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삼국(三國)_위(魏), 촉(蜀), 오(吳)

by isanjo 2019. 4. 29.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5_삼국(三國)시기


# 위진 남북조(魏晋南北朝:220년~589년)라고도 부른다.

이 시기는 조조의 위나라[曹魏],유비의 한나라[蜀漢], 손권의 오나라[孫吳]가 병립하는 삼국시기와 동진(東晉)과 진조(晉朝)를 합친 서진시기, 동진과 16국시기, 남조(南朝)와 북조(北朝)가 대립하던 남북조시기로 구분한다.


- 이시기에는 흙으로 만든 작품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아마도 세계2차대전 이후 문화제 발굴을 위해 노력한 댓가일 것이다.





# 삼국: 위(魏), 촉(蜀), 오(吳)


<https://zh.wikipedia.org/wiki/%E4%B8%89%E5%9C%8B>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60092>

<https://baike.baidu.com/item/%E4%B8%89%E5%9B%BD/5428?fr=aladdin>



◆ 질 절구와 공이, 질 디딜방아, 질 삼태기, 질 체[陶臼杵, 陶踏碓, 陶簸箕, 陶篩]


- 삼국_吳

- 1958년 강소 남경 청량산 출토.




◆ 청자 양 모양 촛대[靑瓷羊形燭臺)


-삼국_吳

- 1958년 강소 남경 청량산 출토.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青瓷羊形烛台


 长30.5厘米,高25厘米
1958年江苏南京清凉山出土

烛台呈跪伏羊形、羊昂首张口、双角绕耳弯曲、额上有一圆孔,可用于插烛。羊躯肥壮,脊背长毛分披,腰间划双翼,臀部贴短尾,四肢卷曲。其胎质灰白,青釉绿中微微泛黄。这件烛台釉色匀净,充分显示出这一时期在烧造青瓷器的原料选择上的重大进步。而卧羊整体塑造简练,局部刻划精细,将羊的驯顺特性凸显无遗,反映了这一时期在烧造青瓷器的艺术化方面的追求。


◆ 청자 사자 모양 촛대[靑瓷獅形燭臺]


- 삼국_吳

- 1958년 강소 남경 청량산 출토.



◆ 청자호자(靑瓷虎子)_요강.


- 삼국_吳 赤烏14년(251년)

- 1955년 강소 남경 출토.



◆ 질 바리때와 질 구기[陶鉢 陶勺]


- 삼국_吳

- 1958년 강소 남경 청량산 출토.

*아담한 것이 지금 사용해도 무방할듯. 중국 식당에서 사용한 구기와 크기가 비슷하다.




◆ 질 남자 용[陶男俑]


- 삼국_蜀

- 1981년 사천 충현 도정(涂井) 출토.





◆ 도용(陶俑)









◆ 가무(歌舞)

- 손에 각자 악기 하나씩을 쥐고 있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持簸箕陶俑


 高54厘米
1981年四川忠县涂井出土

 这件陶俑头梳高髻,带笄,有簪花4支,额前饰一朵大花,身穿长裙,紧袖、束腰。左手持簸箕,右手持一件工具,戴手镯和串珠。忠县在古代是重要井盐产区,《华阳国志·巴志》记:“有盐官,在监、涂二溪。一郡所仰,其豪门亦家有盐井。”有的学者根据出土的大量陶俑和青铜钱推断,这座墓的主人与盐商或盐官家族有关。



◆ 삼체석경(三體石經)


- 삼국_魏 正始3년(242년)

- 이 석경은 원래 낙양 태학이 세워졌다. 전국 시대의 고문, 소전, 예서 3종의 자체로 상서, 춘추, 좌전 등 유가 경전 저작을 새겼다. 이것은 중국 고대 자체의 변화과정을 알 수 있다.




◆ 왼쪽부터 幷, 天, 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의 변화



◆ 흑색의  누각에 불상이 있는 질 혼병[黑釉樓閣佛像陶魂甁]


- 삼국_吳

- 강소 남경 출토.

-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초기에 부처를 초월적인 신이나 상서로 여겼다. 그래서 삼국시대 晉代에는 기물에 불상은 늘 건축의 수호자난 장식하는 圖像으로 만들었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黑釉楼阁佛像陶魂瓶


 高42厘米、腹径26厘米、底径16.3厘米
江苏省南京市出土

 魂瓶,又称“谷仓罐”,或“堆塑罐”,是流行于三国孙吴至西晋期间的一种形式独特的随葬品,多出土于江苏、浙江两省。瓶为平底,口沿以上部分堆塑楼阁、房屋、人物、飞鸟、走兽等,有的还有佛像和其他的装饰图案。这是为了祭奠死者、超度亡灵而专门烧制的随葬明器




◆ 은 호(銀壺)


- 3세기

- 청해(靑海) 대통(大通) 출토.

- 은호는 盧水胡 수령의 묘에서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신장 지역에서 제작한 것으로 그 장식이 모두 서양의 형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