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나라박물관

2023_1_나라(奈良)6_국립 나라박물관 청동관4

by isanjo 2023. 2. 13.

2023_1_나라(奈良)6_국립 나라박물관 청동관4

 

# 춘주 전국시대 호류(壺類)

 

유(卣)는 서주부터 전국시기에 적은 변화가 일어났다. 목부위는 잘록하고 배부분은 넓은 壺가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본체에는 장식이 없으면 어깨 부위에는 짐승머리 형태의 손잡이인 '鋪首'가 장식되었는데, 이것은 전국시대부터 한대까지 정형화 되었으며 '鍾'이라고 부르는 기물이 성립되었다.

 

 

◆ 205. 호(壺)
- 전국 중기(B.C.4)

 

 

 

 용문양이 있는 호(壺)

- 춘추 후기(B.C.6)

 

 

 

 

# 용문양이 있는 호(壺) 설명서

 

 

◆ 204. 호(壺)

- 전국 전기(B.C.5~B.C.4)

 

 

 

 

 

# 종(鍾) 설명서

 

 

종(鍾)

 

 

# 218. 종(鍾)_오른쪽.

- 전한(B.C.3~A.D.1)

 

 

 

 

 

219. 도금한 종_오른쪽.

- 전한(B.C.3~A.D.1)

* 왼쪽의 황금색 종이다.

 

 

 

 

 

 

이궤(伊簋)

- 서주 후기(B.C.9~B.C.8)

 

- 궤 속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 이궤(伊簋) 설명서

 

 

 

 

 

166. 궤(簋)

- 서주 중기(B.C.10~B.C.9)

 

 

 

◆ 168. 궤(簋)

 

 

- 명문.

 

- 명문

 

 

방(鈁)

 

 

# 방(鈁) 설명서

 

 

223.(鈁)

- 전국 중기(B.C.4)

*문양이 화려하고 고급지다.

 

 


 228. (鈁)

- 전국 전기~전한(B.C.5~A.D.1)

 

 

# 편호(扁壺) 설명서

 

 

# 그림과 문양이 새겨진 편호.

 

 

 


각화문 편호(刻畵文扁壺)

- 전국시대~전한(B.C.5~A.D.1)

 

 

238. 편호(扁壺)

- 춘추 후기(B.C.6)

 

 

◆ 243. 편호(扁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