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中国)China/베이징(北京북경Běijīng)

2024_0819_공묘(孔廟)2

by isanjo 2024. 8. 26.

2024_0819_공묘(孔廟)2

 

#  왼쪽 서무(西廡) 대재공자전람(大哉孔子展覽)

 

*남쪽문으로 들어가서 북쪽 문으로 나오는 것이 관람순서이다.

 

*공자의 사상이 세계에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소개하는 전시회.

 

 

◆ 서무(西廡)는 선현과 선유를 제사 지내는 곳이다. 좌구명(左丘明), 정강성(鄭康成:정현), 한유(韓愈), 정이(程頤), 육구연(陸九淵), 사마광(司馬光) 등 선현선유의 위패가 이곳에 봉양되어 있었다. 현재는 전시관으로 사용한다.

 

 

# 문천상과 관우

 

 

# 공자가 교육을 행하다[行敎]

- 공자의 제자 10철.

3. 가르치고 배우고 저술하여 문화를 이어가다.

 

 

 

#  공자가 도서를 정리하다.

- 공자는 제자들과 협조 아래 문헌을 정리하여 춘추 이전의 문자자료를 보존하여 조국의 문화의 전승을 이어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여, 중국이 세계 7대 고문화  중 유일하게 자기 민족의 문화의 명명을 이어갈 수 있는 나라고 되게 하였다.

 

 

 

4. 사유의 독특함으로 유학이 오래 전해지다.

 

 

 

◆ 공자가 제자의 질문에 대답하는 모습을 새긴 동경(銅鏡)

- 당나라.

 

 

◆ 동향로 *복제품

- 한나라

 

 

◆ 한나라 영수(永壽) 2년이 새겨진  벼루. 복제품.

- 구운벽돌로 만든 벼루.

 

 

◆ '진덕수업(進德修業)' 동인. *복제품.

- 한대

 

 

◆ 티벳 탕카[西藏唐卡]

 

 

◆ 몽고

- 원나라가 공자에게 시호를 추봉한 비석.

 

 

# 제3부

1. 고대 세계에 아시아에 전파되다.

- 고대 중국은 국력이 강성해서 아시에 각국의 본받으려고 하는 대상이었다. 한국, 베트남, 일본 3국으로  대표적되는 아시에 각국도 중국 고대사회의 주류사상은 공자의 유가사상을 받아들였다.

 

 

# 3.1.- 고대 세계 아시아로 전해지다.

 

 

 베트남 하노이 문묘 사진. '萬世師表'

 

 

◆ 서울 성균관 대성전. '명륜당'

2004년 11월 21일 서울 강남구 '서울공자학원' 편판식. 세계 최초의 공자학원 현판식.

 

 

 일본 에도(江戶)시대 공자상. 강경(講經) 사진.

 

 

 

- 일본 족리학교(足利學校:아시카가 학교) 공자묘 대성전.

 

 

- 나가사키 공묘의 공자 제례. 아시카가 학교의 공자묘정원(孔子廟庭院)

 

 

- 조선반도. 

- 공자사상은 한국, 비엣남(베트남), 일본에 전파시기.

 

 

- 2005년 6월 천천 부근에서 고대 요새 유적에서 <논어> 목간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3~4세기 백제시기의 유물이다.

 

 

# 3.2. 근대 유럽의 적극적인 수용.

 


◆ 이태리_이탈리아.
 

 

 

프랑스

 

 

- 볼테르.

독일 계몽사상가 볼테르는 '趙氏孤兒'를 저본으로 하여 5막극 '중국고아(中國孤兒)'을 완성하였다. 그는 극중에서 도덕, 정의와 지혜 등 공자의 윤리사상을 잘 드렀냈다. 이런 이유로 이 극본은 또 '5막 공자의 윤리관.'이라고도 칭하게 되었다.

 

 

프랑스 대혁명

라백사비이<羅伯斯庇爾>(로베스피에르:Robespierre)

 

 

◆ 중국의 나무쟁기와 철가래.

- 독일의 중농학파의 영향 아래 유럽은 18세기에 와서 중국이 기원전 3세기에 발명한 쇠 쟁기와 가래를 도입하여 농업기술을 발전시켰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유럽의 농업혁명을 일으켰다. 일반적으로 유럽은 농업혁명이 공업혁명을 을 이끌었다고 인식하였다.

 

 

◆ 白普致 莱布尼茨(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 

 

 

# 3.3. 현대의 유럽과 미국 다시 새롭게 인식하다.

 

 

◆ 영국.

 

 

◆ 미국.

 

 

◆ 미국 공자서원(孔子書院).

공자서원 설립 기념 연설.

 

 

◆ 미국제공대전(美國祭孔大典)

 

 

◆ 레이건 대통령의 대화 연설.

 

 

 

◆ 서방 학자의 공자에 대한 평가.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