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05 놀부부대찌개_상암 MBC 앞 - 북가좌동에 사라진 놀부부대찌개집. 그나마 집에서 멀지 않은 상암동 MBC 앞 건물 지하에 체인점이 있었다. 2024. 2. 11. 북가좌동 심야식당_텐조 이것 저것 # 스지수육- 혼자 먹기에는 양이 좀 많다. 고기를 추가했더니.소주 안주에 그만이다. # 곱창볶음- 숙주가 추가되었다. - 닭다리? - 먼저 나온 삼겹 아스파라거스/닭껍질 - 석화회 - 하이볼과 닭 어깨살*새로운 메뉴. # 예쁜 술잔. - 잔 속에 하얀 잉어 한마리가 헤엄치고 있다. 핸폰 s22불쭈꾸미. 늘 새로운 그릇에 시도한다. # 새로운 그릇. -# 하이쿠모- 오이와 보리된장. 따로 먹어도 좋다. - 감자샐러드 고명이 무 말랭이로 바뀌었다. # 소양구이-처음 먹어보는데 나름 좋았다. 더 가늘게 자르면 먹기 편할 듯.남은 것은 집에 싸와서 가늘게 잘라서 먹었다. # 대구머리조림- 약간 달다. 김치랑 먹으면 잘 어울린다. S22 - 우설.. 2024. 2. 11. 수국_부산 # 수국_부산 - 수국은 1월 영하의 날씨에 자른 가지에서 새 순이 돋는다. G9 Q9 Q9 드디어 꽃이 붉게 물들기 시작한다. Q9 Q9 Q9 - 집 앞 남천초등학교 부근 화단 s22 G9 G9 남천초교에서 수영도서관 가는 길- 꽃이 다른 색으로 바뀌고 있다. 지는 꽃 송이 사이에서 또 새로운 생명이 싹트고 있다. 땅 속에서 새 줄기가 나오기도 하고, 기존의 가지 옆에서 움이 곁가지고 나오기도 한다. 2024. 2. 1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7_안압지 유물5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7_안압지 유물5 # 목간(木簡) # 음식과 관련된 목간. # 안압지 난간. # 난간(欄干) # 2층에서 바라본 전시관 전경 # 금속으로 만들 생활 용기. # 청동 사발. ◆ 청동 사발. ◆ 청동 사발 - 이것이 사발? *최소한 무엇을 따르는 도구.. 차, 물... ◆ 청동 접시 ◆ '대조(大祖)'가 새겨진 청동 접시. ◆ 청동 뚜껑 * 무엇을 뚜껑일까요? # 숫가락 * 내가 좋아하는 신라, 고려의 숫가락. 한 번에 먹을 만큼 국과 밥을 뜰 수 있다. 현재의 숫가락은 사실.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 청동 국자 ◆ 칠기 사발 ◆ 칠기합 2024. 2. 11. 2023_섬서 진공1호묘1 2023_섬서 진공1호묘1 # 진공(秦公)1호묘. # 보계 선진능원박물관. # 진공일호대묘. # 진공1호묘 간략 소개. - 참 깊다. 도골하려고 해서 찾을 수 없었던 이유. # 주곽(主椁) # 의학 성취. # 진전신풍(秦篆新風) # 진풍화장(秦風華章) # 숭례상악(崇禮尙樂) # 상천경조(尙天敬祖) # 경제(經濟) - 토지개혁 # 건축 구조. # 음식 그릇. # 의복과 기물. # 능의 내부. # 진(秦)나라. # 거동궤(車同軌) # 고대의 제도. # 양동형(量同衡) # 강한 진니라. 2024. 2. 10.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6_안압지 유물4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6_안압지 유물4 # 월지 모형도 ◆원판모양 납제품. ◆ 납으로 만든 손칼. ◆ 납으로 만든 가위[鋏] ◆ 쇠로 만들 말[馬]. 철제 말. ◆ 뚜껑항아리와 중국 동전. ◆ 뚜껑 있는 항아리. ◆ 흙거북 / 나무 거북. ◆ 흙으로 만든 인형[土偶] ◆ 나무 인형 ◆ 나무 남근. ◆ 문자가 새겨진 토기들. ◆ '룡(龍)'자가 새겨진 토기. ◆ '뢰룡(雷龍)'이 새겨진 토기. ◆ '신심용왕(辛審龍王)'이 새겨진 토기. # 문자가 있는 토기. ◆ 찍은 글씨 토기. ◆ 먹으로 쓴 글짜 토기. \◆ 새긴 글씨 토기. 2024. 2. 10. 2023_섬서 주원박물관15_외부 2023_섬서 주원박물관15_외부 # 보계 주원박물관_정문. # 지하 박물관 입구. # 외부에 있는 유지. ◆ 상대(磉墩) ◆ ◆ 항토장(夯土墻)_흙을 다져서 만든 담장. ◆ 호구(壕沟)_ 2024. 