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9_기본진열5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9_기본진열54 제3청_ # 수당(隋唐)2 ◆ 유금은쇄(瑬金銀鎖)_도금한 문고리. - 당나라 - 1970년 서안시 하가촌(何家村) 당대 땅속 저장고 출토. ◆ 유금포수(瑬金鋪首)_도금한 포수. - 당나라 - 서안시 당나라 대명궁 유지 출토. ◆ 유금은쇄(瑬金銅鎖)_도금한 구리 포수. - 당나라 - 2001년 4월 징집. ◆ 유금은쇄(瑬金鋪鎖)_도금한 포수. - 당나라 - 서안시 당나라 대명궁유지 출토. ◆ 삼채원락쇄(三彩院落) - 당나라 - 1959년 서안시 서쪽들 중보촌(中堡村) 출토. * 원락(院落): 집의 앞뒤에 담장이나 난간을 둘러친 공간. ◆ 연화문석주초(蓮花紋石柱礎)_연꽃 문양이 새겨진 돌 주춧돌. - 당나라 - 1998년 서안시 흥경궁(興慶宮) 유지 출.. 2023. 12. 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8_기본진열5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8_기본진열53 제3청_ # 수당(隋唐)1 # 성당기상(盛唐氣像) - 수나라부터 당나라까지. # 동방의 명도(名都) ◆ 당 장안성 함광문(含光門) 유지 모형 # 장안성 고금대조지도. ◆ "천보원년(天寶元年)" 명문이 새겨진 벽돌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서방천보(西坊天寶) " 명문이 새겨진 벽돌 - 당나라 - 劉漢基 기증. ◆ "육관소(六官昭)" 명문이 새겨 진 벽돌 - 당나라 - 서안시 당 대명궁 한림원 유지 출토. ◆ 左: 청곤통와(靑棍筒瓦) / 당나라 / 서안시 당 대명궁 유지 출토. 中: "내작소예관(內作昭禮官)" 명문이 있는 기와. / 당나라 / 서안시 당 대명궁 한림원 유지 출토. 右: "육관소(六官昭)" 명문이 새겨 진 기와. / 당나라 .. 2023. 12. 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7_기본진열5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7_기본진열52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4 ◆ 1. 몽고군도부원수은인(蒙古軍都府元帥銀印)_몽고군 도부원수의 은 도장. - 원(元)_1271~1368. - 섬서박물관 소장 ◆ 2. 구당공사인(勾當公事印)_관인. - 금(金)_1115~1234.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1963年黑龍江省龍江縣龍興鎮西山村厚少疊拳出土。銅質,方形,邊長6.2厘米,印文九疊陽篆“勾當公事月字號印”,背刻“貞祐四年二月曰”,“上京行六閥連驗辨部造”,虹槳捉側刻“勾當月字印”祖整滲。印鑄於1216年,以千姜煉察字文月編號。“勾當”戰全即辦理之義。此印由代中央行使權力的臨時機構—上京行六鍵蜜習部頒發。 ◆ 3. 동권(銅權)_구리 저울추 . -원(元) - 위남시(渭南市) 출토. ◆ 4. 동화총(銅火銃)_구리 화총. - 원(元.. 2023. 12. 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6_기본진열5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6_기본진열51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3 ◆ 16. 호주조자(湖州照子)이 새겨진 거울. - 북숭(北宋)_960~1127. - 사안시 남전현 여씨가족묘 출토. ◆ 17. 육판구백유설(六瓣口白釉碟)_6개 잎사귀 모양의 주둥이가 있는 접시. - 북숭(北宋)_960~1127. - 서안시 남전현 여씨가족묘 출토. ◆ 18. 국판형쌍룡문백석반(菊瓣形雙龍紋白石盤)_국화꽃 모양의 2마리 용의 문양이 새겨진 힌돌 소반. - 북숭(北宋)_960~1127. - 서안시 남전현 여씨가족묘 출토. *이게 돌이라니 참 신기하다. 돌같지 않은 돌. ◆ 19. 어호문동정(魚虎紋銅鼎)_'목(牧)'이 새겨진 청동 솥. - 전국(戰國)_BC.5~BC.221. - 서안시 남전현 여씨가족묘 출토. .. 2023. 12.