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75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5_2층_위대한 상문명전10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5_2층_위대한 상문명전10 # 3.3. 품계의 차서를 분병히 하다.[秩序分明]2 2024. 8. 23.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4_2층_위대한 상문명전9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4_2층_위대한 상문명전9 # 3.3. 품계의 차서를 분병히 하다.[秩序分明]1  # 평민과 귀족.  # 귀족.  # 상왕(商王)  # 예제의 핵심.   # 대사공M123.                                     # 1. 동월 2. 안 구멍 동과 3. 안 곧은 동과 4. 안 굽은 동과 5. 동도 6-7. 동모 2024. 8. 2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3_2층_위대한 상문명전8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3_2층_위대한 상문명전8 # 3. 왕권국가 천하를 다스리다.   # 3.1. 점을 쳐서 의문을 풀다. 2024. 8. 19.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2_2층_위대한 상문명전7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2_2층_위대한 상문명전7 # 2.2. 은허 도읍4.   # 은허 족읍 복원 조감도 2024. 8. 17.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1_2층_위대한 상문명전6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1_2층_위대한 상문명전6  # 2.2. 은허 도읍3 # 1976년 안양 은허 부호묘 출토 석기 - 상대 말기 -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2024. 8. 15.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0_2층_위대한 상문명전5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0_2층_위대한 상문명전5 # 2.2. 은허 도읍2.   # 1976년 안양 은허 부호묘 출토 골기- 상대 말기-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1. 골족(骨鏃)_뼈 화살촉.   ◆ 02. 골족(骨鏃)_뼈 화살촉.    ◆ 03. 골계(骨筓)_뼈 비녀.    ◆ 04-05. 간자형 골계(干字形筓)  # 1976년 안양 은허 부호묘 출토 기물.- 상대 말기 -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1. 도관(陶管)  # 황호(隍壕)_해자.   ◆ '정' 동준(鼎銅尊)- ' 鼎'자가 새겨진 동준.- 상대 말기- 2022년 안양 은허 왕릉구 제사갱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2022년 안양 은허 왕릉구 제사갱 출토 기물.- 상대 말기- .. 2024. 8. 13.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9_2층_위대한 상문명전4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9_2층_위대한 상문명전4 # 2.2. 은허 도읍1.    # 1964년 안양 원북(洹北) 상성 삼감장(三家庄) 남쪽 교장 출토 동기.- 상대 중기- 안양박물관 소장. &   ◆ 01. 동언(銅甗)_동 시루.◆ 02. 수면문 동정(獸面紋銅鼎) 02.   # 1964년 안양 삼가장 남쪽 출토 동기.- 상대 말기 -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1. 동분(銅錛)_동 자귀.  ◆ 02. 동과(銅戈)   ◆ 03. 현문 동작(弦紋銅爵)_줄 문양 동작.  ◆ 04. 수면문 동가(獸面紋銅斝)    ◆ 05. 수면문 추족동정(獸面紋錐足銅鼎)_짐승문양 뼈족 다리 동정.  # 2015-2019년 안양 원북 상성 청동작방 유지 출토 도범.- 상대 만기.-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 2024. 8. 1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8_2층_위대한 상문명전3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8_2층_위대한 상문명전3 # 2.1. 언수 북쪽의 상성2. ◆ 01. 와문 동반(渦紋銅盤)_소용돌이 문양이 있는 동 쟁반.