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by isanjo 2024. 11. 2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 중국 고대 복식 문화

 

#  복식의 출현.

- 중국 복식의 시작은 위로는 원시사회인 구석기시기로 올라갈 수 있다. 그 때의 선민은 이미 옷을 입고 패식과 복식의 관념이 이 시기에 이미 출현하였으며 중국 복식문화는 이를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 선진 복식(先秦服飾)

- 상주(商周)시기에 통치자는 예제(禮制)을 추숭하여 복식의 등급을 구분하고 쳬계화하였는데 후대에도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춘추ㆍ전국시기 해마다 전란이 이어졌는데, 사상 문화적으로 '백가쟁명'은 복식에 비교적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에는 위아래의 몸까지 걸쳐서 입는 심의가 출현하였고 호복(胡服)도 도입되었다.

 

 

# 상주시기의 복식(商周)

- 이때 화하족(華夏族:원시 한족)의 복장은 상의는 의(上衣) 하의는 상(下裳)이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속옷dl 아직 완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쭈구려 앉거나 일어날 때 하상을 걷어올리는 것은 모두 예의가 없는 행위로 여겨졌다. 방 안에 있을 때도 항상 무릎을 꿇고 앉으며, 또 허리 아래에 불(巿:슬갑)을 묶는다. '불'은 무릎 가리개라고도 하는데, 귀족 남녀 예복의 앞부분을 장식하는 것으로, 사용할 때 혁대를 몸 앞에 매고 무릎까지 늘어뜨린다.

 

 

 

 

◆ 무사용(武士俑)

- 서한시기

- 섬서 함양 양가만(楊家灣) 장릉(長陵) 배장묘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채회장수여무용(彩繪長袖女舞俑)_채색한 긴 옷을 입은 여자 무용수 인형.
- 서한 시대 (기원전 202년-기원 8년)

- 섬서성 서안시 백가구(白家口)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착심의여용(着深衣女俑)_심의를 입은 여자 인형.
- 한대(기원전 202년-220년)

- 섬서성 서안시 백가구(白家口)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호복(胡服)

- 호복은 원래 북방의 소수민족의 복장으로서 대부분 소매가 좁은  상의와 긴 바지ㆍ가죽신과 함께 짝을 이루어 승마작전에 편리하다. 조무령왕(趙武靈王)은 처음으로 호복을 입고 말을 타며 활을 쏘았는데, 이때부터 기병이 흥기하여 차전(車戰:수레 전투)이 점차 몰락하였고, 전통적인 상의 하상식 복장은 대부분 여성의 치마로 전환되었다.

 

 

# 혁대(革帶(와 대구(帶鉤)

- 선진시기의 귀족들은 정장을 입을 때 허리춤에 큰 띠와 혁대를 맸다. 큰 띠는 견직물로 제작되므로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서는 안되며 불(巿)와 패(佩)는 모두 혁대에 묶어야 한다. 평민들은 가죽띠만 묶는데, 이른바 '포의위대지사(布衣韋帶之士)이다. 금속 버클이 현하기 전에는 가죽띠의 양 끝은 주로 좁은 끈으로 매듭을 묶었다.

 

 

 

 

 

◆  좌: 사랑서우문금대두(四狼噬牛紋金帶頭)_4마리 이리가 소를 물어 뜯는 문양의 금띠 머리.

- 한대

 

 

◆   장방형대휼(長方形帶鐍)_ 장방형 띠 걸이. *복제품.
- 서한시기(기원전 202年-기원후8年)

- 오녕서 서풍(西豊) 서분구(西岔沟) 출토.
- 진품은 요녕성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채회궤좌여용(彩繪跪坐女俑)_무릎꿇고 있는 형태의 채색 여자 인형.

