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05 2024_나라2_호류지(法隆寺)_법륭사 2024_나라2_호류지_법륭사 2024. 3. 5. 이끼 # 이끼 - 이끼를 보고 있노라면 이 곳이 얼마나 습한가라는 생각이 든다. - 여러 집 중의 담 중에 유독 이 담장에만 이끼가 예쁘게? 끼었다. 2024. 3. 4. 영산홍_부산 # 영산홍_부산 -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지만 그 연한 녹색 작은 잎 속에는 꽃몽오리가 단단하게 자라고 있다. # 분홍 # 하양 Q9- 황령산 정산에 아직 피지 않은 영산홍이 있다. - 꽃이 진 자리에 새 가지가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10개까지 나왔다. - 노란잎은 담배잎을 묶은 것처럼 아래로 쳐진다. 2024. 3. 4. 팔손이_부산 # 팔손이_부산 - 잎의 갈래가 8개여서 팔손이. 한자로는 팔수목(八手木), 팔각금반(八角金盤)이다. 마로니에의 잎이 7개여서 '칠지수'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 팔손이 열매가 주렁주렁. G9 핸폰 Q9 부산 금련산 9Q9 금련산 - 금련산에 자라는 팔손이 어린이 Q9 - 부산에서는 야생에서 겨울을 나지만 서울은 아직 월동이 안 된다. Q4 - 이름은 8손이지만, 현실은 8개짜리와 10개짜리도 있다. 중간에 9개도 있고. 7옆수_마로니에의 잎이 5개~6개도 있는 것처럼. 2024. 3. 4. 금식나무 # 금식나무_식나무 - Gold dust tree S22. G9 - 빨간 열매가 맺힌다. 한반도와 일본이 원산지. 부산 - 5일이 지나자 꽃이 졌다. - 4월에 피었던 꽃에서 작은 열매가 한 가지에 1개가 열렸다. 2024. 3. 4. 2024_02_나라국립박물관2 2024_02_나라국립박물관2 ◆ 파손된 불상의 일부분을 모은 컬렉션 - 나라국립박물관 파손된 불상의 일부분을 개인이 수집한 것으로 1970년대에 나라국립박물관이 총 500여 점을 소장하게 되었다. 이 중 100여 점을 전시하였다. 몸체와 대좌(臺座), 광배(光背)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 불상의 일부분과 복장품, 지물(持物), 장신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스카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까지 제작 시기도 다양하다. 파손된 불상의 부분을 모은 것이지만, 존재감이 있으며 완전한 상태일 경우 명품이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것도 많다. 전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나라의 옛 사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도 있다. ◆ 말머리가 달려 있는 관은보살 좌상[馬頭觀音菩薩立像] - 목조 채색. ◆ 여래 입상(如來立像) - 목조 .. 2024. 3. 4. 2024_02_나라국립박물관(奈良國立博物館)1 2024_02_나라국립박물관1 나라박물관은 구관과 신관으로 구분되어 있다. 신관이 주로 특별전시장으로 이용되는데, 이날 신관은 휴관이었다. 구관은 크게 본관의 불상관>과 별관의 청동기관>으로 구분되어 있다.불상관>은 전시물에 따라 사진 촬영 여부가 결정된다. 예전에 갔을 때는 중앙의 금강역사 입상만 찍을 수 있었으나 이번에는 다행스럽게도 나라박물관 소장 유물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었다. 