- 상대 말기- 1984년 안양 서북구 M259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1976년 안양 무관촌 북쪽 M229 출토 기물.- 상대 말기 -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 01-02.경도부(硬陶瓿)_단단한 도기 단지. 01. 02.   ◆ 03.대세동정(帶銴銅鼎) / 동두(銅斗) # 1984년 안양 무관촌 북쪽 M259 출토 기물.- 상대 말기-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4. 동과(銅戈)- 상대 말기- 1976년 안양 무관촌 북쪽 M137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5.. 2024. 8. 9.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7_2층_위대한 상문명전2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7_2층_위대한 상문명전2 #2. 상읍 번성하여 사방에 뻗치다.  # 2.1. 원수(洹水) 북쪽의 상성1.  # 궁성(宮城)  ◆ 01-07 도력(陶鬲)- 상대 중기- 1998년 안양 원북 상성 화원장(花園庄) 동쪽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01. 02. 03. 04. 05. 06. 07.◆ 08. 도력(陶鬲)- 상대 중기- 2016년 안양 원북 상성 한왕도(韓王度)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1-03 도관(陶罐)- 상대 중기- 2016년 안양 원북 상성 황왕도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4-06. 도두(陶豆)- 상대 중기- 1998년 안양 원북 상성 화원장 동쪽 출토.-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2024. 8. 7.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6_2층_위대한 상문명전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6_2층_위대한 상문명전1 # 1. 상족의 흥기와 왕조의 설립. # 1. 상족의 흥기와 왕조의 설립.  # 1.1. 상족(商族)의 기원. # 상족 기원설. # 장하설(漳河說)- 대표인물: 정산(丁山), 이아농(李亞濃), 추형(鄒衡), 이백겸(李伯謙) 등.- 주요관점: 정산(丁山)의 에서는 상족은 영정하(永定河)와 구수(滱水) 사이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아농(李亞濃)의 에서는 상족은 하북성 역수(易水)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추형(鄒衡)은 에서는 '商'과 '章'의 고자는 서로 통용되었다. 아주 옛날에 창수(漳水)를 혹자는 상수(滳水)라고 불렀는데 상족은 이 창수 유역에서 발원하였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백겸(李伯謙)의 에서는 상족은 하북성 남부와 하남성 북부.. 2024. 8. 5.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5_상대 간략 설명 전시관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5_상대 간략 설명 전시관- 상대 역사의 재현. 아름다운 문명을 후세에 남기다.    # 에 “하늘이 제비에게 땅으로 내려가 상을 낳게 했다(天命玄鳥 降而生商)”라고 현조설화를 노래하였고, “상읍은 아름답다(商邑翼翼)” 등으로 칭송한 대목이 있다.  # 제곡(帝嚳)- 기록에 따르면 제목은 상나라 사람의 시조로 이름은 준(夋)이다. 초음 신(辛)에 봉읍을 받아 '고신씨(高辛氏)'라고 불렀는데, 황제의 증손이라고 한다.  제곡이 부락의 수령이 된 후 추호처럼 살피고 민의를 따랐으며 사람과 위엄을 함께 베풀에 사람들이 믿고 따라 매우 백성들의 사람과 추대를 받았다. *# 기(夔) # 설(契) # 소명(昭明) 상토(相土) 창약(昌若) 조어(曹圉)  # 명(冥) 왕해(王亥) 왕항.. 2024. 8. 4.