- 한대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착의목용(着衣木俑) *복제품.
- 서한시기
- 호남성 장사(長沙) 마왕퇴(馬王堆) 1호 한묘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채회십자계녀입용(彩繪十字髻女立俑)_머리를 십자로 묶은 서 있는 여자 인형.
- 섬서성 서안시 초자파(草場坡) 출토.
- 북위(北魏) 386-534.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채회목조여무용(彩繪木雕女舞俑)_나무를 조각해서 만든 채색 여자 무용수 인형.
- 동한((25-220)
- 감숙성 마위(武威) 마저자(磨咀子) 한묘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감금옥용문칠대구(嵌金玉龍紋鐵帶鉤)_금옥을 상감한 용문양 쇠 띠고리.
- 전국시기(기원전 403-221)
- 하남성 신양(信陽) 장대관(長臺關)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삼인주악동대구(三人奏樂銅帶鉤)_3명이 음악을 연주한 형상이 있는 구리 띠고리.
- 한대
몽고(蒙古) 준격이기(准格爾旗)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유금감옥양유리은대구(鎏金嵌玉鑲琉璃銀帶鉤)_도금하고 옥에 상감하고 양쪽에 유리 갈고리가 있는 은 띠고리.

- 전국시기
- 하남성 휘현 고위촌(古韋村) 전국시기 무덤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육릉금대구(六棱金帶鉤)_6각형 금 띠고리

- 춘추시기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동한 문관 착장_

 

# 남장(男裝)

 

 

◆ 어인용(圉人俑)_마부 인형

- 진(秦)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수(綏)

- 수(綏)는 본래 관인을 매는 띠인데, 그 후에 그것을 넓히고 길게 하여 관복에 직위의 높낮이를 구별하는 표지가 되었다. 한대(汉代)는 1명의 관리는 반드시 1개의 인장이 있고, 1명의 인장은 반드시 1개의 수(綏)가 있었다. 사회적 관념으로 말하자면, 수(綏)는 거의 권력과 지위의 상징이 되었다. 한대의 수(綏)는 견직물로 너비가 모두 1척 6촌(한척 약 36.8cm)이고 길이와 색채는 관위에 따라 다르며 지위가 존귀할수록 수(綏)도 길어진 다. 황제의 수(綏)는 길이가 2장 9척 9촌((약 687.7cm), 제후왕의 수(綏)는 길이가 2장 1척((약 483cm), 공(公) 후(侯) 장군은 각각 1장 7척(약 39cm)이다.

 

 

 

# 진한 위진남북조(秦漢 魏晉 南北朝) 복식

 

 

# 관제(冠制)_관(冠)

- 고대의 관과 현대의 모자는 같지 않다. 처음에는 상투에 얹은 머리덮개일 뿐 정수리 전체를 덮지 않았다. 중국 고대의 사(士) 이상 계층의 남자는 20세에 관례를 행하여 성인이 되었기 때문에 관을 쓰는 것은 우선 예의상의 요구였다. 사회적 지위가 다른 사람은 착용하는 관도 차이가 있었다. 
현재 역사문헌에는 선진시대의 각종 관(冠)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실물이나 이미지의 고증이 부족하여 구체적인 형태가 불분명하다. 지금은 자료가 좀 풍부한 진나라 시기의 관(冠)부터 말할 수밖에 없다.

# <아래의 그림>
섬서성 함양시 진시황릉 병마용 구덩이에서 출토된 도용이 쓴 관이다.

古代的冠和现代的帽子不同,它起初只是加在髻上的发 罩,并不盖住整个头顶。我国古代士以上阶层的男子,二十岁行 冠礼而为成人,所以戴冠首先是礼仪上的要求。不同社会地位 的人,所戴的冠也有所差别。
现有历史文献中对先秦时的各种冠有所记载,但由于缺少 实物或图像相印证,具体形制不明。目前只能从资料稍丰的秦 冠说起。

陕西咸阳秦始皇陵兵马俑坑出土的陶俑所戴之冠

 

 

 

 

 

 

# 면(冕)_면류관.

- <주례 · 사복>의 기록에 따르면 주나라 때에는 "오면(五冕)"이 있었는데, 각각 곤면(衮冕)취면(鷲冕)ㆍ흠면(鑫冕)ㆍ귀면(歸冕)현면(玄冕)이라고 기록하였으나, 아직 고고학 자료가 확인되지 않았다. 동한 때부터 면류관을 제복(祭服)으로 삼았다. 황제(皇帝)의 면류관 12류(旒:술)은 백옥 구술이고, 왕공과 제후의 7류는 청옥 구술이며, 경대부 5류는 흑옥 구술이다.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 "앞쪽은 뒤로 젖힌다고 해서 면(冕)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면류관 꼭대기의 연(綖:면류관 싸개)는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공손함을 나타내고, 류(旒:술)를 드리우는 것은 예가 아니면 보지 말라는 뜻이며, 귓가에 드리운 주광(黈纊:솜)은 예의가 아니면 듣지 말라는 뜻이다. 조형(造型)은 천지에 대한 경앙(敬仰)에 착안하여 전혀 오만한 기색을 띠지 않는다.

