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中国)China/베이징(北京북경Běijīng)

20240821_자금성

by isanjo 2025. 1. 6.

20240821_자금성

 

◆ 동화문(東華門)_왕푸징에서 걸어왔다.

 

 

 

 

- 태묘에서 바라본 왕푸징 시계탑.

 

 

# 태묘앞 이정표

- 왕푸징대로 1,220m
- 지하철1호선 1,510m

- 천안문성루 1,890m

- 천안문광장 1,940m

 

 

◆ 태묘 입구

 


◆ 오문(午門)_남문이다. '午'는 남쪽.

 

 

 

◆ 오문 앞 고궁해설업무실.

 

 

◆ 태화문(太和門)

 

 

 

 

 

◆ 태화전앞 이정표

정면: 태화전

좌측: 무영전(武英殿)_도자관(陶瓷館)  / 가구관(家具館) / 화장실.

 

 

◆ 태화전(太和殿)

 

 

◆ 태화전 앞에서 바라본 동쪽 건물.
- 지붕이 밝은 황금색이다.

 

 

 

 

 

# 고궁박물원 평면도 / 고궁박물원 간략 소개.

 

 

 

 

 

 

 

 

 


◆ 보화전(保華殿)

 

 

# 건청궁 앞 표지판
정면: 건청궁(乾淸宮) / 동육궁(東六宮)
우측: 종표관(鐘表館)/ 진보관(珍寶館) / 광파실(廣播室) / 화장실.

 

 

 

 

◆  건청문(乾淸門)

 

 

# 이 문부터 만주어가 병기되어 있다.

 

 

 

 

◆ 건청궁(乾淸宮)

 

 

 

 

#  건청궁(乾淸宮) 설명판


건청궁은 명나라 영락 18년(1420년)에 처음 지어졌으나 이후 몇 차례 화재로 훼손되었고 현존하는 건축물
은 청나라 가경 3년(1798년)에 재건된 것이다. "건" 은 ≪주역≫의 괘명으로 하늘을 대표한다.
건청궁은 명대에 황제의 침궁이었고, 청나라 초기에 명제를 답습하여 순치제, 강희제가 거주하였다. 청나라 옹정제가 침궁을 양심전으로 옮긴 후, 건청궁은 황제가 조정대신을 부르고, 상소문을 회람하고, 일상 정무를 처리하며, 번국의 신하를 접견하고 새해에 경하를 받고, 연회를 거행하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건청궁은 또 명청 양대의 황제가 죽은 후의 혼령이 머무르는 곳으로서 "수종정침壽終正寢"을 나타낸다.
건청궁 내의 " 正大光明(정대광명)"
현판 뒤는 청나라 옹정제가 창건한 비밀 건저제建儲制 보관 건저갑을 둔 곳이다. 상자 안에는 황제가 선정하고 어필 친서의 황위 계승자 이름이 보관되어 있다. 황제가 죽은 후, 지정된 대신을 통해 상자를 떼어 공동으로 검증하고, 비밀리에 선출된 황자가 즉위한다.

 

<乾清宫>
乾清宫始建于明永乐十八年(1420年), 后几经焚毁, 现存建筑为清嘉庆三年(1798年)重建。“乾”是《周易》中的卦名, 代表天。
乾清宫在明代为皇帝寝宫, 清初沿袭明制, 顺治帝、康熙帝曾居住。自清代雍正帝将寝宫移至养心殿后, 乾清宫成为皇帝召见廷臣、批阅奏章、处理日常政务、接见外藩陪臣和年岁受贺、举行宴筵的重要场所。乾清宫又是明清两代皇帝死后的停灵之地, 以示“寿终正寝”。
乾清宫内的“正大光明”匾后是清代雍正帝所创秘密建储制存放建储匣之處, 匣内藏皇帝选定并御笔亲书的皇位继承人名字。皇帝去世后, 經指定的大臣取下匣子共同验证, 由秘密选立的皇子即位。

 

 

 

 

◆ 교태전(交泰殿)

 

 

 

 

 

# 교태전(交泰殿) 설명판


원래 이름은 중원전中圓殿인데, 명나라 가정14년(1535)년에 교태전으로 명칭을 바꾸었었다. 전각의 이름은는데 ≪주역≫, "건곤교태乾坤交泰" 에서 유래한 것으로 천지가 교차하고 음양이 협화한다는 뜻이다. 청 가경 2년(1797년) 건청궁 실화로 재앙이 이곳에까지 미쳐 중건되었다.
전각의 평면은 사각형이고, 위에는 구리에 금과 보배를 도금한 지붕이 설치되어 있으며, 형식은 중화전과 거의 같다. 전각 안의 정중앙에 보좌(寶座)를 설치하고, 보좌 뒤의 위쪽에 건륭황제가 강희황제의 어필"무위無爲"를 모사한 편액을 걸고, 아래에 건륭어제 "교태전명交泰殿銘" 병풍을 설치하였다. 동쪽은 중국 고대 타이머 구리물시계이고, 서쪽은 큰 자명종이다. 청대 황후는 천추(황후의 생일), 설날(음력설), 동지 등 3대 명절에 이곳에서 조하를 받았다. 건륭 13년(1748년), 건륭황제는 25방의 보새를 이곳에 보관하였다.

