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양진(兩晉)시기
# 양진(兩晉: 동진, 서진)
<https://baike.baidu.com/item/%E6%99%8B%E6%9C%9D/195770?fromtitle=%E4%B8%A4%E6%99%8B&fromid=6334934>
<https://zh.wikipedia.org/wiki/%E6%99%8B%E6%9C%9D>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j0960a>
◆ 도용(陶俑)
- 晉
- 1958년 호남 장사 금분령 출토.
- 말을 탄 토용에만 말 한필에 등자가 하나씩 있는데 말을 진상할 때 쓴 것으로,중국 내륙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사용된 등자 형태이다.
◆ 질 술통, 질 쟁반, 질 구기[陶樽, 陶盤, 陶勺]
- 서진
- 1953년 강소 의흥주씨 묘군 출토.
◆ 청자 향로[靑瓷香熏]
-西晉
- 1953년 강소 의흥조씨 묘군 출토.
◆ 청자 혼병(靑瓷魂甁)
- 西晉
- 강소 오현 출토.
*3층에 걸쳐 인물 조소가 있다.
◆ 청자 혼병(靑瓷魂甁)
- 西晉
- 혼병은 穀倉罐이라고도 하는 수장용품으로, 삼국시대 오나라 및 서진시깅 유행하였다. 혼병은 공예가 매우 복잡하며 貼片, 手捏, 模印, 鏤雕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위에는 현생처럼 아름다운 집이 있고, 병 외부에 도드라진 문양이 있다.
◆ 청자 양 모양 촛대[靑瓷羊形燭臺]
- 東晉
- 1976년 강소 진강(鎭江) 출토.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青瓷羊形烛台
长17厘米、高14.7厘米
1976年江苏镇江出土
青瓷羊呈昂首跪卧姿态,全身施晶莹的青色釉,在羊的头部和身上点缀着几处褐色的斑点。羊头顶部的圆孔用于插放蜡烛。褐色点彩是两晋南朝时期出现的瓷器装饰技法,它是将褐彩涂绘在瓷器的胎体上,然后罩上青釉,再入窑高温一次烧成。褐色点彩是我国釉下彩瓷的初期形式,在瓷器装饰技术上具有里程碑的意义,为后来的釉下彩瓷发展奠定了基础。
◆ 검은 채색의 닭머리 도자기 호[黑釉鷄首瓷壺]
- 동진
- 1969년 강소 진강 출토.
- 흑유자기는 동한 시대에 처음 만들기 시작했다. 동진 시기 德淸窑에서는 청자의 기초 위에 우수한 품질의 흑유자기를 만들었다.
*다른 호와는 모양이 다르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黑釉鸡首瓷壶
高15.6厘米,盘径7.1厘米,底径10.3厘米
1969年江苏镇江出土
这件鸡首壶是盛酒器,盘形注入口,细颈,扁圆腹,肩部前端有一鸡首形流,后端有把手,肩两侧各有一个桥形钮。瓷胎灰色,质地坚硬、细密,器壁上薄下厚。瓷胎外面大部分部位施有深褐色的釉,只是靠近底部的部位不施釉。釉层较厚,釉色均匀。
◆ 청자 세숫대야[靑瓷洗]
- 동진
- 1976년 강소 진강 출토.
◆ 우차인물자용(牛車人物瓷俑)
- 동진 남조
- 2005년 광서 하주 장군산 출토.
- 광서 하주박물관소장.
◆ 기마자용(騎馬瓷俑)
- 東晉 南朝
- 2005년 감서 하주 장군산 출토.
- 광주 하주박물관소장
◆ 돌로 만든 불탑[石佛塔]
- 16국_北凉
- 1969년 감수 주천(酒泉) 출토.
* 1단과 2단에는 부처가 새겨져 있고, 아랫부분에 전체 둘레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 덕청 가마 도구[德淸窑具]
- 절강 덕청 초산 출토.
◆ 하수관과 기와?
◆ 청동 거울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남조(南朝)시기 (0) | 2019.04.29 |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북조(北朝)시기 (0) | 2019.04.29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삼국(三國)_위(魏), 촉(蜀), 오(吳) (0) | 2019.04.29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신(新)_동한(東漢) (0) | 2019.04.27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0) | 2019.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