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10 2023_섬서 주원박물관8 2023_섬서 주원박물관8 2-2.5.0. 주원박물관_번화주원(繁華周原)_주원의 번영. # 서주 도기 제작 공예 - 도기 원료 / 도기 형태 / 조형 특징 / 주요문양에 대한 간략설명이 있다. ◆ 도언(陶甗) - 서주 시기 ◆ 左: 7. 도궤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16 출토 ◆ 右: 8. 도궤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17 출토 ◆ 4. 도궤(陶簋)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15 출토 # 도요지 분포. ◆ 5. 도정(陶鼎)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19 출토 ◆ 左: 도관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30 출토 ◆ 右: 도관 / 서주 시기 / 1979년 제가M36:31 출토 ◆ 도관(陶罐) - 서주 시기. ◆ 2. 도궤(陶簋) - 서.. 2023. 10. 11. 2023_섬서 주원박물관7 2023_섬서 주원박물관7 2-2.4.2. 주원박물관_池渠縱橫 # 2-2.4.3. 주원박물관_龍興之城 # 신비체천(身卑體賤) - 노예 유적. 2-2.4.4. 주원박물관_東亞都會 2023. 10. 10. 2023_섬서 주원박물관6 2023_섬서 주원박물관6 2-2.3.2. 주원박물관 # 2015년 수로 시스템 탐사 발굴[水網系統勘探 發掘] # 설명서와 그림이 매칭되지 않는다. ◆ 3. 左: 패폐(貝幣)_조개로 만든 화폐 / 서주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토. ◆ 4. 後右: 골추(骨錐)_뼈송곳 / 서주 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토. ◆ 5. 右中: 도환(陶丸) / 서주 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토. *계산하는 도구로 추정. 공기돌. 빨간색. ◆ 6. 右中: 방(蚌)_방합 조각 / 서주 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토. ◆ 7. 구리 조각 / 서주 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토. ◆ 8.석렴[돌낫] / 서주 시기 / 2011년 운장 연못 수로 유지 출.. 2023. 10. 9. 2023_섬서 주원박물관5_솔서수호(率西水滸) 2023_섬서 주원박물관5 2.3.1. 주원박물관_솔서수호(率西水滸) # 고급 귀족묘. 요가(姚家)M7,ㅡM.8. ◆ 2.수면문정(獸面紋鼎) - 서주 시기 - 1976년 운당묘(雲塘墓)20: 출토. ◆ 左: 1. 환대문호(環帶紋壺) - 서주 시기 - 1981년 강가묘1:1 출토. ◆ 右: 1. 환대문호(環帶紋壺) - 서주 시기 - 1981년 강가묘1:4 출토. ◆ 右. 2 ◆ 左: 1 # 종명정식(鐘鳴鼎食) - 귀족의 생활. # 주원유적지 귀족가족 분포도. *서로 다른 두 시기. ◆ 1. 조정준(祖丁尊) - 서주 시기 - 1976년 운당묘(雲塘墓)20:2 출토. ◆ 2. 이백궤(夷伯簋) - 서주 시기 - 1981년 강가묘(强家墓)1:6 출토. ◆ 3-1. 백궤부궤(伯几父簋) - 서주 시기 - 1981년 .. 2023. 10. 8. 2023_섬서 주원박물관4_솔서수호(率西水滸) 2023_섬서 주원박물관4 2.3.0. 주원박물관_지우기산(至于岐山)_기산에 도착하다. 2.3.1. 주원박물관_솔서수호(率西水滸) # 주나라 사람의 이동 경로. - 주나라 선조 세계도 * 1세~16세까지. 