수(隋)나라 이후 면류관의 사용 범위는 약간 확대되었지만, 극히 성대한 큰 의식에서만 착용하였고, 일반적인 장소에서는 비록 제왕이라도 면류관을 착용하지 않았다.

 

 

 

《周礼·司服》记载, 周代有“五冕”, 分别为衮冕、鹫(bì) 冕、鑫(cuì)冕、归(chí)冕、玄冕, 然而尚无考古材料证实。自东 汉始, 以冕为祭服。皇帝的冕十二旒(liú)系白玉珠, 王公诸侯七旒系青玉珠, 卿大夫五旒系黑玉珠。 《白虎通义》说: “前俛(位)而后仰,故谓之冕也。”冕顶上的綖(yán)板略向前倾, 表示恭谨, 垂旒表示非礼勿视, 耳旁所垂黈纩(tõukuàng)表示非礼勿听。造型立意 于对天地的敬仰, 全然不带倨傲之气。隋以后冕的使用范围稍扩大, 但也只在极隆重的大典礼上戴, 一般场合中虽身为帝王也不戴冕。

山东沂南东汉嘉画像石中的戴冕者
图中的冕高高昂起,失其本意,民间画工对冕 制不免脑膜。
<宋代聂崇义《三礼图》中所绘>

 

 

 

 

# 당대복식(唐代服飾)

 

# 초당(初唐) 관원 상복. / 성당 시녀 분장(扮裝)

 

 

 

좌: 수정차(水晶釵): 수정으로 만든 비녀

우: 은탁(銀鐲)_은 팔찌.

 

 

 

 

 

 

# 당송 5대 귀족여성 분장 / 당대 제왕 예의 복장.

 

 

# 남송 관원 공복(公服:관복) / 남송 여성 일상 분장.

 

 

 

# 송 료 금 서하 원(宋 遼 金 西夏 元) 복식

- 송대는 5대10국의 할거의 동란국면을 매듭짓고 사회경제가 일정 정도의 발전을 가져왔다. '정주리학(程朱理學)'은 송대의 사상과 통치의 지위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송대의 생활 방식과 심미적 기준에 영향을 주어 복식에서 소박하고 내성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양송(兩宋)과 병존하던 요서하 등 소수민족정권은 사회경제문화에 있어서 중원 한민족과 융합되였다고 말하였는데, 한나라 복식이 호복화 되고, 호복이 한나라 복식으로 변화한 것은 민족의 융합이 복식에서 가장 뚜렷한 실체이다. 원나라 복식은 북방 초원 유목민족의 특색을 더 많이 보존하고 한민족의 영향을 받아 관복 제도를 설립하였다.


宋代结束了五代十国割据的动乱局面, 社会经济得到一定程度的发展。“程朱理学”占据了宋代的思想统治地位, 影响了宋代的生活方式与审美标准, 在服饰上表现为 一种简朴、内敛的倾向。与此同时, 和两宋并存的辽、金、西夏等少数民族政权, 在社 会、经济、文化上告与中原汉民族之间产生了交融, 汉服胡化和胡服汉化是民族交融在服饰上最明显的体现。元代服饰则更多地保留了北方草原游牧民族的特色, 并受到汉民族的影响而建立了冠服制度。

 

 

# 송대 복식(宋代 服飾)_남장(男裝)

- 송나라는 당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전통양식의 제복조복이 있고, 동시에 또 예제를 숭상하였기 때문에 송대에 관면복 제도에 대해 수정을 진행하였다. 면복조복의 형태는 전대와 비슷하지만 공복(公服)은 수당의 상복(常服:일상복)과 비슷하여 송대의 조복과 공복과 비교적 큰 차이가 생겼다. 선비의 복식은 일종의 소박하고 내성(內省)적인 기풍을 나타내며, 서민들의 옷차림도 일정한 규범을 가지고 있었다.