동네한바퀴_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 도서관 - 2024년 디지털 동아시아 고전학 학술대회를 참관하러 은평구 한국고전번역원에 다녀왔다.  -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함경도 빈흥과(賓興科) 연구단국대학교 김다미.- 조선시대 책문(冊文)의 관습적 패턴 분석_ 및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최솔잎.-디지털 인문학 방법으로 본 - 단국대학교 신윤수.         # 한국고전번역원 도서관 지하 고서실. 모두 유리장에 들어 있다. 열람은 불가.- 문고 이름은 . 백농 최규동 선생이 1922년 중동학교에 개설한 고교도서관.   # 고서장. 너무 소박한 표지판. - 양쪽으로 대형 유리장 2개가 있다.      # 도서관 1층- 고전번역원 강의 교제 코너.  # 신착도서 코너.  - 도 보인다.  # 중동문고 1층 전시실.  .. 2024. 8. 3.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4_상문명 탐색 전시관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4_ 상문명 탐색 전시관. # 머릿말.   1. 갑골의 발현과 고고학의 흥기.        # 2.           # 전성기   2.1.                   # 기물 유형학과 고고학 문화분기.      # 1. 은허 유적 도기 특징.   - 작(爵) - 중국사화과학원고고연구소 안양 대(安陽隊) 소장.      # 고(觚)      # 궤(簋)      # 가(斝)      # 두(豆)      # 2. 언사산성(偃師山城) 도기 특징.   # 궤(簋)     # 1. 은허#  두(豆)     # 3. 얼리터우 유지 도기 특징.     # 정(鼎)-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얼리터우 대(隊) 소장.    # 각조분(刻槽分)     # 작(爵)        .. 2024. 8. 2.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3_車馬3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3_車馬3 # 공능배치(功能配置)  # 마차 개량.  # 마차 공능(功能)  # 승차(乘車)   # 전차(戰車)   # 마차 배치.  # 쌍차(雙車) 출행.  # 자앙(子央)이 수레에서 떨어지다.  # 마차 장례  # 배장(陪葬) 유형.   # 배장 규격.    # 맺음말. 2024. 8. 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2_ 殷墟遺迹전시관_車馬2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2_ 殷墟遺迹전시관_車馬2 # 14. 마액식(馬額飾)_말 이마 장식.    ◆ 13. 동원포형마액식(銅圓泡形馬額食)_둥근 거품모양 동 말 이마 장식.- 상대 말기- 2004년 안양 대사공M231출토- 중국사회과학원고고연구소 소장. ◆ 14. 동원포형마액식(銅圓泡形馬額食)_둥근 거품모양 동 말 이마 장식.- 상대 말기- 1999년 안양 유가장M971출토- 중국사회과학원고고연구소 소장.  ◆ 15. 동마비식(銅馬鼻飾)_동 말 코 장식.- 상대 말기- 1974년 안양 강철공사M216출토- 중국사회과학원고고연구소 소장.  ◆ 16. 동마비식(銅馬鼻飾)_동 말 코 장식.- 상대 말기- 1972년 안양 철강공사M7출토- 중국사회과학원고고연구소 소장.  # 마비식(馬鼻飾)_말 코 장.. 2024. 7. 3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_ 殷墟遺迹전시관_車馬1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1_ 殷墟遺迹전시관_車馬1 도로 바로 옆에 매표소가 있다. 여기서 표를 사서 한참을 걸어가야 박물관 입구가 나온다.입구 위에는 청동기의 문양과 갑골문으로 " 大邑商 " 세 글자가 새겨져 있다. " 대읍 상(大邑商) "은 상나라 사람들이 자기의 국도를 부르는 미칭이다.   # 은허박물관 참관 흐름도.  # 거마 유적전(車馬遺迹展).수레는 덜커덩덜커덩거리고 말을 히힝 소리를 낸다.  # 머릿말.  &   # 수레거의 다양한 모양.   # 거마의 구조. &   # 마차결구(馬車結构) &    &    &   # 복원 전시된 마차와 말.-  마차 주변으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 1. 끌채장식[轅飾]   # 핸폰 s22    #  1. 끌채장식[轅飾] 설명서 .. 2024. 7. 30.
고대유물_132_치(觶) ◆ 치(觶)_청동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13_청동기4  ◆ 치(觶)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 서측_N16_애국정회1_청동기     ◆ "부정父丁" 청동 술잔_치[觶]- 상대  ◆ 새 무늬 청동 술잔_치[鳥紋靑銅觶]- 서주西周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남관4층_2호 중앙西_청동기1_추가   ◆ 술잔_치(觶) - 상대 후- 이 기물의 안쪽 바닥에는 한마리 새 모양 그림이 있고 그 아래에 "父己"라는 명문이 주조되어 있어, 이 기물이 선고의 묘호를 쓴 것을 알 수 있다.   2019_베이징 국가박물관 4층 북16_해대조종(海岱朝宗)_산동 고대 유물15 ◆ 테두리가 문양 청동 잔[弦紋靑銅觶]- 서주 초기- 산동성 高靑陳庄 유지 18호묘 출토- 산동성 문물고고연구원 소.. 2024. 7. 27.