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5_기본진열5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5_기본진열50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2_그릇. ◆ 1. 세발 달린 벼루 - 북송(北宋)_960~1127. - 서안시 남전현 여씨가족묘 출토. *누가 선비 집안 아니랄까봐 무덤에서 벼루가 나왔다. ◆ 3. 청유은구천복완(靑釉銀釦淺腹碗)_푸른 유약을 바른 은 테두리가 있는 배가 얕은 주발. - 북송(北宋) - 서안시 남점현 여씨가족묘 출토. ◆ 2. 청유은구심복완(靑釉銀釦深腹碗)_푸른 유약을 바른 은 테두리가 있는 배가 깊은 주발. - 북송(北宋) - 서안시 남점현 여씨가족묘 출토. ◆ 4. 청유은구규구완(靑釉銀釦葵口碗)_푸른 유약을 바른 은 테두리가 있는 해바라기 모양 주발. - 북송(北宋) - 서안시 남점현 여씨가족묘 출토. ◆ 5. 청유금구규완(靑釉金釦葵口.. 2023. 11. 3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4_기본진열4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4_기본진열49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1_옥(玉) ◆ 21.청옥노사(靑玉鷺鷥)_청옥으로 반든 해오라기 - 청(淸)_1639~1911.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22. 취계지(翠戒指)_비취로 만든 반지. - 청(淸)_1639~1911.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23.취반지(翠扳指)_비취로 만든 반지(扳指:까지) - 청(淸)_1639~1911.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24. 누공춘수문옥패(鏤空春水紋佩)_가운데가 빈 춘수문 옥패. - 청(淸)_1639~1911. - 1999년 5월 서안시 장안구 위곡 이중(二中) 마종원(馬宗援) 송교(送交). ◆ 25. 방조패식(蚌雕佩飾)_방합조개로 아로새긴 차는 노리개. - 청(淸)_1639~1911. - 1992년 서안시.. 2023. 11. 2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3_기본진열4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3_기본진열48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0 _토용. ◆ 1. 중앙: 송봉식합시녀용(宋捧食盒侍女俑)_합에 든 음식을 받드는 송나라 시녀 토용. - 송(宋)_960~1127. - 한중시(漢中市) 출토. ◆ 2. 좌우: 송공수여입용(宋拱手女立俑)_팔짱을 끼고 있는 송나라 여자 입용. - 송(宋)_960~1127. - 안강시(安康市) 백가양(白家梁) 출토. ◆ 3. 누워 있는 동자 토용[臥童子土俑]. - 북송(宋)_960~1127. - 서안시 서대가(西大街) 출토. ◆ 4. 박수동자용(拍手童子俑)_박수치는 동자 토용, 격고동자용(擊鼓童子俑)_북치는 동자 토용. - 송(宋)_960~1279. - 1965년 함양시 순읍현 출토. ◆ 5. 목용동자용(沐浴童子俑)_욕하는 동자.. 2023. 11.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2_기본진열4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2_기본진열47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9 ◆ 23. 청유팔릉집호(淸釉八㥄執壺)_푸른 유약을 바른 손잡이가 있는 8각형 병. - 송(宋) - 함양시 출토. ◆ 22. 청유각화정병(淸釉刻花淨甁)_푸른 유약을 바른 각화 정병(淨甁). - 송(宋) - 동천시 출토. * 정병(淨甁): 승려가 손을 씻는 그릇. ◆ 21. 청유각화반(淸釉刻花盤)_푸른 유약을 바른 각화 소반(淨甁). - 송(宋) - 동천시 요주구 출토. ◆ 20. 청유인화화구설(淸釉인화화구설)_푸른 유약을 바른 인화 꽃무양 접시. - 송(宋) - 위남시 징성현 유가와향(劉家洼鄕) 출토. ◆ 19. 청유화구(淸釉花口碗)_푸른 유약을 바른 꽃모양 주발. - 송(宋) - 위남시 징성현 유가와향(劉家洼鄕) 출토. .. 2023. 11. 25.