 

宋承唐制, 有传统式样的祭服、朝服, 同时又崇尚礼制, 故宋代对冠冕服制进行了修订。冕服、朝服形制与前代相似, 但公服则与隋唐常服形似, 由此使宋代的朝服与公服有了较大区别。士人服饰则呈现一种雅净内省之风, 庶民百姓 穿着亦有一定规范。

 

 

 

 

의장용(儀仗俑)_의장 인형.河南方城宋墓出土
- 송대(960-1279)
- 하남성 방성(方城) 송대 무덤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여자(女裝)

송대 여성복 상의는 복(福)ㆍ오( 袄)ㆍ삼(衫)ㆍ배자(背子)반비(半臂)ㆍ배심(背心) 등의 형태가 있고, 하의는 한군(漢裙)을 위주로 하며, 전체적인 풍격은 늘씬해지고 나풀나풀 흔들리며, 풍채가 약해 보여, 만당과 5대의 넓어진 복식과 다르다.

宋代女装上衣有福、袄、衫、背子、半臂、背心等 形制, 下装汉裙为主, 整体风格趋于修长, 飘飘曳地, 显得风姿掉约, 与晚唐、五代宽掉的服式有别。

 

 

 

◆ 천배자여용(穿背子女俑)
- 송대
- 하남 방성 송대 무덤 출토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여자속발전조(女子束髮磚雕)_머리 묶은 여자를 새긴 벽돌.
- 송대
- 하남성 언사(偃師) 구류구(九柳沟) 송대 무덤 출토.宋墓出土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탁헐도(卓歇圖)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채회간차목인(彩繪赶車木人)_채색한 수래를 끄는 나무 사람
- 요(遼)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좌상: 입풍금차(立風金釵) /  요(遼)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좌하: 화조문금수탁(花鳥紋金鐲) 화조문 금팔찌/  요(遼)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우: 마갈형금이추(摩羯形金耳墜) 금귀고리/  요(遼)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마갈형금이추(摩羯形金耳墜)

 

 

 

# 요금 복식(遼金服饰)

 

요나라 직관의 공복 이름은 "전과(展裹)"이고, 평상복 이름은 "반과(盤裹)"로, 모두 좁은 소매 두루마기이며, 발에는 가죽신을 신는다. 머리에 띤 두건 이름은 "탑아(塌鵝)"인데 꼭대기는 원형이며, 앞에 접힌 것은 송나라 스타일의 복두(幞頭)와 다르다. 금대(金代)는 대체로 이 제도를 답습하였는데, 거란과 여진의 머리 스타일이 모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요나라와 금나라 여인은 홑옷을 입고 곧은 옷깃에 왼쪽으로 여미고 땅에 끌렸다. 그녀들이 쓴 둥근 모자는 요나라 시대에 '과라모(瓜拉帽)'라고 불렸다. 홑옷을 입고 과라모를 쓴 요나라 여자는 반과(盤裹)를 쓰고, 탑아(塌鵝)를 쓴 요나라 남자와 서로의 복장이 어울렸다.
이밖에 요ㆍ금은 또 "적돈고(吊敦褲)"를 입었는데 허리에는 멜빵이 있고 바지밑에는 양말이 연결되어 있다. 양말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바지에 각대(脚帶)를 한 경우도 있다.

 

반과(盤裹) : <해동역사>에는 " 요나라 때 고려의 사신이 들어가서 알현하는 의식 가운데 신료들이 옷을 갈아입는 것을 반과(盤裹)라고 하는데, 녹화착포(綠花窄袍)와 녹중단(綠中單) 차림을 하며, 붉은빛이 도는 녹색 천을 쓴다.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라고 하였다.

辽代职官公服名“展裹”, 常服名“盘裹 ”, 都是一种窄袖袍, 足穿靴, 所戴头巾名“塌鹅(chi)”, 顶部呈圆形, 与前有一折的宋式幞头不同。金代大体沿袭此制, 因契丹与女真的发式皆不束誉之故。
辽、金女子着团衫, 直领左衽, 长拂地。她们戴的圆顶帽, 辽代称“瓜拉帽”。穿团衫戴瓜拉帽的辽代女子, 与穿盘裹戴塌鹅中的辽代男子, 彼此的服装互相协调。
此外辽、金还穿一种“吊敦裤”, 腰上有背带, 裤脚下连有袜子; 也有不连袜子, 而在裤口加上蹬脚带的。

* 黑龙江阿城金齐国王墓出土的塌鹅巾 (黑龙江省博物馆供图)
* 黑龙江阿城金齐国王墓出土的吊 敦裤(黑龙江省博物馆供图)
* 内蒙古库伦旗2号辽墓壁画中 穿团衫戴瓜拉帽的女性
* 河北宣化下八里辽墓壁画中 着盘裹、头戴塌鸱巾的男子
* 内蒙古巴林右旗床金沟5号

 

 

◆ 곤발(髡髮)

머리카락 스타일로 말하자면, 거란여진당항(黨項)몽골 각 민족은 모두 정수리를 묶고 나머지 머리카락은 늘어뜨리거나 땋는데 모양이 제 각각이다.