2. 9.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5_안압지 유물3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5_안압지 유물3 # 다양한 토기들. ◆ 질시루 ◆ 접시 / 찬합모양 토기. ◆ 새 문양이 찍힌 풍로(風爐). ◆ 사발. ◆ 등잔(燈盞). ◆ 돌벼루. ◆ 흙벼루. ◆ 다리 달린 벼루. ◆ 녹색 유약을 바른 벼루 다리 / 녹유 벼루 조각. # 벼루[硯] ◆ 2024. 2. 9.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4_안압지 유물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4_안압지 유물2 # 안압지 유물관 사이 창으로 바라본 다보탑과 석가탑. # 통일신라의 생활. 그릇. ◆ 뚜껑 굽다리 접시 ◆ 작은 단지[小壺] / 굽다리 접시[高杯] ◆ 굽다리 사발[臺附盌]. ◆ 사람문양이 있는 대접. - 매우 특이하다. 그릇 안쪽에 사람 형태의 문양이 있다. ◆ 접시(楪匙) # 찍은 무늬[印花紋] 토기. ◆ 찍은 무늬 합. / 뚜껑. ◆ 찍은 무늬 목 긴 항아리 ◆ 찍은 무늬 사발 / 토기 뚜껑. ◆ 단지. ◆ 찍은 무늬 사발. ◆ 단청(丹靑)을 칠할 때 사용하 그릇. ◆ 작은 항아리. ◆ 작은 단지. ◆ 네 귀 달린 항아리[四耳壺]. ◆ 매병모양 토기. 2024. 2. 8.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3_안압지 유물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3_안압지 유물1 # 바다처럼 조성한 월지(月池) # 기록으로 보는 월지 # 발굴로 본 통일신라의 궁원지. 월지. # 건축 부재 ◆ 공포(拱包) ◆나무 물마개[木栓] ◆ # 벽돌[塼] ◆ 전(塼) # 문자로 본, 월지의 축조 시기와 성격. ◆ 명문이 있는 자물쇠. ◆ 명문이 있는 암기와. ◆ 수막새 ◆ 연꽃무늬 마루 수막새 ◆ 녹유 당초무늬 암막새 ◆ 녹유 연꽃무늬 마루 수막새 ◆ 보상화 당초무늬 모서리 기와. ◆ 용얼굴무늬 기와. # 기와의 명칭. ◆ 치미. # 동북아시아의 기와 변천. ◆ 연꽃무늬 수막새. ◆ 사자무늬 수막새. ◆ 새무늬 수막 ◆ 좌: 연꽃 무늬 작은 수막새 중: 보상화무늬 작은 수막새 우: 가륭빈가무늬 수막새 ◆ 연꽃무늬 수막새 연꽃보상화무늬 수막새 # 기.. 2024. 2. 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2_외부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2_외부2 ◆ 석등 ◆ 머리 잃은 부처들. ◆석탑 기단 * 면석 ◆ 나한상 모서리 기둥 ◆ 고선사터 삼층석탑 ◆ 고선사 터 비석 받침. ◆ 고선사 터 ◆ 돌로 탑을 쌓은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 석탑의 전형이 된 신라 석탑 ◆ 관음보살 ◆ 부처 ◆ 경전 합. ◆ 수구다라니. 사진. ◆ 승소골 삼층석탑 2024. 2. 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_외부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_외부1 # 건물 안내도 - 사진 상에는 건에 푯히된 숫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 1. 정문 2. 박물관 가게 * 3. 신라역사관 4.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5. 월지관[안압지관] *본관과 또 다른 느낌. 6. 수묵당 7. 고청지 8. 카페테리아 9. 신라 천년 보고[영남권 수장고] 10. 고선사터 삼층석탑 11. 신라미술관 *그림이 아닌 돌과 기와. 12. 강당 / 사무동 / 세미나실 13. 