이팝나무 버섯 # 이팝나무 버섯- 이팝나무 버섯은 처음본다. 비가 억쑤로 내리고 난 다음날 해가 쨍쨍하더니 버섯이 올라왔다. 표고와 느낌이 비슷하다. 2024. 7. 25.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5_대형 그림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5_대형 작품◆ 요지연도(瑤池宴圖) 8폭병풍- 19세기- 작자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 10폭병풍.- 19세기말~20세기 초- 작가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8폭병풍.- 19세기- 작가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십장생도(十長生圖) 10폭병풍- 19세기- 작기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묵죽도(墨竹圖) 10폭병풍- 1924년- 김규진(金圭鎭:1868~1933)-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영광풍경도(靈光風景圖) 10폭병풍- 1915년- 안중식(安中植: 1861~1919)- 리움미술관 소장. 2024. 7. 19.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4_도자기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4_도자기 # 수집가의 시선3. - 고 현수명 회장과 현승훈 회장._화승.- 고 서성환 회장과 서경배 회장. _아모레퍼시픽.   ◆ 청화백자 기명문 병- 19세기-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청화백자 대나무 무늬 각병-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백자 달항아리- 18세기- 현승훈 기증.   ◆ 백자 대호(白磁大壺)- 17세기말~18세기 초- 부산박물관[고 현수명 기증]  ◆ 백자 달항아리- 17세기 말~18세기 초-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편병- 15세기.-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철화백자 용문 호(壺)- 17세기 말~18세기 초- 부산박물관[고 현수명 기] # 용이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 2024. 7. 18.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3_그림3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3_그림3 ◆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 19세기- 작기 미상- 개인 소장 - 처음에 멀리서 보고 사진인줄 알았다.   ◆ 사인(士人) 초상- 19세기- 작가 미상- 개인 소장.    ◆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 1801년- 김홍도(金弘道: 1745~1806)- 개인 소장.    ◆ 귀거래도 8폭병풍.- 18세기- 정선(鄭敾: 1676~1759)- 개인 소장.             ◆ 도원문진도(桃源問津圖) #武陵桃源- 1913년- 안중식(安中植:1861~1919)- 리움미술관       ◆ 초동독서도(草堂讀書圖)- 18세기 말~19세기 초- 이명기(李命基: 1756~1813 이전)-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화제- 독서다년 종송개작룡린( 讀書多年種松皆作龍.. 2024. 7. 16.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2_그림2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2_그림2 # 수집가의 마음2- 고 이병철 회장과 고 이건희 회장.- 신성수 이사장.   ◆ 연지쌍압도(蓮池雙鴨圖)- 1760년- 심사전(沈師正: 1701~1769)- 리움미술관 소장.     ◆ 영모도(翎毛圖)- 19세기- 장승업(張承業: 1843~1897)- 개인소장.      ◆ 애군우국(愛君憂國) *보물.- 17세기- 허목(許穆: 1795~1682)- 신성수.     ◆ 답상출시도(踏霜出市圖)- 18세기- 김홍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고 이건희 기증]    ◆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_꽃과 새, 그리고 강아지들. - 16세기- 이암(李巖: 1499~?)- 개인소장.      ◆ 행서 대련(行書對聯)- 19세기-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개인소장.   ◆ 행서.. 2024. 7. 14.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1_그림1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1_그림1 # 전시회를 개최하며  # 부산에서 만나는 오리 시대의 수집가1  # 이병철  ◆ 신익성(申翊聖) 초상.- 17세기- 작가 미상- 신성수.     ◆ 박문수(朴文秀) 초상 *보물.- 1750년- 작가 미상.- 신성수. # 어릴 때 만화로 보던 암행어사 박문수....       ◆ 삽살개- 18세기- 김두량(金斗樑: 1696~1763)- 현승훈.         # 화제시문야직(柴門夜直) 밤에 사립문 지키는 것이시이지임(是爾之任) 바로 너의 소임이거늘여하도상(如何途上) 어찌하여 길가에서주역약차(晝亦若此) 이와 같이 짖고 있니.  ◆ 용정반조도(龍汀反照圖)- 18세기- 정선-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용정에서 지는 해.       ◆ 수하오수도(樹下午睡圖) *나무 아래서 낮.. 2024. 7. 12.
