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서안박물관14

2023_08_섬서 서안박물관 2023_08_섬서 서안박물관 # 서안 박물관 외부 - 서안박물원 ◆ 소안탑(小雁塔) # 1층_ 장안 불조상 ◆ 도방옥(陶房屋) - 명대 ◆ 사면조상비(四面彫像碑) - 1971년 출 # 장안 불교조상 - 16국 북고시대 조 ◆ 일불이제자조상비(一佛二弟子彫像碑) ◆ 불상(佛像) # 2층 옥기 # 2층 서예관 ◆ 사과재(思過齋) ◆ 송연규(宋聯奎) 홍매 - 민국 ◆ 왕독(王篤) 행서 - 청대 2023. 9. 2.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_한당풍채(漢唐風采)10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 2. 한당 풍채(漢唐風采)10 ◆ 영 우(永盂)_영(永)에게 토지를 내린 명문이 쓰여진 우(盂). - 서주 시기 - 1969년 서안시 남전현 설호진(泄湖鎭) 출토. 1969년 서안시 남전현(藍田縣) 설호진(泄루湖鎭)의 농민들은 우연히 땅속에서 금속 罐子[항아리]를 파내어 섬서성 물자회수부에 넘겨주었다. 1972년 서안박물원의 한 직원은 폐품을 회수하는 곳에서 동철을 수매하는 가격으로 몇백위안을 주고 이 항아리를 사왔다. 이것이 바로 현재 서안박물원의 보물인 영우이다. 이 평범해 보이는 청동기가 어떻게 보물이 될 수 있겠는가. 이른바 "우(盂)"는 사실 옛사람들이 물이나 음식을 담는 용기이다. 이 청동기의 주인은 "영(永)"이라고 한다. "영"자는 기물의 몸에 있는 명문에..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2_한당풍채(漢唐風采)9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2 2. 한당 풍채(漢唐風采)9 ◆ 도철문 호(饕餮紋壺)_도철 문양이 있는 병. - 서주(BC.1046~BC.771) ◆ 도철문 력(饕餮紋鬲)_도철 문양이 있는 솥. - 상대 만기(BC.1600년대~BC.1028) ◆ 중남부 력(中枏父鬲)_"中枏父"가 새겨진 솥. - 서주(BC.1046~BC.771) ◆ 쌍수이유정문 궤(雙獸耳乳釘紋簋)_두 개의 짐승 모양 손잡이와 유정 문양이 있는 궤. - 서주(BC.1046~BC.771) *유정(乳釘): 젖꽃지나 못 대가리처럼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 ◆ 붕조문 작(鳳鳥紋爵)_봉황 문양이 있는 술잔. - 서주(BC.1046~BC.771) ◆ 현문 치(弦紋觶)_활시위 문양이 있는 술잔. - 서주(BC.1046~BC.771) - 1980년 서..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1_한당풍채(漢唐風采)8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1 # 2. 한당 풍채(漢唐風采)8 ◆ 삼채삼족반(三彩三足盤)_다리가 세 개 달린 삼채 쟁반. - 당대 ◆ 녹유촉대(綠釉燭臺)_녹색 유약을 바른 촛대. - 당대 - 1977년 서안시 연호구 제3 염색공장 출토 ◆ 삼채봉수호(三彩鳳首壺)_봉화 머리가 달린 삼채 호. - 당대 ◆ 삼채사계 罐(三彩四系罐)_네 개의 고리가 달린 삼채 단지. - 당대 ◆ 서명사 석차전(西明寺石茶磚)_서명사(西明寺)에서 한 차를 만드는 돌 벽돌. - 당대 ◆ 관자관백자(官字款白瓷)_'官자' 낙관이 새겨긴 백자. - 당대 - 1985년 서안시 구화소벽(區火燒壁) 출토. ◆ 영자관백자집호(盈字款白瓷執壺) 설(碟) '盈'자 낙관이 새겨긴 백자 호. 접시. - 당대 - 2002년 서안 철도국 신남화원(新南花..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0_한당풍채(漢唐風采)7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0 2. 한당풍채(漢唐風采)7 # 동경(銅鏡) ◆ 우인신수문 경(羽人神獸紋鏡)_우인(羽)과 신수(神獸) 문양이 새겨진 거울. - 한대 * 우인(羽人): 날개가 있는신선. # 동경(銅鏡)에 대한 설명. ◆ 상박국 경(尙博局鏡)_장기판 모양 거울. - 한대 ◆ 가상부기경(家常富貴鏡)_“家常富貴(집안이 늘 부귀하게)”가 새겨진 거울. - 한대 ◆ 삼단식신수경(三段式神獸鏡)_신수가 주조된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 거울. - 위진남북조 ◆ 금배경(金背鏡)_뒷면을 금으로 장식한 거울. - 당대 ◆ 삼락 경(三樂鏡)_영계기(榮啓期)의 삼락(三樂)을 그린 거울. - 당대 # 孔夫子問曰_答榮啓奇(期) - 영계기가 공자에게 답한, 세 가지 줄거움. 1) 사람으로 태어 난 것, 2) 남자로 태어 ..