제1대 기(棄) *별호: 후직(后稷) 제2대 - 부줄(不窋) 제3대 - 국(鞠) 제4대 - 공유(公劉) 제5대 - 경절(慶節) 제6대 - 황복(皇僕) 제7대 - 차불(差弗) 제8대 - 훼유(毀隃) 제9대 - 공비(公非) 제10대 - 고어(高圉) 제11대 - 아어(亞圉) 제12대 - 공조(組紺諸盩) *별호: 태공 (太公) 제13대 - 단보(亶父) *별호: 고공 (古公) 제14대 - 계력(季歷) 제15대 - 창(昌) 제16대 - 발(發) # ◆ 7, 11, 10, 8, 6. ◆ 10, 8, 6. ◆ 10... 2023. 10. 7. 2023_섬서 주원박물관3_고고주원(考古周原)2 2023_섬서 주원박물관3 2.1. 주원박물관_考古周原2 # 굉위궁묘(宏偉宮廟) - 건물에 사용된 와당 종류. ◆ 7,8 ◆ # 굉위궁묘(宏偉宮廟) ◆ 4. 능형한백옥(菱形漢白玉)_마름 모양 한나라 백옥. - 서주 시기 - 1976년 운당 T15:1 출토. ◆ 3. 잔전(殘磚) - 서주 시기 ◆ 後: 1. 석경(石磬) - 서주 시기 - 소진(召陳) 유지 을구(乙區) T24 14 출토. ◆ 前: 금박(金箔) - 서주 시기 - 1982년 운당채집표본.2 # 소진3호 건축군 - 서중 중기~서주 말기. # 소진(召陳) 3호 건출 기초. # 봉추(鳳雛)3호 유지. # 운당(雲塘)_제진(齊鎭)건축 # 춘추전국~송(宋) 까지의 주원지역 건치 연혁. # 경직도어(耕織陶漁) - 평민의 일상. 평민 유적의 주유 묘장은 수.. 2023. 10. 6. 2023_섬서 주원박물관2_고고주원(考古周原)1 2023_섬서 주원박물관2 2.0.0. 주원박물관_ 고고주원(考古周原)1 # 머릿말[引子]_고고 주원(考古周原) 2.1.0. 주원박물관_ 민지초생(民之初生) # 선민(先民)의 번영[繁衍] # 유적 발굴의 역사. 2.2.0. 주원박물관_正域四方 ◆ 5. 관(罐) - 상대(商代) - 왕가취(王家嘴) 출토. ◆ 4. 그릇 파편 左: 궤(簋) / 상대(商代) / 왕가취 T0127⑦ A 출토. 력(鬲)1좌 / 상대(商代) / 왕가취 H28:3 출토. 력(鬲)2중 / 상대(商代) / 왕가취 H7②:38 출토. 력(鬲)3右 / 상대(商代) / 왕가취 H7②:2 출토. ◆ 18. 승문옹(繩文甕)_줄무늬 독. - 상대(商代) - 2001년 왕가취(王家嘴) H30: ? 출토. ◆ 6. 관(罐) - 용산문화 시기. - 20.. 2023. 10. 6. 2023_섬서 주원박물관1 2023_섬서 주원박물관1 1.0.0. 주원박물관_고문 주원(叩問周原) - 주원(周原)은 중국 관중 평원의 해발 900m정도의 지역으로 주나라 사람이 이곳으로 옮겨왔기 때문에 이름이 알려졌다. - 《시경》 〈대아(大雅) 면(綿)〉 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주 나라 들판이 비옥하고 아름다우니 / 周原膴膴 씀바귀나물이 엿과 같이 달도다 / 菫荼如飴 # 청대와 민국시기에 발굴된 유물의 이름. 1.3.0. 주원박물관_매몰 주원(埋沒周原) - 주원 유적의 매몰은 역사책에 상세한 기록이 없다. 이 일대에서 출토된 청동기와 고고발견은 상나라 말기와 주나라 초기부터 서주 말기의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게 때문에 이 지역의 매몰은 주나라 평왕이 낙읍으로 동천한 전후로 융인(戎人)이 침입하여 전쟁으로 훼손되어 폐허가 된.. 2023. 10. 4. 구기자 # 구기자(枸杞子)_첨채자(甛菜子) 응암역 부근 인도 정원 - 불광천에 구지자 잎이 파랗게 올라왔다. 불광천 옥황슈퍼 담 - 백년은 묵은듯한 구기자나무 한 그루. - 지금은 특별히 먹을 일이 것의 없는 열매이나 예전에는 가끔 따서 먹었다. 빨간 열매의 유혹을 견디지 못해서... 요즘도 식당에서 닭백숙 등에 넣어서 먹는다.