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기6

고대유물_039_두(豆) ◆ 두(豆 dòu) - 두(豆)는 전적으로 절인 야채, 육장 등 조미된 식품을 담는 그릇[皿]이다. 제례의식 활동에 있어 두(豆)는 항상 짝수로 정(鼎)과 짝하였다. 청동 두(豆)는 상대 말기에 출현하여 전국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2023. 2. 14.
고대유물_055_변(籩) # 변(籩) 2022. 12. 1.
고대유물_024_궤(簋) # ◆ 궤(簋 guǐ) - 궤(簋)는 고대에 음식을 담던 그릇이다. 청동 궤(簋)는 귀족생활에서 정(鼎)과 함께 사용하였다. 정(鼎)은 고기를 담는데 사용하고 궤(簋)는 서직[곡식]을 담는데 사용하였다. 청동 궤(簋)는 상대 초기에 출현하여 전국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 청동과 질로 만들었다. 벼와 기장[稻粱]을 담는데 사용한 것으로 예기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그릇이다. # - 손잡이가 없는 궤(簋)도 있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 궤(簋) ◆ 이궤(伊簋) ◆ 큰 눈섭의 도철문양 궤(簋) 2019. 6. 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 # 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xiàn shíshān wénhuà) BC 3500~2000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6%98%99%E7%9F%B3%E5%B1%B1%E6%96%87%E5%8C%96 ◆ 그물무늬 질그릇 솥_부[罔紋陶釜] ◆ 질그릇 두[陶豆]_제기?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3_양저문화(良渚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3 # 양저문화(良渚文化:Liangzhu wénhuà) BC 3300~2200_양저문화(良渚文化)_절강성 항주_長江[揚子江]_숭택문화 계승. https://baike.baidu.com/item/%E8%89%AF%E6%B8%9A%E6%96%87%E5%8C%96 https://zh.wikipedia.org/wiki/%E8%89%AF%E6%B8%9A%E6%96%87%E5%8C%96 ◆ 검은 색의 두(豆) ◆ 쌍코 .. 2019. 4. 19.
2014_2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헤이세이관(平成館) 2014_2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헤이세이관(平成館) # 여기서 오른쪽으로 꺾어지면 헤이세이관이 시작된다. # 다양한 일본 토기들. ◆ 선사시대 토기 上_ "草創期の土器"라고 쓰여 있다. 下_ "早創期の土器"라고 쓰여 있다. - 초창기 초기_확대 ◆ 해학적인 표현이 있는 토기 ◆ 동탁(銅鐸)_말종방울 - 국보 ◆ 다리 한쪽이 사라진 토기. - 눈을 감고 있다. ◆ 석기_도구들. ◆ 철동(鐵銅)_철기와 청동 ◆ 上_파형동기(巴形銅器) - 1~3세기_야오이(彌生) 시대 - 카가와현(香川縣) 사누끼시(讚崎市) 한천정(寒川町) 석전(石田)에서 출토. 사누끼 우동으로 유명한 사누끼. ◆ 下_파형동기(巴形銅器) - 1~3세기_야오이 시대 - 나가사끼현(長崎縣) 쓰시마(對馬市) 풍옥정(豊玉町) 좌보(佐保)에서 .. 2014.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