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6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3
# 청대복식(淸代服飾)
청나라는 머리를 깎아 옷을 쉽게 입도록 하였다. 생각건대 만주족의 풍습에 따라 남자복식을 통일하였으며 한족의 전통적인 면관제도를 페지하였다. 통치자는 국가정책의 제정과 집행에 있어 모두 뚜렷한 만주 민족문화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복식에 있어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 복식은 본 민족의 말 타고 활 쏘는데 편한 부분을 기본적인 특징을 보존하는 전제하에서 한민족 복식에 포함된 예제 사상과 상서로운 문양과 색채 등 요소를 그 속여 녹여 넣어 독특한 청대 복식문화를 형성했다.
清朝推行剃发易服, 按满族习俗统一男子服饰, 废除汉族传统冕冠制度。统治者在国家政策的制定和执行上均具有明显的满民族文化特征, 在服饰上表现尤为明显。其服饰在保留本民族便于骑射基本特征的前提下, 将汉民族服饰中所包含的礼制思想, 以及吉祥纹样、色彩等元素融入其中, 形成了独特的清代服饰文化。
# 청대_남장.
# 청대 남성 순행(巡行), 기사(騎射) 착장. / 청대 기인(旗人) 여성 편복(便服)
# 청말 한족 여성 분장.
원 무종 해산상(元武宗海山像)
- 청대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한족 여성 복식
청나라 초기 민간의 속언에 남자가 “남자가 항복하면 여자가 항복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남자는 만주 복식을 입기 쉽고 여자는 한족 복식을 입기 쉽기 때문에 명나라 복제를 답습하여 여자는 여전히 저고리와 치마를 입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청나라 말기에 비교적 유행하는 한족 여성들은 저고리와 바지를 입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과 바지에 테두리를 두르는 것이 유행하는데, 10여 개의 테두리를 두르는 사람이 있는데, 속칭 "큰 테두리"라고 한다. 전족(纏足)의 풍조는 청대 한족 여성들 사이에서 줄곧 이어지져 바뀌지 않았다.
清初民谚称“男降女不降”, 指男子易服着满装而女子着汉装, 故沿袭明制, 女子仍穿袄、裙。清末, 较时尚的汉族女性会穿袄裤, 且流行在衣、裤上镶边, 有镶十余道者, 俗称“大镶沿”。缠足之风在清代汉族女性中则一直相沿未替。
# 좌: 황제 동절기 조회용 관 / 우: 황제 하절기 조회용 관,
# 좌: 황제 동절기 길복 관 / 우: 황제 하절기 길복 관,
# 친왕(親王) 망포(蟒袍) *길복.
# 명황주단용암화초피괘(明黃綢團龍暗花貂皮掛)
- 청대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장색주단리암화상복포(醬色綢團螭暗花常服袍)
- 청대
-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기타 관정(官定) 복식.
예복ㆍ길복 제외한 청대 궁궐에서 정한 복식은 또 상복(常服)ㆍ행복(行服)ㆍ비옷ㆍ군복ㆍ평상복도 포함되었다. 상복(常服)은 일반성이 비교적 공식적인 장소에 착용한다. 행복(行服)은 외출 순행ㆍ 수렵할 때 입는다. 비옷은 비가 올 때 입는다. 군복은 군사활동에 참가하는데 입는다. 평상복은 청대 궁궐에서 일상적으로 한가할 때 입던 것이다.
除礼服、吉服外, 清代官定服饰还包括常服、行服、雨服、戎服、 便服。常服用于一般性较正式的场合; 行服为外出巡行、狩猎穿用; 雨服为下雨时穿着; 戎服用于参加军事活动; 便服则为清代宫廷日常闲居时穿用。
# 청금석조주(靑金石朝珠) -관원용,
# 황제 조주(皇帝 朝珠)
# 여장(女裝)_여성 장식.
# 청사지운룡쌍희문여조괘(靑紗地雲龍雙喜紋女朝掛)
#
# 천록단수화접고저기혜(淺綠緞繡花蝶高底旗鞋)
# 설청단수초충화분저여혜(雪靑緞繡草蟲盆底女鞋)
# 남단수회문화훼고저기혜(藍緞繡回紋花卉高底旗鞋)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08_베이징_중국국가박물관을 찾아서_중국고대자기 (4) | 2024.11.28 |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9 (2) | 2024.11.26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5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2 (0) | 2024.11.21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1) | 2024.11.20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2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