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국립김해박물관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23_2층_10

by isanjo 2025. 2. 21.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23_2층_10

 

따로 또 같이

한 나라로 합쳐지지 않았던 가야는 각기 자율과 공존이라는 특유한 문화를 만들었다. 이를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이 토기이다. 가야사람들은 지역별로 개성이 뚜렷한 토기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 썼다. 굽다리접시긴목 항아리그릇받침뚜껑접시 등은 여러 가야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대표적인 토기이다.

그중 굽다리접시는 금관가야에서는 입이 바깥으로 벌어진 모양, 아라가야에서는 불꽃무늬 구멍으로 장식한 모양, 소 가야에서는 세모난 구멍을 낸 모양으로 저마다 개성을 드러낸다.

 

 

 

# 금관가야의 토기

 

 

 

뚜껑 있는 굽다리 항아리

1. 김해 양동리  2. 부산 복천동 3. 김해 망덕리

 

넓은입 단지 / 그릇받침

4. 김해 양동리 5. 창원 도계동  6. 김해 대성동

 

손잡이 달린 넓은입 단지

7. 김해 퇴래리

 

긴목 항아리 / 바리모양 그릇받침

8. 창원 도계동

 

◆ 굽다리접시

9. 김해 구지로 10. 김해 양동리  11. 김해 대성동

 

12.

13.

14.

짧은목 항아리

15. 김해 양동리

 

밤리모양 그릇받침

16. 김해 퇴래리

 

원통모양 그릇받침

17. 김해 능동.

 

 

 

# 오른쪽부터

 뚜껑 있는 굽다리 항아리

3. 김해 망덕리  2. 부산 복천동

 

◆ 넓은입 단지 / 그릇받침

4. 김해 양동리

 

◆ 손잡이 달린 널은입 단지

7. 김해 퇴래리

 

 

 

◆ 굽다리접시

9. 김해 구지로

 

 

 넓은입 단지 / 그릇받침

6. 김해 대성동  5. 창원 도계동   4. 김해 양동리 

 

 

# 오른쪽부터 12.

 13.  13.    12.

 

 

# 오른쪽부터 14.

 원통모양 그릇받침

17. 김해 능동.

 

 밤리모양 그릇받침

16. 김해 퇴래리

 

 짧은목 항아리

15. 김해 양동리

 

14.

 

◆ 왼쪽 아라가야

2. 손잡이 달린 굽다리접시

오른쪽 금관가야

 

 

# 아라가야의 토기

 

◆ 손잡이 달린 굽다리 접시

1. 함안 말이산

 

◆ 손잡이 달린 굽다리 항아리

2. 함안 오곡리

 

◆ 굽다리접시

3. 함안 도항리 4. 함안 황사리

 

◆ 긴목 항아리

5. 함안 마갑총(馬甲塚)

 

◆ 두 귀 달린 항아리

6. 함안 도항리

 

◆ 짧은목 항아리

7. 함안 황사리

 

◆  화리모양 그릇받침

8.  창원 현동

 

◆ 바리모양 그릇받침

9. 함안 도항리 10. 함안 말이산

 

◆ 원통모양 그릇받침

11. 함안 도항리 

 

◆ 긴목 항아리

5. 함안 마갑총(馬甲塚) 

 

# 오른쪽부터 

◆ 두 귀 달린 항아리

6. 함안 도항리

 

◆ 짧은목 항아리

7. 함안 황사리

 

 

◆ 굽다리접시

3. 함안 도항리

 

◆ 손잡이 달린 굽다리 항아리

1. 함안 오곡리

 

 왼쪽 아라가야

2. 손잡이 달린 굽다리접시

 

 오른쪽 금관가야

 

 

◆  화리모양 그릇받침

8.  창원 현동

 

 

 

 

◆ 그릇받침

9. 함안 도항리

 

◆ 굽다리접시

4. 함안 황사리

 

# 오른쪽부터

◆ 바리모양 그릇받침

10. 함안 말이산    9. 함안 도항리 

 

 

 

 

# 대가야의 토기

 

◆ 그릇받침

1. 합천 삼가

 

◆ 손잡이 달린 굽다리 항아리

2. 고령 지신동

 

◆ 뚜껑 / 손잡이 달린 항아리

3. 고령 지산동

 

◆ 뚜껑접시

4. 고령 지산동

 

◆ 손잡이 달린 굽다리 바리

5. 고려 지산동

 

◆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6. 고령 지산동

 

◆ 짧은목 항아리

7.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8.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 그릇받침

10. 고령 지산동 11. 합천 반계제  12.합천 삼가

 

◆ 바리모양 그릇받침

13. 고령 지산동

 

◆ 뚜껑있는 긴목 항아리 / 바리모양 그릇받침

14. 남원 월산 

 

◆ 손잡이 달린 굽다리 항아리

2. 고령 지신동

 

 

 

◆ 뚜껑 / 손잡이 달린 항아리

3. 고령 지산동

 

 

◆ 손잡이 달린 굽다리 바리

5. 고려 지산동

 

 

◆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6.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 그릇받침

10.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 그릇받침
11. 합천 반계제(磻溪堤)

 

 

 

 

 

# 오른쪽부터

◆ 긴목 항아리
9. 고령 지산동       8.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9. 고령 지산동

 

 


◆ 바리모양 그릇받침
13. 고령 지산동

 

◆ 긴목 항아리 / 그릇받침

12.합천 삼가

 

 


◆ 뚜껑있는 긴목 항아리 / 바리모양 그릇받침
14. 남원 월산리 

 

 

 

# 소가야의 토기

◆ 굽다리 바리

1. 진주 무촌리

 

◆ 굽다리 긴목 항아리

2. 고성 율대리

 

◆ 굽다리 항아리

3. 산천 묵곡리

 

◆ 손잡이 잔

4. 산청 묵곡리 5. 고성 율대리

 

◆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7. 산청 묵곡리 8. 창원 대평리

 

◆ 긴목 항아리

9. 창원 덕곡리 10. 창원 합성동  11.고성 연당리

 

◆ 굽다리 긴목 항아리
2. 고성 율대리

 

◆ 굽다리 항아리

3. 산천 묵곡리

 

◆ 손잡이 잔
4. 산청 묵곡리

 

 

#오른쪽부터
상단

◆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8. 창원 대평리   7. 산청 묵곡리 

하단
◆ 긴목 항아리
11.고성 연당리    10. 창원 합성동    9. 창원 덕곡리 

 

 

◆ 뚜껑있고 네 귀 달리 굽다리 항아리

13. 진주 중안동

 

 

◆ 바리모양 그릇받침

15. 창원 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