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_광저우(廣州)12
# 광저우박물관9_3층
◇ 목조상
- 당대
- 1950년 광효사(光孝寺) 대불 복부내에서 발견
◆ 목조 역사상(木彫力士像)
◆ 나한좌상(羅漢坐像)
◆ 무사상(武士像)
◆ 공양인상(供養人像)
◆ 철불상(鐵佛像)
- 당대(唐代)
- 1950년 광효사(光孝寺) 대불 복부내에서 발견
◆ 정요백유화구군지(定窑白釉花口軍持)
# 정요에서 만든, 백유를 칠한 꽃모양 주둥이가 있는 물병
- 원대(元大)
- 이 군지는 아라비아 상인이 만든 것으로 이슬람교에서 무슬람들이 종교의식을 진행할 때 손을 씻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 청백유군지(靑白釉軍持)
# 청백색 유약을 칠한 물병
- 원대
◆ 유금 동불상(鎏金銅佛像)
- 남조(南朝)
◆ 동호적루(銅壺滴漏)
# 물시계_*복제품
- 원대(元代)
- 동호적루는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크고 완전하 물시계이다. 원본은 중국국가박물관에 조달하였다.
이 동호는 원나라 인종 연우(延祐) 3년(1316년)에 주조한 것으로, 지금으로부터 700년이 지났음에도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원대부터 청대 말기에 이르기까지 줄곧 광주성 중심 공북루(拱北樓:지금의 북경로 중간)에 두고 매일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렸음으로 성중의 승경(勝景)이 되었다.
# 죽지사(竹枝詞)
銅漏滴滴夜無聲
炮竹如雷響滿城
貼罷揮春人小醉
賣花聽唱到天明
- 2쌍의 팔괘가 새겨져 있다.
- 물시계는 3개의 통을 3단계의 높이를 조정하여 만들었다.
◆ 장구령(張九齡) 고신 석각
- 청대
- 1980년 광주시 "서래초지(西來初地)"비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이 석각을 통해 장구령이 일찍이 곡강현개국남(曲江縣開國男)의 봉호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물관 > 광저우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_광저우(廣州)14_광저우박물관11_4층 (0) | 2019.12.09 |
---|---|
2019_광저우(廣州)13_광저우박물관10_4층 (0) | 2019.12.09 |
2019_광저우(廣州)11_광저우박물관8_3층 (0) | 2019.12.02 |
2019_광저우(廣州)10_광저우박물관7_3층 (0) | 2019.12.02 |
2019_광저우(廣州)9_광저우박물관6_2층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