就发式而言, 契丹、女真、党项、蒙古各族皆顶, 余发或散垂或扎辫, 形制不一。

 

 

# 요 금 서학 복식

 

서하는 양송과 병존하던 세 개의 소수민족정권으로서 요는 거란족을 위주로 하고, 금은 여진족을 위주로 하며, 서하는 당항족(黨項族)을 위주로 한다. 세 개의 소수민족 정권은 양송과 대립하고 전쟁이 끊이지 않았지만 객관적으로 중원의 한민족과 변방 소수민족의 융합을 추진했고 복식 제도는 중원 한민족의 영향을 뚜렷하게 받았다.
원대 몽골인의 복식은 한인과 달리 처음에는 등급의 구분이 없었으나, 중원에 진입한 후 그 영향을 받아 복식에 상응하는 등급 규정을 만들어 점차 엄격한 착용 규범을 가지게 되었다.

 

辽、金、西夏为与两宋并存的三个少数民族政权, 辽以契丹族为主, 金以女真族为主, 西夏以党项族为主。三个少数民族政权虽与两宋对立, 战争不断, 但客观上促进了中原汉民族与边疆少数民族的交融, 服饰 制度明显受到中原汉民族的影响。
元代蒙古人服饰与汉人不同, 起初无等级之分。进入中原之后受其影响, 对服饰伴出了相应的等级规 定, 逐步有了严格的穿着规范。

 

 

# 관식(冠式)

 

송대 (宋代) 여성들은 머리에 쓰는 장식을 좋아하였는데 스타일이 다르며 명목과 형태가 다양하였다. 어떤 것은 후비가 성대한 장소에서 쓴 예관인데, 예를 들면 봉관(鳳冠)구룡화채관(九龍花釵冠)의천관(儀天冠) 등이다. 어떤 것은 귀족 여성이 머리에 쓰는데, 예를 들면 주관(珠冠)중루화관(重樓花冠)이 있다. 어떤 것은 민간 여성들이 즐겨 소장하는데 예를 들면 산구관(山口冠), 건괵(巾幗) 위에 비녀에 꽃을 꽂는 화관이다. 어떤 것은 젊은 여성들에게 사랑받는데, 예를 들면 단관(團冠) 등이다.

宋代女性喜戴准, 式样不一, 名目和形制繁多。有的为后妃在隆重场合所戴的礼冠, 如凤冠、九龙花钗冠、仪天冠等; 有的为贵族女性所戴, 如珠冠、重楼花冠; 有的为民间女性所喜藏, 如山口冠、巾帼上簪花的花冠; 有的为年轻女性所爱, 如团冠等。

# 하피(霞帔)

하피는 송대에 나타났는데 원래는 궁중의 후비의 예복에서 <처음> 찼으며, 뒤이어 내명부에 널리 사용되였는데 후에 민간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하피는 금실 자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둘레를 감으면 가슴 앞에 있고, 무릎 아래로 드리우며, 밑단에는 추자(墜子:펜던트)가 달려 있다. 차고 띠는 것은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추자(墜子)에 옥(玉)금(金)은(銀) 같은 각종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는 공예 정품이 적지 않다.


霞帔出现于宋代, 原为宫中后妃礼服中所佩, 继而遍施于命妇, 后来民间也广泛使用。霞被多用金线刺绣, 绕项故于胸前, 垂至膝部以下, 底端系坠子。依佩带者身份的不同, 帔坠有玉、金、银各类, 其中不乏工艺精品。

 

# 전족(纏足)

전족은 5대시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지지만, 북송에서는 아직 보편적이지 않았고, 남송 때에야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심지어 마을 부인도 감아서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据传缠足始于五代,但北宋尚不普遍,南宋时才流行开来, 甚至村妇也缠, 对健康造成莫大伤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