달달무슨달 # 달달 무슨달 2023. 11. 2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1_기본진열4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1_기본진열46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8 # 정아생활(精雅生活)_우아한 생활. ◆ ◆ 44. 청유방정(淸釉方鼎)_푸른 유약을 바른 네모 솥. - 금(金)_1115~1234. - 서안시 남전현 출토. ◆ 43. 청유각화삼족정(淸釉刻花三足鼎)_푸른 유약을 꽃을 새긴 세발 솥. - 금(金) - 1960년 서안시 남전현 출토. ◆ 42. 청유각화투합기좌(淸釉刻花套盒)_푸른 유약을 바른 꽃을 새긴 받침대. - 송(宋) - 동천시(銅川市) 요주요(耀州窑) 유지 출토. ◆ 40. 청유사좌등잔(淸釉獅座燈盞)_푸른 유약을 사자 받침 등잔. - 금(金) - 1972년 동천시(銅川市) 요주구(耀州區) 출토. ◆ 39. 강황유수파어문완(薑黃釉水波魚文碗)_생강색 유약을 바른 물결과 물.. 2023. 11. 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0_기본진열4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0_기본진열45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7 ◆ 16. 투채도철문방정(鬪彩饕餮紋方鼎)_채색한 도출문양 네모 정. - 청(淸)_강희제_1661~1722. - 1973년 유림시 수덕현 출토. * 투채(鬪彩): 명청시기 도자기 채색 기법의 하나. 유약 속에는 청화(靑花), 유약 위에는 채색을 결합해서 만드는 도자기 장식공예. ◆ 19. 장유묘금공작모란문집호(醬油描金孔雀牡丹紋執壺)_간장색 유약을 바르고 금으로 공작과 모란 문양을 그린 손잡이 가 있는 병. - 명(明)_가정 연간(1522~1566) - 1959년 동천시(銅川市) 요주구(耀州區 사구(寺沟) 출토. ◆ 용천요하엽개관(龍泉窯荷葉蓋罐)_용천요에서 만든 연잎 모양 뚜껑이 있는 단지. - 원(元)_1271~1368. .. 2023. 11. 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9_기본진열4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9_기본진열44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6 ◆ 1. 금은사리탑 - 송(960~1279) - 위남시(渭南市) 백수현(白水縣) 묘각사(妙覺寺) 지관(地官) 석탑 출토. ◆ 2. 유금참화경동(瑬金鏨花經筒)_도금하고 꽃을 파서 새긴 경전 통. - 요(遼)_916~1125. - 2009년 징집. ◆ 3. 금관(金棺) - 북송(北宋)_960~1127. - 함양시 무공현 북쪽 보본사(報本寺)탑 지관 출토. ◆ 4. 권초문은관(卷草紋銀棺)_말린 풀 문양이 새겨진 은관(銀棺) - 요송 시기(916~1179) -2001년 4월 징집. ◆ 5. 은관(銀棺) - 북송_960~1127. - 함양시 무공현 보본사탑 지관 출토. ◆ 6. 유금쌍봉문녹정은함( 瑬金雙鳳紋盝頂銀函)_도금한 두 마.. 2023. 11. 19.
2023_10_항저우_서호2 2023_10_항저우_서호1 ◆ 연꽃의 연밥. ◆ 금대교(錦帶橋) ◆ 금대교에서 바라본 호수 건너 산에 있는 탑. - 날이 흐려 거의 보이지 않는다. - 둑방이 제법 넓다. 코끼라 차가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넓이. - 호수가 배가 참 많이 떠 있다. ◆ 일운기로(逸雲寄廬) - 제목처럼 아름다운 집이 서호 속 작은 섬에 있다. 현재는 들어갈 수 없다. 2004년 항주시 역사건물로 지정되었다. - 저녁이 되자 큰 배들이 불을 켜기 시작했다. # # - 이 배도 저녁이 되자 밧줄을 풀고 출항을 시작했다. ◆ 서호 부근 호텔의 담장 장식. ◆ 버스정류장에 항주아시안게임. 페럴림픽 표지판이 인상적이다. 2023. 11. 16.
2023_10_항저우_서호1 2023_10_항저우_서호1 ◆ 곡원풍하(曲院風荷) ◆ 죽소원(竹素園) ◆ 악왕묘(岳王廟) - 악비(岳飛)의 사당이다. 서울 동대문에 있는 동묘와 비슷한 사당. ◆ 송나라의 의사(義士) 무송(武宋)의 무덤이 있다. 무덤 앞 패루에 "위괴기흠(偉瓌奇嶔)" 무송의 인품을 써 놓았다. # 호수 반대편 섬에는 조지겸(趙之謙)의 무덤도 있다. - 서호 고산(孤山) 풍경구 안내도 - 서호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관광지이다. 악묘쪽에서 들어가서 방죽을 따라 걸어가면 약 1시간정도 걷는 코스가 인기다. ◆ 건괵(巾幗) 영웅 석상. - 택시 승강장 부근에 있다. - 서호에 작은 배들이 떠 있다. - 2층 유람선. - 서호에는 작은 섬들이 많다. ◆ 루외루(樓外樓) - 이런 현판이 많다. ◆ 절강도서관 구지. 절강성.. 2023. 11. 15.