특히 나라국립박물관에는 중국, 한국의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일본의 불상 조각은 시기에 따라 사용된 재료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목조 불상을 만들 때 나라시대부터 헤이안시대 초기까지는 비자나무를 주로 사용하였다. 헤이안시대 후기부터는 노송나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목재 이외에도 금석, 돌, 건칠, 점토 등을 사용하였.. 2024. 3. 3. 수선화_겹미니 # 수선화_겹미니 - 쪽파처럼 가는 새싹이 여기저기서 삐져 나온다. - 꽃이 피기 시작했다. 2024. 3. 2. 청둥오리23 # 청둥오리23 # 백로와 청둥오리, 그리고 왜가리. 2024. 3. 2.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린다. 어제는 따스한 햇살이 비추더니 오늘은 봄이 오는 소리가 더욱 가깝게 들린다. 개울 곳곳에는 조용하게 봄이 오고 있다. 갈색과 녹색이 어우러진 냉이도 기지개를 켜고... 작은 냉이밭이다. 늘 봤지만 아직도 이름을 모르는 꽃도 활짝 피었다. 이름 모를 풀 시영과 비슷한 풀이 붉게 돋아난다. 때 이른 홍갓이 바위틈에서 자라고있다. 이름 모를 풀들 이름 모를 풀들 서양 클로버도 벌써 이만큼 자랐다. 개울을 붉게 물들일 원추리도 싹이 나왔다. 이름 모를 풀들 이름 모를 나비 청둥 오리 식사 중인 비둘기 떼 이름 모를 풀들 불광천의 작은 모매톱 역시 군화가 최고 청갓과 홍갓 사이 광대나물이 보라색 꽃망울을 터트렸다. 별꽃이 하얀 꽃을 뿜어 내고 있다. 갓?? 이름 모를 풀들 영산홍의 붉은 잎이 돋아났다 애는 왜 여.. 2024. 3. 2. 백로 불광천 2024. 3. 2. 2024_나라1_만요문화관(萬葉文化館) 2024_나라1_만요문화관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문화관을 방문했을 당시 우리팀 이외에는 아무도 없었다. 문화관은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되어 있다. 지하 전시관 복도에는 만엽 시기 일본의 고지도와 유적에 대한 상세 설명이 있다. 지하 전시관에는 12종의 만엽집 사진과 함께 아래에 간략한 설명이 있었다. 처음 목판으로 출판했던 에도시기의 만엽집은 초서(草書) 형태의 한자로만 되어 있고 훈(訓)이 없었다. 이후1643년에 관영판본(寬永版本)과 1709년에 보영판본(宝永版本)이 간행되었는데 이 판본은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가장 큰 특징은 제목을 제외한 본문을 해서(楷書)로 표기하고 오른쪽에 가나로 음(音)을 표기한 것이다. 아래에는 1643년에 간행된 관영판본(寬永版本)과170.. 2024. 3. 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3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3 # 신앙의 대상. ◆ 금동 부처 - 통일신라. # 설명서 사진추가요. ◆ 석경(石經) - 통일신라. # 설명서 사진 추가요. ◆ 청동 사리함. - 통일신라. # 설명서 사진추가요. ◆ 연기 법송(緣起法頌)을 새긴 은판 - 통일신라 - 황룡사 9층탑 터 심초석 사리공. - 연기법송 중 한 구절인 '만물이 인연에서 생겨난다.[諸法因緣生]'라는 구절을 새긴 두 장의 은판이다. 각 판의 글씨가 달라 서로 다른 사람이 새긴 것으로 보인다. 연기법송은 불실이나 탑 안에 봉안하는 법사리, 황룡사 찰주본기에 기록된 '872년 추가로 붕인한 법사리 2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 공양탑_- 토제와 석제 -통일신라 8세기 - 국립경주문화제연구소. # 설명서 사진추가요. ◆ 금.. 2024. 2. 28.