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05 매발톱_남천동 2024. 3. 15. 서양 작약_분 # 서양작약_분 - 이제 싹이 보이기 시작한다. 2024. 3. 15. 뽀리뱅이_부산 2024. 3. 15. 털머위2_부산 금련산 # 털머위2_부산 금련산 - 어느새 새순이 돋았다. 핸폰 Q9 - 잎이 크고 억세게 생겼다. Q9 Q9 2024. 3. 15. 꽃누리장나무 # 꽃누리장나무 - 이름처럼 풀이 아니고 나무였다. 처음에는 풀인 줄 알았다....나무 위에서 새순이 돋는 것을 보고.. 아.. 꽃누리장나무..... - 수영구 도서관을 지나 가파른 등산로를 들어서면 왼쪽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 부산 수영구도서관 뒷편 왼쪽 등산로 부근에 핀 꽃누리장나무. 이름은 나무지만 풀같다. - 수국과 교대하는 느낌이다. 멀리서 보면 자라는 모양과 꽃모양도 닮았다. S22 S22 2024. 3. 15. 남천_부산 - 빨간색 옷에서 검은색 옷으로 갈아 입는 중.이름 외우기 쉽다. 이 동네 이름과 같다. 남천동. "남천" S22- 남천꽃이 하얗게 피었다. 2024. 3. 15. 단풍나무_부산 남천동 - 단풍나무 잎을 보니 갑자기 두릅이 생각났다. 2024. 3. 15. 자목련_부산 - 남천동 어린이집. 2024. 3. 15. 까치_경성대 분수대 - 의좋은 부부. 신방을 아기방을 꾸미기 위해 구상 중이다. 각자 업무 분담 회의 후. 작업 개시... - 소나무에 붙어서 입으로 껍질을 벗긴다음 물고 간다. "약은 약사에게, 집은 까치에게." 엉성해 보이는 까지집 진짜 튼튼하다. 누가 부쉬기 전에는 절 때 무너지지 않는다. 2024. 3. 15. 2024_02_교토3_산주산겐도(三十三間堂) 2024_02_교토3_산주산겐도(三十三間堂) # 출입문 현판 - 보문각(寶文閣) 큰 건물 1개가 있다. # 참배시간. - 입구 마당에 홍매 화분 1개에 매화가 가득이다. # 삼심삼간 건물 앞쪽에서 신발을 벋고 들어간다. 계울에는 실내화가 필요해 보인다. 법당을 걸을 때 발이 너무 시리다. # 종루 - 실내는 사진을 못찍게 하니 애매한 매화와 문만 찍는다. 2024. 3. 15. 세계학자학도서관 개관기념 자전 및 운서 전시회 # 경성대학교 한국 자서와 사전 전시회 2024. 3. 14. 동네한바퀴 # 윤덕로(尹德老)의 묘. # 윤세진(尹世鎭)의 묘. 2024. 3. 14.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3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3 # 간추바끼(山秋柏)_추바끼과. # 난텐(南天) - 5~6월에 꽃이 피고, 11~12월에 열매가 익는다. 2024. 3. 14.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2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2 # 헤이안(平安)의 방 # 모노 가타리(物語)의 방. # 우지(宇治)의 방. 2024. 3. 13. 동네한바퀴 - 이쪽 골짜기의 무덤은 모두 석상은 있고, 비석은 없다. 아래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찍었다. # 윤경(尹瓊)의 묘. - 윤정준의 양아버지이다. # 주인 잃은 석물. # 윤정준(尹廷俊) 묘 - 윤임의 증손자이다. 아머지는 윤발(尹𪼠)이다. # # 상석. # 준(俊) # 순천부 부인(順天府) 부인 박씨 묘소 - 윤임의 어머니이다. # 동자석(童子石). # 순천부 부인 무덤 아래 있는 작은 무덤은 순천부 부인의 몸종 무덤이다. # 석등. # 현감 윤혁의 처 전주이씨 묘. - 순천부 부인 무덤 위에 있다. 2024. 3. 13. 동네한바퀴_증산동을 넘어서 # 대윤(大尹) 윤임(尹任)의 묘소- 묘비는 없고 간이 최립이 짓고, 김현성이 글씨를 쓰고, 김상용이 전서를 쓴 신도비만 있다. 1606년 8월에 신도비가 세워졌다. 비갓은 없다. # 오른쪽 망주석. - 신도비 뒷면 - 봉분 # 문인석# 무인석 # 왼쪽 망주석 # 신도비 좌측.