2014_1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본관2 2014_1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본관2 # 도자기류 예쁜 작품들. ◆ 투박해보여서 저 멋지다... 사진이 흐려서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 학이 그려진 접시 # 다시 불교미술 ◆ 동상과 부조들. ◆ 12支상. 2023. 11. 14.
2014_1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본관1 2014_1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본관1 - 도쿄박물관은 그나마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이 많았다. # 도쿄박물관 전경 ◆ 박물관 구관의 화장실 2014_1 일본 도쿄1_도쿄국립박물관_본관1 https://www.google.co.kr/maps/place/Tokyo+National+Museum/@35.7188394,139.7743328,17z/data=!3m2!4b1!5s0x60188e8314d9d7fd:0xff95595e7ddc3c9b!4m5!3m4!1s0x60188e8314d77d11:0x232fd618bd4977dd!8m2!3d35.7188351!4d139.7765215 안내소에서 공원으로 들어가 사거리에서 우회전, 신호등을 건너면 오른쪽에 매표소가 있다. 매표소 앞에 매점도 있다. ◆ 본관... 2023. 11. 14.
경성대 조류관_박제 F4_수달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F4_수달류 F4에는 수달, 물범 등 2종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2023. 11. 14.
경성대 조류관_박제 F3_공장류_사유조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F3_공장류_사유조류 F3에는 공작, 꿩, 닭 3종 6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백공작, 청공작, 갈색공작, 꿩, 닭. 2023. 11. 13.
경성대 조류관_박제 F2_앵무새 경성대 조류관_박제 F2_앵무새 F2에는 앵무새 1종 8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2023. 11. 12.
경성대 조류관_박제 F1_부산포유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F1_부산포유류 F1에는 거북이, 너구리, 노루-고라니, 다람쥐, 담비, 삵, 오소리, 족제비, 쥐, 청설모, 토끼 등 11종의 포유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다람쥐-청설모. ◆쥐-거북이. ◆ 토끼. ◆ 오소리.  ◆ 족제비.  ◆ 너구리.  ◆ 담비.  ◆ 삵. 2023. 11. 11.
경성대 조류관_박제 E4_기러기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E4_기러기류 E4에는 고니, 기러기 등 2종 5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고니류: 고니, 큰고니. 2류.# 기러기류: 큰기러기, 흑기러기, 흰이마기러기. 3류.  ◆ 흑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고니.   ◆ 큰고니. # 2023. 11. 10.
경성대 조류관_박제 E3_고니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E3_고니류E3 에는 고니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2023. 11. 9.
경성대 조류관_박제 E2_백로 두루미 외 경성대 조류관_박제 E2_백로 두루미 외 E2에는  저어새, 왜가리, 두루미, 백로, 황새 등 5종 13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저어새류: 노랑부리저어새. 1류.# 왜가리류: 왜가리, 붉은왜가리. 2류.# 두루미류: 재두루미, 흑두루미. 2류.# 해오라기류: 백로, 노랑부리백로, 쇠백로, 중대백로, 중백로, 황로, 흑로. 7류.# 황새류: 황새. 1류.   ◆ 황로   ◆ 흑로.   #  붉은왜가리-노랑부리저어새.  ◆ 붉은왜가리.  ◆ 노랑부리저어새.  ◆ 왜가리.    ◆ 황새.      ◆  흑두루미.   ◆ 재두루미. 2023. 11. 8.
경성대 조류관_박제 E1_저어새(사진누락) 경성대 조류관_박제 E1_저어새 2023. 11. 7.
