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_광저우(廣州)9
# 광저우박물관6_2층
# 토용
◆ 도용좌등(陶俑座燈)
- 서한 후기
- 1955년 대원강(大元崗) 한묘 출토
- 도용은 뚜렷한 고대 서아시아인의 특징인 움푹 파인 눈과 높은 코에 수염이 짙고 많다. 이것은 인도양의 해로를 통해 광주에 도착한 외국 상인을 수행한 시종이었는데, 상황이 바뀌어서 본지의 호족에게 선물로 주었거나 팔아서 노예가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광주에서는 이런 노예 형상의 좌도등(座陶燈)을 사용했는데, 서한 무제 이후에 출현되기 시작한다. 동한 초기의 도용은 몸이 야위었으나 동한 말기의 도용은 몸이 풍만하다.
◆ 도용좌등(陶俑座燈)
- 동한
- 1956년 동산(東山) 삼육로(三育路) 한묘 출추
◆ 도용좌등(陶俑座燈)
- 동한
- 1956년 혜주 무덤의 한묘 출토
* 동한시대의 도용은 풍만함 몸이 특징이다.
◆ 호인용(胡人俑)
- 송대(宋代)
◆ 도우차(陶牛車)
- 서진(西晉)
- 1981년 사하정(沙河頂) 출토
*2명의 사람이 소의 머리를 잡고 양쪽에 서 있다.
◆ 도계사(陶鷄舍)
# 닭장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도수정(陶水井)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도조(陶竈)
# 부엌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청유 계수호(靑釉鷄首壺)
- 서진
- 1981년 사하정 출토
- 이 기물의 구조와 유약의 색상은 육조시기 청자 가운데 비교적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 청유 배반(靑釉杯盤)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청유 호자(靑釉虎子)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청유 사이관(靑釉四耳罐)
# 푸른 유약을 바른 귀가 4개인 단지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금수탁(金手鐲)
# 금팔찌
- 서진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활석 매지권(滑石買地券)
- 남조 송 원가(元嘉) 27년(450)
- 2004년 도금동로(淘金東路) 중성소학 공사장 출토
- 매지권은 부장물의 일종으로 묘자리를 구매하는 증빙자료이다. 매지권은 광주에서 수차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년도를 명확하게 기록한 매지권으로 5건의 돌로돈 도교 부적과 함께 출토되었다.
매지권의 내용은 묘지의 주인이 땅을 사는 것은 귀신에게 증거로 보인 것으로 당시 상례와 장례 풍습을 반영한 것으로 도교가 민간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
◆
◆ 형요 백자완(邢窑白瓷碗)
# 형요에서 만든 백자 주발
- 당대(唐代)
- 자계(慈溪), 영파(寧波) 등지에서는 생산 연대가 동한에서 송대에 이르렀다. 당대에 유명한 가마였다.....
◆ 형요 백유완(邢窑白釉碗)
# 형요에서 만든 흰색 유약을 바른 주발
- 당대
- 1954년 대마로를 건설할 때 요씨묘 출토
- 형요는 당대 북방의 저명한 백자가마터이다. 묘주는 북방인이다. 이 주발은 아마도 그 가족이 북방으로부터 구매해서 영남으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박물관 > 광저우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_광저우(廣州)11_광저우박물관8_3층 (0) | 2019.12.02 |
---|---|
2019_광저우(廣州)10_광저우박물관7_3층 (0) | 2019.12.02 |
2019_광저우(廣州)8_광저우박물관5_2층 (0) | 2019.12.01 |
2019_광저우(廣州)7_광저우박물관4_2층 (0) | 2019.12.01 |
2019_광저우(廣州)6_광저우박물관3_2층 (0) | 2019.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