 

<交泰殿>
原名中圆殿, 明嘉靖十四年(1535年) 更名交泰殿, 殿名出自《周易》“乾坤交泰”, 意为天地相交、阴阳协和。清嘉庆二年(1797年) 因干清宫失火殃及此处而重建。
殿平面呈方形, 上置铜鎏金宝顶, 形式与中和殿略同。殿内正中设宝座, 宝座后上方悬挂乾隆皇帝摹康熙皇帝御笔“无为”匾, 下设乾隆御制《交泰殿铭》屏风。东侧为中国古代计时器铜壶滴漏, 西侧为大自鸣钟。清代皇后在千秋(皇后生日)、元旦(春节)、冬至三大节于此接受朝贺。乾隆十三年(1748年), 乾隆皇帝将二十五方宝玺存放于此。

 

 

◆ 곤녕궁(坤寧宮)

- 이 현판은 파란색이 아니다.

 

 

# 곤녕궁(坤寧宮) 설명판.


명대 황후의 침궁이다. 곤녕궁과 앞에 있는 건청궁은 각각 전통적 의의로 볼 때 황제, 황후의 침궁이다. "건청"과  "곤녕"은 하늘처럼 말고 땅처럼 편안하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즉, 하늘이 높고 밝으며 땅이 넓고 두터운 것이다.
곤녕궁은 명대 영락 18년(1420년)에 세워졌다. 현재의 곤녕궁은 청대 순치 12년(1655년)에 성경[심양]의  청녕궁淸寧宮을 모방하여 개축한 후의 스타일로, 문은 가운데에 있지 않고 동쪽으로 치우쳐 있다. 청 강희 때 동쪽 두 칸을 황제의 대유혼大幼婚 의 동방洞房으로 사용하였고, 년에 등극한 강희동치광서 등 세 명의 황제부터 및 손제遜帝 푸의까지 사용하였고, 서쪽 다섯 칸은 샤머니즘을 위해 신당을 제사하였으며, 그 안에는 신상ㆍ보좌의 원형 큰 솥과 제수품으로 만드는 고기를 삶는 큰 솥 등이 설치되어 있다.


<坤宁宫>
明代皇后寝宫。坤宁宫与前面的乾清宫分别为传统意義上的帝、后寝宫, “乾清” “坤宁” 寓意天清地宁即天高明、地博厚。
坤宁宫建于明永乐十八年(1420年)。现在的坤宁宫为清顺治十二年(1655年)仿盛京(沉阳)清宁宫改建后的风格, 门不居中而偏东清康熙时将东侧两间用作皇帝大幼婚的洞房, 年登基的康熙、同治、光绪三帝以及逊帝溥仪西侧五间为萨满教祭祀神堂, 内设安放神像、宝座的环形大炕和制作祭品的煮肉大锅等。 

 

 

# 어화원 앞 이정표

정면: 어화원(御花園)

우측: 관중 복무구 / 동육궁 / 무장애 통도[휠체어 통로]

 

 

 

◆ 천일문(天一門)

 

 

 

 

 

 

 

 

# 흠안전(欽安殿) 설명판.

 

흠안전은 명대에 처음 지었고, 가정 14년(1535년)에 담장을 추가로 건설한 후 자체로 구도를 형성하였다. 전각은 황유리 기와의 이중처마 끝자락으로 되어 있고, 한백옥 단층 수미좌에 열거되어 있으며, 면폭이 5칸, 진심進深이 3칸이다. 전 안에 현천상제玄天上帝를 모셨다. 청나라는 매년 음력설에 천일문에 투단鬪壇을 설치하였는데, 황제는 이곳에서 향을 피우고 절을 하였다. 매년 명절이 되면 흠안전에 도장을 설치하였는데 도장의 사무는 태감도사가 관리한다. 도광 19년(1839년)부터 도장을 설치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

 

<钦安殿>
钦安殿始建于明代, 嘉靖十四年(1535年) 添建墙垣后自成格局。殿为黄琉璃瓦重檐尽顶, 列在汉白玉单层须弥座上, 面阔5间, 进深3间。殿内供奉玄天上帝。清朝每年元旦在天一门内设斗坛, 皇帝在此拈香行礼。每遇年节, 钦安殿设道场, 道场事务由太监道士管理。道光十九年(1839年)起, 下旨停设道场。

 

 

◆ 연화문(延和門)

 

 

◆ 신무문(神武門) 설명판. *자금성 북문이다.

 

자금성 북문은 명나라 영락 18년(1420년)에 건설되었는데, 당시는 "현무문玄武門"이라고 불렀고, 청나라 강희 연간에 재건되었을 때 강희 황제 현엽玄燁의 이름을 피하기 위해 "신무문"으로 개칭하였다.
신무문은 황궁의 뒷문으로서 궁내 일상 출입의 중요한 출입문이다. 명청의 황후가 선잠단에서 제사할 때는 신무문의 정문으로 출입했다. 청대에 여자를 뽑았을 때, 선발할 수녀秀女는 신무문의 쪽문으로 드나들었다.


<神武门>
紫禁城北门, 建成于明永乐十八年(1420 年), 时称“玄武门”, 清康熙年间重建时, 为避康熙皇帝玄烨名讳而改称“神武门”。
神武门作为皇宫的后门, 是宫内日常出入的重要门禁。明清皇后祭祀先蚕坛时, 由神武门正门出入。清代选秀女时, 待选的秀女由神武门偏门进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