글자가 없다. # 신도비 우측.- 글자가 없다. # 돌 재질이 갈라진다. 모래처럼. # 오전에 사진이 더 잘 나온다. 2024. 3. 12.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1 2024_02_교토2_겐지모노 박물관1 우지 시립 겐지(源氏) 이야기(物語) 박물관. # 원씨 후집(源氏後集) 여정(餘情) # 관람료 *단체는 20명 이상.- 성인: 600엔(단체 480엔)- 소인: 300엔(단체 240엔) # 겐지 회권(源氏繪卷) 등롱(燈籠) # 헤이안 전시실- 헤이안 노 마( へいあんのま_平安의 방). # 모자와 부채.- 시츠샤칸(漆紗冠:칠사관) # 바둑 ◆ 패복(貝覆:카이 오오이)_조개 껍질 장식. ◆ 쌍륙(雙六:스고로쿠)- 우리나라에서 전해진 놀이이다. # 귀족의 장식. # 우지 십첩에 등장하는 인물소개. # 우지(宇治)의 방. # 아름다운 그림이 있는 복도.# 우지로 가는 길[宇治への道行き:きみちゆき] # 특별기획전- このわたりに薰.. 2024. 3. 12. 2024_02_교토1_뵤도인3 2024_02_교토1_뵤도인3 # 봉상관. - 출구 복도 2024. 3. 11. 2024_02_교토1_뵤도인2 2024_02_교토1_뵤도인2 2024. 3. 10. 줄사철나무 # 출사철나무 - 불광천에 새로 심은 줄사철나무 - 겨울이 되자 붉은 이파리가 더욱 붉어졌다. 일반 사철나무와 다르게 줄기처럼 자란다. - 봄이되자 녹색 옷으로 갈아 입었다. 누가 겨울과 여름의 식물이 같다고 믿겠는가. 붉은 것과 녹색이 서로 다른 식물이라고 믿을 것이다. 2024. 3. 9. 누군가의 기도 # 누군가의 기도 - 마음이 느껴지는 돌. 탑이다. 2024. 3. 9. 쇠박새 # 쇠박새 반홍산. 영종도 백련산 - 나뭇가지에 작은 새도 지저귀고... 2024. 3. 9. 직박구리 - 버느나무 새싹을 먹는 직박구리 2024. 3. 9. 귀롱나무_구룡목 # 귀롱나무_구룡목(九龍木) - 귀롱나무에 새싹이 돋는다. - 반홍산 베드민턴 경기장 가는 계단이 끝나는 곳에 귀롱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 귀롱나무 꽃대 - 귀롱나무 잎사귀 2024. 3. 9. 새집 아주 작은 새가 사는 집 - 오목눈이? 둥지 # S22 2024. 3. 9. 동네한바퀴 -약수터. - 폐쇄 포시는 없지만. 차마 입이 가지 않는다. 입을 헹구고 손을 씻는 정도. # 겨울을 견딘 훈장. # 바위의 휘어진 곡선에서 그의 뜨거웠던 인생을 느낀다. - 봉산에서 바라본 북한산. 날이 맑아서 북한산이 선명하게 보였다. - 백운대. # 편백나무 전망대. # S22 2024. 3. 9. 2024_02_교토1_뵤도인(平等院)1 2024_02_교토1_뵤도인1 # 봉상관(鳳翔館) 2024. 3. 9. 2024_나라4_도다이지(東大寺)_동대사 2024_나라4_도다이지(東大寺)_동대사 ◆ 금고(金鼓) # 천향산신사(千向山神社) 2024. 3. 8. 세계학자학도서관 개관식 및 기념 고서전서회 2024. 3. 6. 2024_나라3_헤이조코(平城宮)_평성궁 2024_나라3_헤이조코(平城宮)_평성궁 헤이조코궁은 동서남북으로 약 1k에 달하는 정방형이다. 현재 동루(東樓) 복원이 진행 중이다. 현재 정문과 궁전 건물은 철도를 경계로 분리되어 있다. 현재 헤이조궁적자료관(坪城宮跡資料館)>에는 왼쪽 전시실에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실은 목간 연구실(木簡硏究室)>, 木器金屬硏究室>, 土器硏究室>, 瓦硏究室>이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다. 목간 연구실(木簡硏究室)> 코너에는 헤이조궁과 헤이조교에서는 전국의 많은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에는 사람 키만큼 큰 목간부터 손가락만큼 작은 것까지 다양한 크기의 목간 약 30건 여의 목간이 설명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 土器硏究室> .. 2024. 3. 6.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