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당11

고대유물_093_와(瓦)2_수막새와 암막새 # 와당 # 목탑에 사용된 막새 ◆ 연꽃무늬 수막새와 암키와 - 백제 ◆ 국화무늬 수막새와 넝쿨무늬 암막새 - 통일신라 ◆ 수막새 2022. 12. 23.
고대유물_093_와(瓦)1_수막새 와당(瓦當) 와당_반와당(半瓦當) 2022. 12. 21.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2 #2. 도문 전문 와문陶文 磚文 瓦文 ◆ 염향진기좌박회구부도편(厭鄕陳旂左敀檜坸釜陶片) - 戰國 - 齊 - 陶 ◆ 해내개신전(海內皆臣磚) - 西漢 - 陶 ◆ 유천강령십이자와당(維天降靈十二字瓦當) - 西漢 - 陶 ◆ 영수가복와당(永受嘉福瓦當) - 西漢 - 陶 ◆ 공양전 전(公羊傳 磚) - 東漢 元和 2년 - 陶 ◆ 영가칠년 계유 개의개시 전(永嘉七年癸酉皆宜價市磚) - 西晉 永嘉七年(313) - 陶 ◆ 독량량전(獨良良磚) - 晉 - 陶 2022. 12. 14.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2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2 ◇ 오(吳)나라 ◆ 청동검 - 1965년 출토. ◆ '오왕 부차吳王夫借' 청동검 - 1976년 하남 輝縣 출토. - 이 검은 오왕 광의 아들을 위해서 오왕 부차가 직접 만든 것이다. ◆ '오왕 광吳王光' 청동검 - 1964년 산서(山西) 원평(原平)에서 출토. 원래 산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가 옮긴 것이다. - 오왕 광을 칠 때 직접 만들어 검으로 썼다. ◇ 증(曾)나라 ◆ 옥환(玉環), 옥벽(玉璧) - 전국_曾 - 1978년 호북 수현(隨縣)에서 출토. - 서로 다른 몇가지 색이 혼합되어 서로 옥 속에 돌이 박힌 느낌이다. - 옥벽의 무늬가 조금씩 변화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 귀에 옷칠 한 잔_배[漆耳杯] - 전국_曾 - 1978년 호북.. 2021. 2. 8.
2019_광저우(廣州)8_광저우박물관5_2층 2019_광저우(廣州)8 # 광저우박물관5_2층 - 솥과 단지 ◆ "居室"이라는 관인(官印)이 찍힌 질그릇 단지[居室陶罐] - 서한 초기 - 1957년 죽원강(竹園崗) 한묘 출토 - 어깨의 배 부분에 "居室"이 도장이 찍혀 있는데, 이것은 남월국의 소부속관인 거실령(居室令)이 제조를 감독했다는 것을 밝힌 것.. 2019. 12. 1.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6_도기1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6 3층 도기1- 드디어 고대 유물이 있는 3층 ◆ 규(鬹) 뚜껑없는 가마솥. ◆ ◆ ◆ 질그릇 력(鬲) - 재료만 다르고 모양은 비슷. 낮은 다리가 3개. ◆ 질그릇 력(鬲) - 긴 손잡이가 있다. ◆ 질그릇 력(鬲) 낮은 다리가 3개. ◆ 항아리??- 바깥쪽에 많은 고리모양의 띠가 있다. ◆ 자호(瓷壺) ◆ 잿물 입힌 질에 채색한 오리 모양 그릇[灰陶加彩鴨形器] ◆ ◆ ◆ ◆ 뒤쪽 ◆ 인면 와당(瓦當) 앞쪽 왼쪽 ◆ 장생무극와당(長生無極瓦當) 2019. 9. 20.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4_정선 유물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4 # 역사박물관 소장 정수 유물 전시[館藏精選文物殿] 주나라 부터 춘추전국시대 한나라 때의 유물들이 있었다. ◆ 포수(鋪首) ◆ 한나라 때 만들어진 톱 ◆ ◆ ◆ 2019. 9. 20.
2019_베이징 국가박물관 4층 북16_해대조종(海岱朝宗)_산동 고대 유물13 2019_베이징 국가박물관 4층 북16_해대조종(海岱朝宗)# 산동 고대 유물13  ◇ 와당(瓦當)- 와당은 중국 고대 건축의 중요한 요소로 지붕을 덮거나 처마의 앞을 마감하여 처마를 보호하였으면 아울러 장식의 기능도 겸하였다.근래들어 임치의 제나라 고성 안에서 동주부터 진한시기에 이르는 와당이 대량으로 출토되었는데. 모양의 형식에 따라 원와당(圓瓦當)과 반와당(半瓦當)으로 분류되며, 그 중 반와당의 수량이 가장 많다.이 와당은 그림, 모양, 무늬, 주제 등 다방면에서 모두 제나라 문화의 특색과 부유한[極富] 지역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전국 시대의 제나라 와당은 수목 문양이 가장 보편적으로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수목 문양과 변형 수목 문양이 중심이 되고 양쪽에 실사 풍의 2마리 짐승, 2마리 말, 2.. 2019. 9. 5.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 西漢(前漢): 기원전 202년부터 서기 8년까지. ◆ 금실로 엮은 합[金縷玉柙] - 西漢 - 1973년 하북 정형(定縣) 팔각랑촌 40호묘 출토. - 길이 182cm,너비 9cm - 玉柙은 玉匣, 玉衣라고도 하는데, 한나라 황제와 고급 귀족이 사만한 후 입은 수의이다. 신분이 차이에 따라 옥 조각에 금실, 은실, 동실과 실을 합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이 玉衣의 주인은 中山懷王 劉修로 기원전 55년에 죽었다. # - 한나라는 죽은 사람을 산 사람처럼 섬겼다. 그들은 사람이 사망한 후 옥갑을 입으면 시체가 부식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옥을 수장하는 최고 형태로서 서주 이래 유행된 옥 얼굴가리개로부터 발전되었다. 귀족의 신분이 다름에 따라 옥갑은 금실, .. 2019. 4. 27.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진(秦)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진(秦) # 진(秦) 제국: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https://zh.wikipedia.org/wiki/%E7%A7%A6%E6%9C%9D>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B%82%98%EB%9D%BC> <https://baike.baidu.com/item/%E7%A7%A6%E6%9C%9D> ◆ 낭야각석(琅琊刻石) - 진시황 28년(기원전219년) - 지름 132.2cm,.. 2019. 4. 27.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1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1 # 전국시기 ◇ 전국시기 전도 ◇ 전국시기 7웅 세력도 ◇ 한(韓)나라 ◆ '양성' 도량(陽城陶量) - 전국_韓 - 1977년 하남 등봉(登封) 출토. - '陽城'은 지명으로 지금의 하남 등봉이다. ◆ 금으로 상감한 청동 화[錯金靑銅(金+和)] - 戰國_韓 - 1965년 산서 장치(長治) 출토. - 무늬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두 금으로 입힌 것으로 당시 다른 나라의 유물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 '영호군사자令狐君嗣子' 청동호(令狐君嗣子靑銅壺) - 전국_韓 - 1927년 하남 낙양 출토. - 頸部에 23행 50자의 명문이 있는데, 영호군의 후예가 이 호를 주조한 것은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서 라고 기록되어 있다. - 영호는 지명으로 지금의.. 2019.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