특별전시관 *답사 당시 전시관은 진짜 특별했음.?? 14. 어린이박물관 15. 편의점 16. 신라 천년 서고 ◆ 승복사터 쌍거북 비석 받침. - 비석은 없지만 비석의 세부 명칭 설명이 있다. 제액(題額): 맨 위에 비석의 이름을 새긴 부분. 이수(螭首): 용을 새겨 장식한 비석 머릿돌.. 2024. 1. 3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8_기본진열7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8_기본진열75 # 당나라 이후9. ◆ 13. ◆ 2024. 1. 2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7_기본진열7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7_기본진열74 # 당나라 이후의 섬서8. ◆ 채회타마구용(彩繪打馬球俑)_폴로 경기를 하는 채회 도용. - 당나라 - 서안시 염량구(閻良區) 관산진(關山鎭) 출토. ◆ ◆ ◆ ◆ - 이 손에 위에도 무엇이 있었을 것인데.... ◆ 5. ◆ 4. ◆ 3. ◆ 2. ◆ ◆ 1. ◆ ◆ ◆ 16, 17, 18 ◆ 16. ◆ 15. ◆ 17. ◆ 18. ◆ 14. 2024. 1. 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6_기본진열7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6_기본진열73 # 당나라 이후의 섬서7. - ◆ ◆ 4. ◆ 3. ◆ 2. ◆ 1. # ◆ 9. ◆ 8. ◆ 7. ◆ 6. ◆ 5. ◆ ◆ ◆ # 여행 중?? ◆ - 보수 중. 2024. 1. 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5_기본진열7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5_기본진열72 # 당나라 이후의 섬서6. - 한쪽에 6개씩 양쪽에 모두 12개이다. 원숭이와 닭. ◆ 1번째_자(子)_쥐. ◆ 2번째_축(丑)_소. - 오히려 애가 호랑이보다 까칠해 보인다. ◆ 3번째_인(寅)_호랑이. - 호랑이가 너무 귀엽다. 만나면 바로 1촌 신청할 듯. ◆ 4번째_묘(卯)_토끼. ◆ 5번째_진(辰)_용. ◆ 6번째_사(巳)_뱀. ◆ 7번째_말(午)_말. ◆ 8번째_미(未)_양. ◆ 9번째 신(申)_원숭이. ◆ 10번째 유(酉)_닭. ◆ 11번째 술(戌)_개 ◆ 12번째 _해(亥)_돼지 ◆ 2. 조인범문다라니경주(彫印梵文陀羅尼經咒) - 당나라 - 1999년 5월 서아시 삼교진(三橋鎭) 출토. ◆ 1. 백석불입상(白石佛立像) - 수(隨)나라_5.. 2024. 1. 1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4_기본진열7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4_기본진열71 - 당나라 이후의 섬서5. # 당나라 장안사 도관 분포도. ◆ 삼채재낙타용(三彩載酪駝俑)_낙타를 타고 있는 삼채 토용. - 당나라 - 서안시 중보촌(中堡村) 출토. ◆ ◆ 10.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_채색한 진묘수.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진묘수(鎭墓獸): 무덤 속에 놓아두는 신상. ◆ 9.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_채색한 진묘수.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8. 삼채진묘수(三彩鎭墓獸)_삼채 진묘수. - 당나라 - 섬서시 서쪽 교외 출토. 7.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_채색한 천왕 토용.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6.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_채색한 천왕 토용.