경성대 조류관_박제 D4_동박새 외 경성대 조류관_박제 D4_동박새 외 D4에는 까마귀, 물까치, 개개비, 쑥새, 검은머리촉새, 검은멧새, 긴꼬리딱새, 꼬까참새, 동고비, 동박새, 밀화부리, 솔새, 숲새, 알락꼬리쥐발귀, 찌르레기, 콩새, 큰유리새, 푸른얼굴가니새, 홍여새, 황여새, 휘파람새, 흰눈썹황금 등 22종 35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까마귀류: 까마귀, 갈까마귀, 큰까마귀, 큰부리까마귀, 떼까마귀. 5류.# 물까치류:  물까치. 1류. # 개개비류: 개개비, 개개비사촌, 섬개개비. 3류. # 쑥새류: 쑥새, 검은머리쑥새, 북방검은머리쑥새.  3류. # 검은머리촉새류:  검은머리촉새. 1류. # 검은멧새류: 검은멧새, 노랑텃멧새, 흰배멧새. 3류. # 긴꼬리딱새류:  긴꼬리딱새, 솔딱새, 제비딱새. .. 2023. 11. 6.
경성대 조류관_박제 D3_개똥지빠귀 외 # 경성대 조류관 박제D3_개똥지빠귀 외 - D3에는 곤줄박이, 굴뚝새, 딱새, 물까마귀, 물레새, 박새, 방울새, 오목눈이, 울새, 종다리, 지빠귀, 진홍가슴, 참새, 할미새, 힝둥새 등 15종 30류의 박제가 3단으로 전시되어 있다. 상세 항목은 아래와 같다. # 곤줄박이류:  곤줄박이. 1류.# 굴뚝새류: 굴뚝새. 1류.# 까마귀류: 물까마귀. 1류.# 딱새류: 딱새, 검은딱새, 유리딱새. 3류.# 물레새류: 물레새. 1류.# 박새류: 박새, 쇠박새. 2류.# 방울새류: 방울새, 검은머리방울새. 2류.# 오목눈이류: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스윈호오목눈이. 3류.# 울새류 : 울새, 흰눈썹울새. 2류.# 종다리류: 밭종다리, 멧종다리, 바위종다리. 3류.# 지빠귀류: 류: 개똥지빠귀, 노랑지빠귀.. 2023. 11. 5.
2023_항저우_서호_오리 2023_항저우_서호_오리 - 색이 알롤 달록. 한국에서 보지 못한 색깔의 오리. 2023. 11. 4.
경성대 조류관_박제 D2_딱따구리 외 경성대 조류관_박제 D2_딱따구리 외 -D2에는 에는딱다구리, 뻐꾸기, 때까치, 물총새, 직박구리, 파랑새, 제비, 후투티, 꾀꼬리, 쏙독새, 개미잡이 등 8종 21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딱다구리류:  쇠딱다구리, 청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3류.# 뻐꾸기류: 뻐꾸기, 벙어리뻐꾸기. 2류.# 때까치류: 칡때까지, 물때까치. 2류# 물총새류: 호반새, 청호반새, 물총새. 3종.# 직박구리류: 직박구리, 바다직박구리. 2류.# 파랑새류: 파랑새, 팔색조. 2류.# 제비류: 제비, 귀제비, 칼새. 3류.# 후투티류:  후투티. 1류.# 꾀꼬리류:  꾀꼬리. 1류.# 쏙독새류: 쏙독새. 1류.# 개미잡이류:  1류.   ◆ 쇠딱다구리  ◆ 청딱다구리    ◆ 오색딱다구리    .. 2023. 11. 3.
경성대 조류관_박제 D1_우는새_꿩 비둘기 외 경성대 조류관_박제 D1_우는새_꿩 비둘기 외 D1에는 비둘기, 꿩, 메추라기 3종 9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비둘기류: 녹비둘기, 멧비둘기, 염주비둘기, 전서구(傳書鳩), 홍비둘기, 흑비둘기. 6류.# 꿩류: 꿩, 들꿩. 2류.# 메추라기류: 메추라기. 1류.   ◆ 전서구(傳書鳩)_우체통에 있는 비둘기.- 비둘기를 길들여 편지를 보내는 인간이 참 대단, 그걸 교육받아 전달하는 비둘기도 대단하다.  ◆ 멧비둘기_산비둘기- 크기가 작다. ◆ 홍비둘기.    ◆ 녹비둘기.    ◆ 염주비둘기.- 유렵과 아시아에 서식.  ◆ 흑비둘기.   ◆ 꿩- "꿩꿩" 울어서 이름이 '꿩'이다.  ◆ 들꿩.   ◆ 메추라기_메추리- 메추리앙 먹은지가 참 오래되었다.   ◆ 2023. 11. 2.
원앙(鴛鴦) # 원앙(鴛鴦) # 원앙 암컷 # 원앙 동영상 2023.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