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2 ◆ # 불교사원의 기와와 전돌. ◆ 특수한 문양의 기와. ◆ 연꽃무늬 사래기와[板瓦]. - 통일신라 - 황룡사터. ◆ 감은사(感恩寺) 기와. ◆ 사천왕사(四天王寺) 기와. ◆ 분황사(芬皇寺) 기와. ◆ 황룡사(皇龍寺) 기와. ◆ 흥륜사(興輪寺) 기와. # 기와의 각종 문자. ◆ '인정지사(因井之寺)'가 새겨진 수막새. - 고려. ◆ '정만지사(正万之寺)'가 새겨진 수막새. - 고려 - 경주. ◆ '사제사(四祭寺)'가 새겨진 막새 / 기와. - 고려시대 - 경주. ◆ '갑산사(甲山寺)'가 새겨진 기와. - 통일신라~고려. - 경주 갑산사 터. ◆ '백률사(栢栗寺)'가 새겨진 평와(平瓦) . - 고려 - 경주 황룡사 서편 절터.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소장. ◆.. 2024. 2. 27.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6_미술관2층_1 ◆ 치미(雉尾) -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서 처음 만나는 유물이다. # 치미의 부분별 이름. # 기와의 이름과 사용 위치. # 2층 불교 사원실. ◆ 신장이 새겨진 석탑 몸돌. - 통일신라 8~9세기. ◆ 석탑 몸돌[塔身石]. - 통일신라. - 출토지 미상. 석탑 몸돌 4면에 문 모양이 조각되어 있고 양쪽 문에는 각각 문고리를 달았는데, 부처의 사리가 봉안된 공간을 상징한다. 아라에는 2단의 몸돌 받침이 있어 석탑의 1층 몸돌로 추정된다. ◆ 석탑 지붕돌[屋蓋石]. - 고려시대. - 경주 탑리(塔里) 석탑의 지붕돌 윗면에 얕은 단은 위층의 몸돌로 지불돌과 같이 1개의 돌로 만들었다. 지붕돌은 3단의 지붕 받침이 있으며, 낙수면은 완만하고 처마가 짧으며 곡선.. 2024. 2. 26.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5_미술관1층_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5_미술관1층_2 ◆ 좌: 보살 / 중: 삼존불 / 우: 보살 ◆ 좌: 청동 보살 ◆ 청동 삼존불 # 신라 왕실의 부처_월지 금동판불. # 손 안의 부처. ◆ ◆ 반가사유상. ◆ 금동불입상 - 통일신라 9세기 # 수정과 비취. - 통일신라_월지 추토. ◆ 사자상 - 통일신라 8세기. - 경주 분황사. ◆ 천불소탑(千佛小塔) - 통일신라. # 설명 사진 추가요. ◆ 금강역사_손 / 머리 / 팔 - 통일신라. ◆ ◆ ◆ ◆ 사천왕 - 통일신라 8세기. ◆ ◆ 석조 약사불 좌상 - 통일신라. ◆ 석조 반가사유상. - 경주 송화산 ◆ 치미(雉尾) 2024. 2. 25. 북가좌동_육개장 맛집_소단정2 육개장 맛집_소단정2 - "안 온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온사람은 없다"는 말이 어울리는 집이다. - 서비스 납작만두. - 오랜만에 갔더니 반찬이 1종 더 추가되었다. 반찬이 늘었냐고 했더니, 오랜만에 오셔서 더 드렸다고.백김치, 청포묵, 궁채장아치, 오뎅볶음. - 오늘은 육개장에 새로운 변화를 주었다. 국물이 좀 싱거워 보였다. 혹시 버섯 넣었는지 물었다.답: 느타리버섯과 숙주를 넣었다고. 그래서 그런지 국물이 좀 싱거웠다. 간이 싱거운 것이 아니고 국물이 약간 찌개 느낌이다. 벽에 메뉴 설명과 그림도 있다. - 육개장의 어원과 효능 # 납작군만두 메밀비빔면- 9,500원.나름 먹을만하다. 메밀비빔면의 남은 양녕에 납작만두를 무쳐서 먹어도 좋다. # 이 집의 메인 메뉴인 육개장.- 일.. 2024. 2. 25. 남천동 매화 핸폰 s22 # 산에 갔다 내려오는 길에 만난 백매화. 이제 꽃이 지려고 한다. 서울은 아직 몽오리도 올라오지 않았는데.... 2024. 2. 25. 사방오리나무 # 사방오리나무 - 황령산 정상으로 가는 길가에 있다. - 아침에 봉수대를 거쳐 내려 오는 길에 만난 사방오리나무... 