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9_한당풍채(漢唐風采)6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9 2. 한당 풍채(漢唐風采)6 - 상좌: 반무도(盤舞圖) / 동한 시기_화상 전(畵像磚) - 상우: 잡기악무도 / 동한 시기_화상 전(畵像磚) - 중좌: 제왕면복도 / 수나라 문제(文帝) - 중우: 기악도(伎樂圖) / 수나라 묘실벽화. - 하좌: 건무도(巾舞圖) / 초당 시기 묘실벽화. - 하우: 악무도 / 성당 시기 묘실벽화 - 상: 반탄비파도(反彈琵琶圖) / 중당 시기 돈황벽화. - 중: 무악도(舞樂圖) / 중당 시기 돈화벽화. - 하: 당궁악도(唐宮樂圖) / 북송 시기 ◆ 청유 관(靑釉罐)_푸른 유약을 바른 단지 - 당대(618~907) ◆ 계수청자호(鷄首靑瓷壺)_닭머리가 장식된 호. - 북위(386~534) ◆ 청자반구호(靑瓷盤口壺)_쟁반 모양 주둥이 청자 호. - ..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8_한당풍채(漢唐風采)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8 2. 한당풍채(漢唐風采)5 ◆ 채회우차(彩繪牛車)_채색한 소와 마차 북조(386~581) ◆ 용속여용(舂粟女俑)_곡식 찧는 여인 허수아비 북조 ◆ 우차(牛車)_소와 마차 북조 1966년 서안시 안탑구 영녕공사(永寧公社) 출토 ◆ 도등(陶燈)_질 등잔 한대(漢代) - 등잔 아래에 다양한 동물들이 조각되어 있다. ◆ 도양(陶羊)_질 양 한대 ◆ 도저(陶猪)_질 돼지 한대 ◆ 유도계(釉陶鷄)_유약 바른 질 닭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7_한당풍채(漢唐風采)4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7 2. 한당풍채(漢唐風采)4 ◆ 점등(拈燈)_손잡이가 있는 등잔. - 한대 ◆ 비조대병 훈리(飛鳥帶柄熏爐) - 한대 - 1965년 서안시 연호구 홍묘(紅廟) 출토 ◆ 홍안형 훈로(鴻雁形 熏爐) - 한대 ◆ 용병초두(龍柄鐎斗)_용모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냄비. - 한대 ◆ 용병위(龍柄熨)_용모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다리미. - 한대 ◆ 기화궁 오족로(奇華宮五足爐)_기화궁에서 사용하던 다리 다섯 달린 화로. - 한대 ◆동증유기(銅蒸餾器)_동 찜밥기 - 신망(新莽) 시기 ◆ ◆ 유금봉조동종(鎏金鳳鳥銅鍾)_봉황 장식이 있는 도금한 동종(銅鍾)_그릇. - 서한 시기 - 2003년 서안시 문경로 서한 묘(西漢墓) 출토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6_한당풍채(漢唐風采)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6 # 2. 한당풍채(漢唐風采)3 ◆ 동종(銅鍾)_그릇. - 한대(BC.206~AD.220) * 양옆에 포수가 달려 있다. # 목 바로 아랫부분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 상림감(上林鑑)_ "上林"이 새겨진 물동이 - 한대 - 1977년 서안시 미앙구 삼교진(三橋鎭) 출토 ◆ 유금응형 대(瑬金鷹形鐓)_도금한 매 모양 대. - 한대 ◆ 금병(金餠)_떡 모양 금덩이 - 한대 ◆ 구정(九鼎) - 신망(新莽) 시기(AD.8~23) ◆ 신망 구정(九鼎) 설명서. ◆ 초화(鐎盉)_자루가 달린 화(盉) - 한대 - 1974년 섬서성 위남시 양돈향(陽敦鄕) 서유촌(西劉村) 출토. # 뚜껑에 화려한 문양이 있다. ◆ 용문온주기(龍紋溫酒器)_용 문양이 있는 술 데우는 그릇. -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5_한당풍채(漢唐風采)2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5 2. 한당 풍채(漢唐風采)2 - 전시관 중간중간에 그림이 있다. 쉬어 가는 페이지 느낌. # 上左: 가취도(嫁娶圖)_결혼식 그림. - 중당 시기 / 돈황벽화. # 上右: 가취도(嫁娶圖)_결혼식 그림. - 만당 시기 / 돈황벽화. # 下: 연음도(宴飮圖)_연회식 그림. - 중당 시기 돈황벽화. ◆ 上: 임경소장도(臨鏡梳妝圖)_거울 앞에서 빗질하고 단장하는 그림. - 진나라 고개지(顧愷之) ◆ 下: 剃度圖(체도도) 중당 돈화벽 ◆ 上: 비기출행동(備騎出行圖)_말을 타고 출타 준비하는 그림. - 수나라 묘실 벽화 ◆ 中: 馬夫와 馬 그림. - 초당 시기. 