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경성대 조류관_박제 C3_갈매기류2 경성대 조류관_박제 C3_갈매기류2 C3에는 갈매기 1종 5류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갈매기류: 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 괭이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 세가락갈매기. 5류.  ◆ 세가락갈매기   ◆ 갈매기 ◆ 괭이갈매기.      ◆ 검은머리갈매기    ◆ 붉은부리갈매기.      ◆ 괭이갈매기.  ◆ 고대갈매기 2023. 11. 1.
경성대 조류관_박제 C2_도요 물떼새 외 경성대 조류관_박제 C2_도요 물떼새 외 C2에는 도요,  물떼새,개꿩 등 3종 37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도요류: 깝짝도요, 꺅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마도요, 메추라기도요, 멧도요, 민물도요, 붉은가슴도요, 붉은발도요, 붉은어깨도요, 삑삑도요, 세가락도요, 송곳부리도요, 쇠청다리도요,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 알락꼬리마도요, 알락도요, 좀도요, 종달도요, 중부리도요, 지느러미발도요, 청다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청도요, 큰뒷부리도요, 학도요, 혹꼬리도요. 28류.# 물떼새류: 검은머리물떼새, 검은가슴물떼새,  꼬마물떼새, 댕기물떼새,  왕눈물떼새, 장다리물떼새, 제비물떼새,  흰물떼새. 8류.# 꿩류: 개꿩.  1류.  ◆ 학도요.  ◆ 혹꼬리도요.  ◆ 큰뒷부리.. 2023. 10. 31.
경성대 조류관_박제 C1_갈매기류1 경성대 조류관_박제 C1_갈매기류1 C1에는 갈매기 1종 11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갈매기류: 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 고대갈매기, 괭이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 세가락갈매기, 쇠제갈매기, 수리갈매기, 재갈매기, 제비갈매기, 큰재갈매기. 11류.     ◆ 제비갈매기 ◆ 쇠제갈매기     ◆ 큰재갈매기 ◆   ◆ 수리갈매기.   ◆ 재갈매기. ◆   ◆ 괭이갈매기.  ◆ 갈매기.  ◆ 세가락갈매기.  ◆ 고대갈매기.   ◆ 검은머리갈매기.  ◆    ◆ 붉은부리갈매기.   ◆ 고대갈매기.  ◆ 괭이갈매기 2023. 10. 30.
경성대 조류관_박제 B6_아비-가마우지 경성대 조류관_박제 B6_아비-가마우지 B6에는 아비, 가마우지, 오리 등 3종 8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비류: 아비, 큰회색머리아비, 회색머리아비.  3류.# 오리류: 알락쇠오리, 흰수염바다오리, 바다쇠오리. 3류.# 가마우지류: 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 2류.  ◆ 아비    ◆ 회색머리아비   ◆ 큰회색머리아비. ◆ 알락쇠오리. ◆ 흰수염바다오리. ◆ 바다쇠오리. ◆ 가마우지.  ◆ 민물가마우지. 2023. 10. 29.
경성대 조류관_박제 B5_뜸부기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B5_뜸부기류 B5에는 뜸부기, 논병아리, 제비, 슴새, 물닭 등 5종 11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뜸부기류: 뜸부기, 흰배뜸부기, 흰눈썹뜸부기. 3류.# 논병아리류: 논병아리, 귀뿔논병아리, 뿔논병아리. 3류.# 슴새류: 슴새, 쇠부리슴새. 2류.# 제비류: 바다제비. 1류.# 물닭류: 물닭, 쇠물닭. 2류.   ◆ 뜸부기.    ◆ 흰배뜸부기  ◆ 흰눈썹뜸부기.  ◆ 논병아리.  ◆ 바다제비. ◆ 쇠부리슴새-슴새  ◆ 슴새.  ◆ 쇠부리슴새.  ◆ 귀뿔논병아리.  ◆ 쇠물닭. ◆ 물닭.  ◆ 뿔논병아리.  # 뿔논병아리_ 번식기의 장식깃턹 변화과정. 2023. 10. 28.
경성대 조류관_박제 B4_해오라기류 경성대 조류관_박제 B4_해오라기류 B4에는 해오라기 1종 7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해오라기류: 해오라기,  검은댕기해오라기, 덤불해오라기, 붉은해오라기, 알락해오라기, 큰덤불해오라기, 흰날개해오라기. 7류.   ◆ 검은댕기해오라기   ◆ 흰날개해오라기 ◆ 해오라기           ◆ 알락해오라기  ◆ 붉은해오라기.  ◆ 큰덤불해오라기.  ◆ 덤불해오라기. 2023. 10. 27.