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5. 채회.. 2024. 1. 1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3_기본진열7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3_기본진열70 - 당나라 이후의 섬서4. ◆ 10. 유금 다문천왕 동상(鎏金多聞天王銅像) - 당나라 - 보계시 출토. ◆ 11. 유금관음보살동상(鎏金觀音普薩銅像) - 당나라 - 서안시 서쪽 교외 조원(棗園) 출토. * 외출 중. ◆ 12. 유금약사불동상(鎏金藥師佛銅像) - 당나라 - 섬서박물관 소장. ◆ 13. 유금노군상(鎏金老君像) - 당나라 - 섬서박물관소장 ◆ 14. 은석류관(銀石榴罐) - 당나라 - 1970년 서안시 하가촌 당대 교당(窖藏) 출토. ◆ 15. 광명홍사은합(光明紅砂銀盒) - 당나라 - 1970년 서안시 하가촌 당대 교장 출토 ◆ 16. 백자쟁병(白瓷淨甁) - 당나라 - 서안시 교릉구(高陵區) 출토. ◆ 17. 삼채정병(三彩淨甁) - 당나라 -.. 2024. 1. 12. 용호동_골목집 # 부산 용호동 골목집 - 제목은 골목집이지만 대로에 있다.재미있는 것이 첫주문은 인원+1. 3명이 가면 처음에 4인분을 주문해야한다. 생삼겹살: 1.2만생오겹살: 1.3만생목살살: 1.2만항정살: 1.4만갈매기살: 1.3만알밥정식: 1.2만알밥: 7천열무국수: 5천해물 된장찌개:5천 # 배추물김치. 시원한 맛이다. 바로 왼쪽에는 야채전. # 갈매기살과 오겹살.쌈장에 양파익은 갓김치 # 봄동과 알백이 배추 # 배추김치와 모두부. 야채는 상추, 고추, 마늘, 들깻잎. # 야채 겉절이. # 갓김치. # 깻잎지와 제피순 장아찌 무침. # 잘 구우서 얌냠. 누구인지 참 얌전히도 정리했다. # 마지막으로 돌솥된장찌개.... 밥대신 라면으로.... 2024. 1. 11. 2023_1_나라(奈良)41_흥복사_고후쿠지3_국보관 2023_1_나라(奈良)41_흥복사_고후쿠지3_국보관 - 국보관 내부 촬영금지라 사진이 없다. 아쉬운 마음에 100엔짜리 작은 책자를 샀다. 글을 쓰려고 찾으니 기억이 나지 않는다. 여행 후 바로 쓰는 것이 정석인 줄 알지만.... 아쉬운 마음에 박물관을 나와 흥복사5층탑만 돌고 돌았다.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한 덕분에 카메라를 줌으로 당겨 유물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 흥복사국보관 매표소 - 09시부터~17시까지. 마지막 입장시간 16시 45분까지.. 뭐 15분 보러 700엔 들이기는 아깝지만.... # 우리가 관람을 마치고 얼마 후 문이 닫혔다. # 나라 흥국사 국보관 100엔짜리 설명서 # 관람 순서도 # 중금당(中金堂) 진단구(鎭壇具) *국보. - 나라(奈良) 시대 # 좌: 목조 미륵보상반가상... 2024. 1. 11.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2_조각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2_조각(彫刻) ◆ 아미타불상 목제 칠박(노송나무) 높이 152.5 cm 헤이안 시대 후기 (11 세기 중반) 교토국립박물관 京都市の南方、久世(くぜ)郡久御山(くみやま)町林にある西林(さいりん)寺に伝わった像。隣の聚落の薬蓮(やくれん)寺(廃寺)から明治4年に移されたものという。 像の大きさはいわゆる半丈六(はんじょうろく)であるが、坐高は通常のものより10センチほど高く、腹部を長めに造っているため全体の形姿が伸びやかにみえる。優しい感情の流れる面相、整った流れよりも変化に富んだ起伏を狙う衣文、撫で肩で両膝を左右に大きく張った安定感のある体型など、天喜元年(1053)に仏師定朝(じょうちょう)が造った 宇治平等院鳳凰堂阿弥陀如来坐像にかなり近く、11世紀に遡る作と考えられる。 교토시의 남쪽, 구세군 구미야마 마을 숲에 있.. 2024. 1. 