돈황벽화 ◆ 下: 사마차도(駟馬車圖)_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 그림. - 성당 시기. 돈황벽 ◆ 인문마차(鱗紋馬鑣)_비닐 문..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4_한당풍채(漢唐風采)1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4 2. 한당풍채(漢唐風采) 2.1 물부민안(物阜民安) ◆ 상림종(上林鍾) - 한대(BC.206~AD.220) *치는 종이 아니고 그릇이다. # 외부에 전서로 "上林"이라고 새겨져 있다. ◆ 곤양승여정(昆陽乘輿鼎) - 서한 서기 - 1961년 서안시 미앙구 삼교진 고요촌 출토 # 솥의 배부부에 문자가 새겨져 있다. ◆ 양산궁 훈로(梁山宮熏爐) - 한대 * 뚜껑과 배 부분에 모두 문나가 새겨져 있다. # 2. 한당풍채(漢唐風采) ◆행조(行竈)_이동식 부엌?? - 한대 # 수저. # 시루 ◆ 조씨 언(趙氏 甗)_"조씨"가 새겨진 찜통. - 한대 - 1977년 서안시 미앙구 제2 機磚場 출토 ◆ 쌍이 무(雙耳鍪)_솥귀가 두 개 달린 발 없는 큰 솥 -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3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3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3 1.3 군군폭주(郡國輻凑) / 재화휘취(財貨滙聚) - 여러 나라가 폭주하고 / 재화가 모이고. 1.4 부월금과(斧鉞金戈) / 전차철사(戰車鐵駟) - 도끼와 창 / 전차와 사두마차. ◆ 곡척부(曲尺斧) 굽은 도끼 - 서주 시기(BC.1046~771) - 1995년 서안시 장안구 수주풍호 유지 출토 ◆ 삼공장인도(三銎長刃刀) 세 개의 구멍이 있고 칼날이 긴 칼 - 서주 시기 ◆ 유정문월(乳釘紋越)_乳釘紋이 있는 도끼 - 서주 시기 *유정문(乳釘紋): 젖꽃지나 못대가리 모양의 문양. ◆ 공공도(銎孔刀)_구멍이 뚫린 칼. - 서주 시기 ◆ 동극(銅戟)_동으로 만든 창. - 서주 시기 ◆ 단호 과(短胡戈)_길이가 짧은 창 - 서주 시기 ◆ 수.. 2023. 8. 14.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2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2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2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2 ◆ 력(鬲)_ 다리 3개 달린 솥이다. - 서주 시기(BC.1046~771) ◆ 원시자준(元始瓷尊)_원시 오지 준. - 서주 시기(BC.1046~771) ◆ 두(豆)_제기 - 서주 시기(BC.1046~771) ◆ 력(鬲) ◆ 석부(石斧)_돌 도끼 - 서주 시기(BC.1046~771) ◆ 석뢰(石犁)_돌쟁기 - 서주 시기(BC.1046~771) ◆ 도방륜(陶紡輪)_질 방추차 - 서주 시기 ◆ 동부(銅斧)_구리 도끼 - 서주 시기 ◆ 동도(銅刀)_구리 칼 ◆ 방도(蚌刀)_방합으로 만들 칼 - 서주 시기 ◆ 도준(陶尊)_질 준. - 서주 시기 ◆ 견형호(繭形壺)_누에고치 모양 호. - 전국 시기 ◆ 도분(陶盆)_질 동이 - 서주 시기 2023. 8. 1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1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1 1. 1. 종명정식(鍾鳴鼎食) / 거마인순(車馬人殉) *종명정식(鍾鳴鼎食): 종을 쳐서 사람들에게 식사 시간을 알린 다음에, 솥을 벌여 놓고 회식을 한다는 말로, 태평성대에 부유하고 호화스럽게 사는 생활을 뜻하는 표현이다.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유래하였다. *거마인순(車馬人殉): 수레, 말, 사람을 순장함. ◆ 현문정(弦紋鼎)_활시위 문양이 있는 솥. - 서주 시기(BC.1046~771) - 솥 안에 문자가 있다. ◆ 환대문정(環帶紋鼎)_띠를 두른 문양의 솥. - 서주 시기 ◆ 환대문정(環帶紋鼎)_띠를 두른 문양의 솥. - 춘추 시기(BC.770~4761) ◆ 첩궤(𧩕簋) - 서주 시기. *사전 상 𧩕(녕)= 佞과.. 2023.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