백세주 선전에 나오는 이야기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장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한방에서 열매는 구기자, 잎은 구기엽, 뿌리는 지골피(地骨皮)로 사용된다. - 잘 익은 구기자가 길가에 떨어져 씨와 과육이 불리되었다. 마치 고추씨를 연상시킨다. S22 Q4 접사. - 날이 따듯해서인지 개천의 양지에는 구기자가 아직도 꽃을 피우고 열매가 익어간다. 2023. 10. 4. 재왜가리14 # 재왜가리14 년 5월 31일> 2023. 10. 4. 호박4_남과_긴호박 # 호박4_호박꽃_남과(南瓜) Q4 - 감자수제비 시기가 돌아왔음을 느낀다. 이 호박이 적당히 크기가 되면 감자 넣고 수제비 넣고 얌얌... 조금만 기둘려줘라 호박아.... # 갓 열린 아기 호박. 일명 애호박 - 이 아가 호박의 미래는 꿀벌이 저 위에 있는 숫꽃과 중매를 하냐 하지 않느냐에 달려 있다. - 하우스에서 자란 호박. 천원 3개. 2023. 10. 4. 벌개미취 # 벌개미취 - 이름이 참 재미 있다. 벌+개미+취. 다른 이름은 '고려쑥부쟁'이다. 곤드레 나물의 다른 이름이 '고려엉겅퀴'인 것과 같다. 2023. 10. 4. 사데풀 # 사데풀 모양만보면 민들레로 착각하기도 한다. 이칭도 사데나물, 삼비물, 석쿠리, 세투리, 시투리, 서덜채, 사쿠리나물, 거채(巨菜)로 다양하다. 진노랑의 꽃모양에서 알 수 있듯이 국화과 방가지똥속이다. 2023. 10. 4. 2023_07_경주8_교동 최부자집 2023_07 07 _경주8_교동 최부자집 # 경주 교촌 마을. 혹시 ~통닭을 연상할 수도..... 향교가 있어서 교촌(校村)이다. # 경주 교동법주 # 독립유공자 최준(崔浚) 선생 생가 안내판. # 경주 최부자댁 설명판. # 최부자집 내부 - 비가 내려서 이동은 불편했지만 덕분에 운치가 있었다. - 사람들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대부분 여기서 다시 돌아갔다. # 장독대가 집의 중앙에 있다. # 마루에 "경주최부잣집 딸들 친정나들이"가 소개되어 있다. # 마당의 정원수. # 최부자집 6훈(訓) 1. 과거를 보되 진사(進士) 이상 하지마라. 2. 재산을 만석(萬石) 이상 모으지마라. 3. 흉년에는 땅을 늘리지마라. 4. 과객을 후(厚)하게 대접하라. 5. 사방백리 안에 굶는 사람이 없게 대접하라. 6. 시.. 2023. 10. 3. 박주가리 # 박주가리 - 세사등(細絲藤), 고환(苦丸). 한글 이름이 참 재미있다. - 아무리 예초기로 화단의 잡초를 제거해도 뿌리를 뽑지 않은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화단에 아무리 좋은 꽃을 심어 두어도 가장 싼 펜지를 심기 위해 비싼 꽃들을 뽑아보리는 것이 실정.... Q9 - 나팔꽃이 칭칭 감고 있다. 2023. 10. 3. 노랑나비_분홍클로버 # 노랑나비_분홍클로버 Q4 2023. 10. 3. 무궁화1_분홍 # 무궁화(無窮花)_근화(槿花) - 애국가가 생각나는 꽃. 나무는 일반적으로 꽃이 없으면 이름을 알기 어렵다. - 씨가 들어 있던 몽오리가 벌어지면서 하얀 털이 달린 씨앗이 보인다. 땅으로 떨어지기 전 간당간당 매달려 있다. 바람이 살짝만 불어도 털어진 판이다. - 자기 자리가 아닌 곳에 심어 놓고 쓰러질까봐 가지를 잘랐다. 여름에 잎이 번 가지가 홍수에 쓸리면 또 쓰리질 것이다. 년 4월 16일> G9 - 꽃이 떨어진 곳 바로 아래에서 다시 새 싹이 올라온다. >- 서울에서도 6월이면 꽃이 피고 시작한다. 여름 방학을 알리는 꽃. S22 - 증산동 분토골 공원. 분홍색무궁화의 꽃망울이 맺혔다. 증서빌라 S22 년 7월 02일> 불광천 Q9 년 .. 2023. 10. 3. 무궁화2_하양 # 무궁화2_하양 드시어 무궁화의 계절이 돌아왔다. 꽃 속에는 5개의 아주까리 열매와 5개의 성개가 들어 있다. Q9 Q9 2023. 10. 3. 작두콩 # 작두콩 - 새 잎이 크게 자랐다. 