바람이 너무 세서 사진 찍기가 힘들었다. 바로 옆에는 커다란 생강나무도 있었다. 이 길은 진달래 군락지... 2024. 2. 25. 맥문동(麥門冬)_화단 # 맥문동_화단 - 굵은 새 싹을 보기 위해 겨우내 이고 있던 묵은 싹을 잘라주었다. - 증산동 반홍산에 자라는 야생 맥문동이다. 군락은 아니고 나무 그늘에 조용히 있다.거름이 좋아서 그런지 뿌리가 튼실하다. 영종도 백련산 - 작년 봄에 열린 열매가 마지막 힘을 다해 마른 줄기에 매달려 있다. s22 년 4월 23일> - 파릇파릇한 맥문동 새싹이 돋았다. Q9 - 자두색 꽃대에서 색모라색 꽃몽오리가 올라온다. 맨 아래에서 보라색 꽃이 2개 피었다. Q9 - 어느덧 보라색 꽃이 피었다. 어릴 때 예쁘가 이발한 사진이 없는 것이 신기할 뿐. 분명 사진을 찍었었는데 없다. - 봄에 화단에 심은 맥문동에서 첫번째 꽃이 피었다. 년 10월 07일> - 올해도 검고 영롱.. 2024. 2. 25. 흰말채나무 # 흰말채나무 - 이름은 흰말채나무지만 줄기는 붉은 색이다. 가지 끝에는 아직 마른 잎이 남아 있다. - 노랑말채나무와 꽃 모양이 다르다. 노랑말채나무 동일하게 5월에 꽃이 피고 9월에 열매가 익는다. s22 2024. 2. 25. 부산 용호동 _수훈 중국관 # 수훈 중국관. - 아마 화요일이 휴일이다. 이기대 부근 버스정류장 바로 옆에 있다. '수훈'이 사장님 이름. 현금 가격과 카드 가격이 다르다. 무려 2천 5백원 차이.현금_짜장면 4천원 짬뽕 5천원카드_짜장면 6.5천원 짬뽕 7.5천원 딱 짜장과 짬뽕만 현금과 카드가 다르다. 혹시 몰라 짜장과 볶음밥 둘다 시켰다. 4인 자리에서 합석.그냥 뭐 딱 4천원짜리 짜장면이다.동네면 모를까 일부러 먹으러 가진 않을 듯. 2024. 2. 25.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4_미술관1층_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4_미술관1층_1 ◆ ◆ ◆ 석조 부처 입상 - 통일신라 8세기. ◆ 석조 부처 입상. ◆ 미륵 여래 삼존 - 신라 7세기. # 설명 사진 추가요. ◆ 석조 약사여래 입상. ◆ 석조 보살. - # 설명 추가요 ◆ 석조 부처 얼굴 - 신라 7세기. # 전설이 된 신라의 부처와 보살. ◆ 석조 11면 관음보살 입상. - 통일신라 8세기. ◆ 금동 약사여래. - 통일신라 8세기. ◆ ◆ 청동 귀. ◆ 청동 나발. ◆ 부처의 발. _소조. # 신라 왕경 불상의 재료와 크기. ◆ 금동약사여래(藥師如來) 입상. - 통일신라. ◆ 비로자나불과 부처 - 통일신라 8세기. # 8~9세기 불상의 양식. ◆ 금동비로자나불 - 통일신라 9세기 ◆ 2. 부처_금동불입상. - 통일신라 8세기. ◆ 3.. 2024. 2. 24.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5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5 # 종묘 제향을 위한 그릇_제기(祭器) ◆ ◆ ◆ ◆ ◆ ◆ ◆ ◆ ◆ ◆ ◆ ◆ ◆ ◆ - "종묘(宗廟)"라고 새겨진 그릇. ◆ 방향(方響) ◆ 특종(特鐘) ◆ 어(敔) ◆ 박(拍) ◆ 축(柷) ◆ 특경(特磬) ◆ 진고(晉鼓) ◆ 좌:장고(杖鼓) / 우: 절고(節鼓) ◆ 좌: 나각(螺角) / 우: 태평소(太平簫) ◆ 철제 대금과 철제 은금 입사 대금. ◆ 운라(雲鑼) # 광화문 야경. 2024. 2. 23.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4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4 지하 1층. 왕실의례 # 궁왕의 통과 의례. # 원자의 탄생과 태의 봉안. # 국왕 태실의 가봉(加封) ◆ 숙종 태항아리와 태지석(胎誌石) - 17세기. ◆ 성종 태항아리와 태지석. - 15세기. ◆ 태종 태항아리 - 고려말기. ◆ 순조 태항아리. - 18세기. ◆ 예궁(禮弓) # 깃발. 