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광저우박물관

2019_광저우(廣州)11_광저우박물관8_3층

by isanjo 2019. 12. 2.

2019_광저우(廣州)11


# 광저우박물관8_3층


◆ 영청삼족로(影靑三足爐)

*영청(影靑): 흰 바탕에 푸른빛의 잿물을 입힌 자기.

- 원대(元代)


◆ 용청요 청유국판문완(龍泉窑靑釉菊瓣紋碗)

# 용천용에서 만든 푸른 유약을 칠한 국화잎 문양 주발

- 남송

- 1956년 고려강(顧麗江) 선생 기증


◆ 청백유 군지(靑白釉軍持)

*군지(軍持)는 병졸이 차던 물병, 승려가 차던 배가 나온 물병, 무슬림이 종교의식에 사용한 물병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 송대

- 군지는 아랍 상인이 주문해서 만든 것으로, 이슬람교의 무슬림이 종교의식을 진행할 때 손을 씻는데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 건양요 토호채잔(建陽窑兔毫釉盞)

# 건양요에서 만든 토끼털 문양의 유약을 바른 잔

- 송대


◆ 사변요 도갑발, 청유자잔(沙邊窑陶匣鉢靑釉瓷盞)

- 송대

- 사변요 또한 송대 광주의 중요한 수출용 도자기를 생산하던 가마로 지금의 번옹구(番禺區) 남촌진 사변촌이다. 그곳의 생산품은 청유(靑釉)가 주를 이루었했으며, 기물의 형태는 북방 중요 가마의 생산품을 모방한 것으로 수출을 위주로 하였다. 서촌요와 사변요의 흥성은 송대 광주의 해외무역의 번영한 정황을 반영해주고 있다. 



◆ 요주요 청유각화완(耀州窯靑釉刻花碗)

# 요주요에서 만든 푸른 유약을 바르고 꽃을 새겨 넣은 주발

- 송대



◆ 용천요 청유국판문절연소접(龍泉窯 靑釉菊瓣紋折沿小碟)

# 용천요에서 만든, 푸른 유약을 칠한 국화잎 문양 작은 접시.

- 북송

- 1956년 고려강 선생 기증


◆ 길주요 대모유화판형잔(吉州窯玳瑁釉花瓣形盞)

# 길주요에서 만든, 바다거북 형태에 유약을 바로 꽃잎모양 잔

- 남송~원대

- 길주요는 송대에 유명한 민간 도자기 가마로 강서 길안시 영화진에 위치한다. 그 곳의 생산품의 대표적인 것은 흑유자(黑釉瓷)로, 나뭇잎 문양, 거북 무늬, 종이를 오려 꽃을 만든 문양, 흑유채회(黑釉彩繪), 요변화유(窯變花釉)와 척화(剔花:화장토 위에 그린 문양의 배경을 긁어내는 기법) 등 장식이 있다. 남송~원대는 길주요에서 생산된 수출품의 황금시기로 대량의 도기가 광주의 출구를 거쳐 일본, 조선으로 수출되었다.





◆ 차옆말옥호춘병(茶葉末玉壺春甁)

# 황록색[찻잎가루 색깔]의 옥호춘병

- 원대


◆ 균요 천람유자반대설(鈞窯天藍釉紫斑大碟)

# 균요에서 만든, 하늘색 유약을 칠한 자주색 얼룩의 큰 접시.

- 송대



◆ 균요 천람유대완(鈞窯天藍釉大碗)

- 원대


◆ 자주요 흑자유사계고신병(磁州窯黑白釉四系高身甁)

# 자주요에서 만든, 흑백 유약을 칠한 4개의 연결고리가 있는 키가 높은 병

- 원대





# 벽돌


◆ 단평삼년 수성전(端平三年修城磚)

# 1236년에 성을 수리하기 위해 구운 벽돌

- 남송

*"廣州修城"이라는 글자가 있다.


◆ "보우갑인최봉군수성전"(寶祐甲寅摧鋒軍修城磚) 戳印磚

# 보우(寶祐) 갑인년(1254)에 최봉군(摧鋒軍)이 성을 수리할 때 만든 벽돌.

- 남송

* 양각(陽刻)





 

◆ 가태원년수성전(嘉泰元年) 수성전(修城磚)

# 1201년

- 남송

*음각(陰刻)


◆ 경정원년 조어비전(景定元年造御備磚)

# 1260년

- 남송

- 1972년 월화로(越華路) 출토

*양각(陽刻)


◆ "水軍" 수성전(修城磚)

- 송대

*음각(陰刻)


 

◆ "수군광주수성전(水軍廣州修城磚)" 착인전(戳印磚)

# "水軍廣州修城磚"이 찍힌 벽돌

- 송대

- 1972년 월화로 출토

*음각(陰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