젓살이 남은 아이의 볼처럼 반으로 벌어진 작두콩이 아직 촉촉하다. 영양분을 다 주고 나면 할 일이 끝난다. Q9 - 증산동 만보슈퍼 앞. 돌담. - 드디어 꽃이 지고 콩꼬투리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Q9 Q4 Q9 2023. 10. 3. 찔레_분홍 찔레_분홍 - 할아버지가 옥상 키우는 찔레꽃. 색이 너무 곱다. 파란 하늘과 딱... Q9 Q4 2023. 10. 3. # 맨드라미2_붉은색 # 맨드라미2_붉은색 - 마치 붉은 나무같다. 2023. 10. 3. 꽃범의꼬리1 # 꽃범의꼬리1 - 피소스테기아(Physostegia)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모양에서 알 수 있듯이 꿀풀과이다. - 꽃이 피기 시작한 꽃범의꼬리. 연분홍에 웃는 얼굴모양같은 검은색이 인상적이다. 마치 눈을 감고 있는 하회탈과도 비슷하다. Q4 - 꽃이 아래에서부터 하나씩 피어서 올라간다. 2023. 10. 3. 자주달개비 # 자주달개비 Q9 - 꽃몽오리가 나오면서 끝에서부터 서서히 자주색으로 변한다. - 막 피려고 준비하는 자주달개비. 내일 아침이면 꽃이 필 것이다. 년 5월 14일> - 꽃이 피기 전에 몽오리를 손으로 만지면 자주색 물감처럼 손에 묻는다. 년 5월 29일> 년 6월 13일> G9 Q9 Q4 - 온도만 맞으면 아무 때나 피는 꽃들이 부럽다. 2023. 10. 3. 사마귀 # 사마귀 - 사마귀 한마리가 나무딸기나무에서 미국쑥부쟁이 가지로 이동한다. 날개를 피고 않고 앞발과 뒷발을 이용해서 이동한다. 2023. 10. 3. 토사자_새삼 # 토사자_새삼 토한 실처럼 생겼다고 이름이 토사자(吐絲子). 대토사자(大菟絲子), 토사자(菟絲子). 색이 노란 황금실같아서 금사초(金絲草), 금선초(金線草)이다. - 노란 거미줄같다. 2023. 10. 3. 베고니아_흰색 # 베고니아_흰색 - 얼지만 않으면 1년 내내 꽃이 핀다. - 증산동 천국의 계단 2023. 10. 3. # 베고니아2_빨강_사철베고니아 # 베고니아2_빨강_사철베고니아 - 자극적인 빨간색이다. 녹색 잎과 극대비. - 아주 파릇파릇하다. 딱 봐도 어린이. - 무서우리말큼 진한 홍색이다. 벌이 꿀을 빨러 왔다가 잡혀먹을까봐 도망칠듯?? 한 색깔이다. 2023. 10. 3. 무_라복 # 무_무꽃_나복(蘿蔔) - 이름 참 쉽다. 무. 어릴 때는 '무우' 또는 '무수'라고 많이 불렀다. 증서빌라 - 김장철이 지나고 꽃이 폈다. - 무꽃 - 적색무 - 장다리에 앉은 나비 - 무우 꽃이 지고 열매 꼬투리가 맺혔다. 문영 텃밭 - 고구마 밭 사이에 작년에 떨어진 씨앗이 자라서 꽃을 피웠다. 2023. 10. 3. 생강 # 씨 생강 - 생강은 워낙 싹이 늦게 난다. 혹시 죽었나 싶어 흙을 헤치면 그제야 싹이 보일 정도다. 문영 텃밭. 2023. 10. 3. 호박1_조선호박_호박꽃_둥근호박 # 호박1_호박꽃_둥근호박 - 호박은 중국에서 왔다고 호박(胡박), 남쪽에서 왔다고 남과(南瓜), 일본에서 왔다고 왜과(倭瓜)라고도 부른다. 1578년에 간행된 에 중국 남부를 통해서 들어왔다고 되어 있다. 둥근 호박. 일명 동그리. - 증산동 담장에 길쭉한 연녹색 애호박이 하나 열렸다. 아직 꽃도 떨어지지 않은 애기호박. 핸폰 Q9 - 담장에 열린 호박과 호박꽃 - 호박꽃. 누가 못생긴 사람을 호박꽃이라고 했나. 이렇게 예쁜꽃을.... - 호박순 - 새우젓 넣고 하얗게 지져도 엄청 맛있는 애호박. 몇일만 참자.... - 점심을 먹고 마을 길을 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정겨운 풍경이다. 사람들은 어디서 저마다의 생각을 갖고 아름답게 살아간다. 누군가는 이 자투리 땅에 거름을 주고 씨앗을 뿌렸을 것이다. 세상.. 2023. 10. 3.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