 주조한 지명으로 지금의 하북 조현(趙縣) 동북쪽이다.
등에 있는 '十二朱'는 화폐의 무게이다.
◆ '양과근오십당쟁' 평수포('粱夸釿五十當錚平首布)
- 전국_魏
- '粱'은 '大粱'으로 지금의 하남 개봉(開封)이다. '釿'은 무게 단위이고, '錚'은 당시 황금의 무게 단위이다. 따라서 '五十當錚'은 50매의 화폐가 황금 1錚에 상당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 평수포(平首布)
- 전국 시기
1. 晉陽(趙), 2. 离石(趙), 3-4. 橈比當釿(楚)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0) | 2019.04.27 |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진(秦) (0) | 2019.04.27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춘추(春秋)시기_1 (0) | 2019.04.23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하상주(夏商周) 시기3_기타문화 (0) | 2019.04.21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주(周)시기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