의장기의 구조. ◆ 황룡(黃룡龍) 깃발. ◆ 주작(朱雀) 깃발_삼두조(三頭鳥) ◆ 현무(玄武) ◆ 정묘기(丁卯旗) ◆ 가귀선인기(駕龜仙人旗)._거북을 탄 선선이 그려진 깃발. ◆ 기린(麒麟) 깃발. ◆ 화성능행도 병풍. ◆ 종묘친제규제도설( 宗廟親祭規制圖說) 병풍 ◆ ◆ 향로와 향합. ◆ 용찬(龍瓚)과 찬반(瓚盤) ◆ 작(爵)과 점(坫) # 종묘 제향을 위한 음식_제수(祭需) ◆ 제관의 복.. 2024. 2. 22.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3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3 # 지하 1층. # 조선의 과학. ◆ ◆ ◆ ◆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 ◆ 해시계. ◆ 소일영(小日影) ◆ 백각환대(百刻環臺) "험시변판내외(驗時辨內外)"이라고 새겨져 있다. ◆ 간평일구 혼개 일구 ◆ 평면 해시계. ◆ ◆ 평혼의(平渾儀) ◆ 天象列次分野之圖(天象列次分野之圖) ◆ 혼천의(渾天儀) ◆ 창덕궁 측우대(測雨臺) ◆ ◆ 선기옥형도(璇璣玉衡圖) ◆ 사인검( 四寅劍)과 삼인검(三寅劍) 2024. 2. 22.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2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2 # 1층. 조선의 궁궐 # 자동차 # 대한제국 # 황실 가족 # 대한제국의 식기. # 궁궐 내 근대시설의 도입. # 관문각(觀文閣) 현판. - 국내 최초 서양식 건물인 관문각은 왕실의 서제로 사용되었다. 현판의 글씨는 고종이 직접 썼다.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이 1891년에 벽돌로 개축했다가 1901년쯤 철거되었다. ◆ 돈덕전(惇德殿) 편한. # 경운궁 돈덕전에 걸었던 현판이다. 1907년 돈덕전에서 순종의 즉위식이 열렸다. ◆ 중화전(中和殿) 현판. # 경운궁 즉조당(卽祚堂)을 고친 이름이다. ◆ 국자. ◆ 주걱. ◆ 그릇. ◆ 환구축판(圜丘祝板) # 황제국의 상징인 황구단과 환구제. - 베이징의 천단(天壇)과 비슷하다. ◆ 친군영(親軍營) 관인. ◆ 명성황후 책봉 금보(金.. 2024. 2. 21.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1 2024_02_국립고궁박물관1 # 2층 전시관 - 1. 조선의 국왕 - 2. 조선의 궁궐 - 3. 왕실의 생활 1. 조선의 국왕. # 국왕의 면복(冕服) - 구등 면복. ◆ ◆ 순종황제 어진 # 임금님의 글씨_어필각석 # 정조의 화성 행차. # 국가행사의 규범과 의궤. # 조선왕조 실록. # 조선시대 국가기구도. # 규장각 장서 모형 # 2. 조선의 궁실. # 궁권 복원도. ◆ 잡상_어처구니 - 서유기의 손오공, 저팔개 등. # 정아조회지도(正衙朝會之圖) ◆ 청룡 기와. ◆ 옥쇄. ◆ 서시춘방관(書示春坊官) ◆ 중희당(重熙堂) 현판. ◆ 야간순찰패. ◆ 증자와 관련된 7언시. ◆ 어제어필(御製御筆) ◆ 곤룡포, ◆ 왕비 의복. # 조선왕실의 복식. ◆ 용머리 비녀. ◆ 흉배판. ◆ 호랑이 모양 흉배 # .. 2024. 2. 20. 간사이대학교_박물관6 간사이대학교_박물관6 ◆ 20. 모작석기 - 시대 미상 - 관서대학교 박물관 소장. ◆ 21. 류구 굽은 옥. - 에도시대 - 오키나와현(沖繩縣) - 관서대학교 박물관 소장. # 옥을 걸친 사진. # 특집 전시. 2024. 2. 20. 동네한바퀴 # 용호동 UN묘지 공원입구에 핀 백매. 꽃이 한창 피고 있다. - 홍매 - 백목련 - 연하고 노란색이 선명해졌다. 조만간 고개를 내밀듯.... - 겹동백 2024. 2. 19.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