2024_부산박물관_특별전 연계 전시_초의선사와 한국의 차. 2024_부산박물관_특별전 연계 전시_초의선사와 한국의 차. 2024.5.2~7.7.  ◆ 백자 청화 주자 및 탁잔.  ◆ 백자 쌍귀 잔.- 19세기.  ◆ 조선시대 백자 차 도구   ◆ 백자 주자(注子)◆ 백자 탁잔(托盞)- 10~11세기.   # 고려시대 청자 차 도구◆ 국화무늬 상감청자 잔과 받침.   ◆ 참외 모양 청자 주자.     ◆ 청자 완(碗)  # 한국의 차 역사.   ◆ 산수인물도- 1885년_혀련(許鍊)   # 변지화(변지화)의 시-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 범해도화(法海道化)- 19세기- 김정희.      # 초의선사와 마음을 나눈 인사들.  ◆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1855년- 초의선사 / 용흥사.   ◆ 문수보살도(文殊菩薩圖)- 19세기- 초의선사 / 범어사 성보박물관. .. 2024. 7. 10.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7_미야자키 사츠키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7 #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 미야자키 사츠기 선생 기증문화재.  ◆            ◆ 먹_묵(墨)- 청나라.      ◆ 단계연(端溪硯)- 청나라.   ◆ 붓_필(筆)- 청나라.   ◆ 징니연(澄泥硯)- 청나라.*징니: 진흙은 구워 만듬. 2024. 7. 8.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6_신옥진 기증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6 # 화랑 운영 30년, 서른 점의 문화재- 신옥진 선생 기증문화재   ◆ 난초- 최북(崔北)- 1712~1786년 경.  ◆ 바위- 최북(崔北)- 1712~1786년 경.    ◆ 또아리 모양 백자 연적(硯滴)- 조선시대.   ◆ 석류무늬 사각 청화백자 연적.- 조선시대.     ◆ 박쥐무늬 청화백자 병- 조선시대.    ◆ 봉화무늬 청화백자 소호(小壺)- 조선시대.    ◆ 편호 백자 명기(明器)- 조선시대. 2024. 7. 7.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5_송금조 기증.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5 # 나눔의 또 다른 실천- 송금조 선생 기증문화재.  ◆ 풀무늬를 조각한 분청사기 호(壺)- 조선시대_16세기.   ◆ 헤엄치는 오리- 조선시대_19세기.     ◆ 울산 장흥고(蔚山 長興庫) 명문 분청사기 접시.- 조선시대_15세기.  ◆ 창원 장흥고 명문 분청사기 접시.  ◆ 의령 인수부(宜寧 仁壽府) 명문이 새겨진 인화문 분청사기 대접.- 조선시대_15세기. 2024. 7. 6.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4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4 # 5대를 대물림한 효행- 천장률 선생 기증문화재.   ◆ 박기수(朴綺壽)가 효자 술운에게 보낸 글.- 조선시대_1817년.   ◆ 동래부사 서목(東萊府使 書目)- 조선시대_1762년.    ◆ 금동보살 입상.- 통일신라시대- 국보 제200호. *김지태 기증. 2024. 7. 5.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3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3 # 선비 가문의 정신- 이은창 이성주 선생 기증문화재.  ◆ 이덕성(李德成) 인장.- 조선시대_19세기 후반.  ◆ 문사발우(文史拔優)- 조선시대_1682년*보물 제1501호.  ◆ 후: 동종계첩(同宗稧帖)- 조선시대_1679년-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84호.  ◆ 반곡공수묵- 조선시대_1700년- 보물 제1501호.*이덕성이 1700년 경에 자신의 근황과 주변사를 적어 아들에게 보낸 편지이다. ◆ 백헌공(白軒公) 필첩- 조선시대_17세기.-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84호.*백헌 이경석(李景奭)과 명재 윤증(尹拯)의 글씨를 모아서 만든 첩.  ◆ 이덕성 초상화- 조선시대_1696년- 보물 제1501호.     ◆ 볼래별장첩(蓬萊別章帖)- 1688년- 조선시대_.. 2024. 7. 4.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2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2 # 한 서예가의 아름다운 나문- 오제봉 선생 기증문화재.  ◆십군자도(十君子圖) 2024.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