1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2_기본진열6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2_기본진열69 - 당나라 이후의 섬서3. # 사로유존(絲路遺存) # 삼채 ◆ 18. 귀뉴팔괘문동경(龜鈕八卦紋銅鏡) - 당나라 - 1971년 서안시 동쪽 교외 황가파(黃家坡) 출토. ◆ 19. 팔괘십문동경(龜鈕八卦紋銅鏡) - 당나라 - 서안시 동쪽 교외 곽가탄(郭家灘) 출토. ◆ 19. 팔괘십이생초문방경(八卦十二生肖紋方鏡) - 당나라 - 서안시 동쪽 교외 곽가탄(郭家灘) 출토. ◆ ◆ 20.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 수나라 - 1956년 서안시 동쪽 교외 한삼채 출토. ◆ 21.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 당나라 - 서안시 출토. 2024. 1. 9.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5_칠공예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5_칠공예 ◆ 마키에 기법을 사용해 화조도를 넣은 나전칠기(花鳥蒔絵螺鈿) 가로 세로 총 11.8cm 높이 30.2cm 궤(櫃) 세로 28.2cm 가로 41.5cm 높이 30.2cm 모모야시시대(16세기) 교토 국립박물관 桃山時代、ヨーロッパ向けに輸出用として造られた"南蛮漆器"と呼ばれる角徳利。おそらく葡萄酒を入れたものであろう。6本1組で櫃に納められている。南蛮漆器の器種は教会の儀式に用いられた聖餅箱・聖龕・書見台や、装飾調度として洋櫃・洋箪笥・双六盤などが造られた。そして、技法・意匠は金平蒔絵と螺鈿でそのほとんどが花鳥を全面に配したものである。この徳利もその典型的な遺品であり、櫃に入って保存されたため製作当初の姿をとどめている。南蛮漆器中でも優品に数えられるものの1つであろう。近年イギリスから逆輸入されたものである.. 2024. 1. 8. 월미당 # 베트남 식당 식당 이름을 재미나게 지었다. 越: 월남 米: 쌀(쌀국수) 堂: 식당. 월남쌀국수식당.- 월미당(越米堂)_베트남 쌀국수집.응암역에서 서부병원 가는 쪽에 있다. - 여기도 키오스크 사용. 2024. 1. 7. 유자(柚子) 유자 남천동 아파트 뒷편 해변시장 가는 길에 있다. 크기가 너무 작다. _Q4 - 아직도 따지 않은 유자가 나무에 달려 있다. 2024. 1. 7. 부산 남천동_오생선 # "오늘은 생선구이" 처음에는 오로지 생선구이로 착각했다. 2층에 있다. 가격이 안주 비싸지도 않은데 손님이 없다. 그럭저럭 먹을만하다. # 메뉴고등어 / 제주은갈치 / 옥돔보리굴비 / 가자미 / 은갈치조림 # 메뉴판. # 기본 반찬 2024. 1. 7. 도서관 계단 2024. 1. 7. 대연동 쌀룩수집_라이옥 # 베트남 식당 여자 이름 '라이'와 남자 이름 '응우앤 옥'을 합쳐서 만든 식당이름이다.메뉴도 다양하다. 분짜 소고기쌀국수_퍼보후띠우고이꾸온_월남쌈반세오_짜조_스프링롤분팃사오해물볶음밥계란볶음밥라이옥밥보솟방반미_바게드샌드위치라이옥 퍼가분보후에_해장국수분망넷껌스언_고기덮바반꿔이_뛰긴빵 # 입구에 키오스크가 있다. 식권 발매기. # 쌀국수-깍두기와 나온다. 베트남 야채_'자우' 없다. 라임도 없고, 레몬도 달라고 해야 준다.맛은 그냥 평범하다. # 불고기 반미- 일반 반미는 약간 베트남식, 불고기 반미는 한국 사람 입맛에도 맞다. 2024. 1. 7. 은목서(銀木犀) # 은목서 # 은목서_하얀꽃이 은목서이다. 부산에서는 '천리향'이라고도 부른다. # 이 모습 때문에 나무 이름에 '서(犀)'자가 들어 간다. 2024. 1. 7. 서울 응암동_응암김밥2 # 응암김밥2 # 며뉴판- 가격이 500원씩 올랐다.응암김밥: 3.5치즈김밥 : 4.5제육김밥 : 5.0멸추김밥 : 4.5참치땡초김밥 : 4.5생와사비참치김밥 : 5.0국물떡볶이: 4.0라볶이: 5.0어묵탕:3.5잔치국수: 6.0 # 홀에서 먹을 때 사장님이 김치도 주신다. # 오뎅탕 - 지단 홍당무_당근채 2024. 1. 7.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