경성대 조류관_박제 B3_원앙 비오리 외(설명누락) 경성대 조류관_박제 B3_원앙 비오리 외 B3에는 종 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목록은 다음과 같다.   ◆ 원앙   ◆ 흰줄박이오리  ◆ 흰빰오리  ◆ 흰비오리   ◆ 비오리   ◆ 바다비오리 ◆ 청머리오리   ◆ 알락오리  ◆ 홍머리오리 2023. 10. 26.
경성대 조류관_박제 B2_오리류2 경성대 조류관_박제 B2_오리류2 B2에는 오리, 흰죽지, 원앙 등 3종 15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다.  상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오리류: 검둥오리, 검둥오리사촌, 고방오리, 바다비오리, 비오리, 알락오리, 청머리오리, 혹부리오리, 홍머리오리, 황오리, 흰비오리, 흰뺨오리, 흰줄박이오리. 13류.# 흰죽지류: 검은머리 흰죽지. 1류.# 원앙류: 원앙. 1류.  ◆ 황오리  ◆ 혹부리 오리  ◆ 검둥오리 ◆ 검둥오리사촌. ◆ 원앙 ◆ 흰줄박이 오리. ◆ 흰뺨 오리 ◆ 바다 비오리 ◆ 비오리. ◆  고방오리   ◆ 흰비오리 ◆ 청머리 오리 ◆ 알락 오리 ◆ 홍머리 오리 ◆ 검은머리 흰죽지. 2023. 10. 25.
아~가을이다 # 아~가을이다 감~~도 익어가고. 고추도 익어가고 닥풀꽃이 활짝 피고. 수크령 꽃대가 만발하다. 쑥부쟁이도 활짝 피고. 여뀌도 색이 화려한 색으로 바뀌어 간다. 해바라기도 열매가 여물어 간다. 2023. 10. 22.
고추 # 고추(苦椒)_청량고추 - 이름도 다양하다. 맵다고 고추. 남쪽에서 왔다고 남만초(南蠻草), 남초(南椒), 중국에서 왔다고 당초(唐草), 당신(唐辛), 진초(秦椒), 일본에서 왔다고 왜초(倭草)라고도 한다. 다산 물명고에는 반초(番椒), 해풍등(海瘋藤), 매운 가지라는 의미로 날가(辣茄)라고 부른다. 2023. 10. 22.
쑥부쟁이 # 쑥부쟁이 - 드디어 가을이다. 쑥부쟁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 꽃잎이 떨어진 쑥부쟁이 2023. 10. 22.
민들레 # 민들레         문영아파트 앞 텃밭       - 왕 민들레. 봄은 민들레 천국이다.             문영 텃밭    - 시메트 틈 사이에서 핀 민들레. 2023. 10. 22.
감나무2_접시감_반시 # 감나무2_접시감  - 붉은 감나무 새순이 돋는다.     년 4월 18일>           - 꽃이 붙어 있는 어린 감. - 감꽃이 예쁘고 귀엽게 피었다.    - 아침에 산책하면서 감꽃이 다 지고 애기감이 열린 것을 보고 못내 아쉬웠는데, 연못 뒷편 골목으로 오다보니 아직 꽃이 핀 감나무가 있었다.          S22 - 자연 낙과된 애기감.            - 벌레 먹고 노랗게 변한 감잎이 안스러우면서도 신기하다.   - 긴 장마가 있었지만 철을 어기지 못하나 보다. 어느덧 감이 노란 색을 드러냈다.     # 납작감_접시감_쟁반감- 얼마 뒤면 홍시           - 감이 슬슬 익어간다.      - 감나무 잎이 붉게 물들어 감과 감잎을 분간하기 어렵다. 2023. 10. 22.
개여뀌 # 개여뀌 - 크기는 작지만 그 덕분에 꽃이 모여 있어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2023. 10. 22.
나방_여뀌 # 나방_여뀌 2023. 10. 22.
해바라기1 # 해바라기1 - 어릴적에는 가끔씩 군것질로 까먹었었다.예전에 중국에 가면 서점, 시장, 기차, 버스 등 어디에서나 시간에 상관없이 앞니 사이에 넣고 씨를 까먹던 사람들의 기억이 생생하다. 요즈음 거의 보기 드문 광경이 됐다. 지금도 가끔씩 중국식품점에서 가서 빨간색 봉투에 든 짭짤한 해바라기씨를 사먹는다. "香瓜子"      불광천. 누가 심었다. 올해는 바람을 잘 이겨내야할 터인데.   불광천 수색역 부근 운동기구 뒷편. - 구청에서 해바라기 모종을 엄청 심었다. 올해는 제발 바람에 쓰러지지 않고 잘 자라기를 바란다.느낌은 꽃해바라기 같은데...  - 해바라기는 특히 함께 있어야 든든하다. 쓰러질 때 서로 버팀목이 되어주며. 태풍을 견딘다.  년 6월 13일> G9   년 6월 17일>     년 6.. 2023. 10. 22.
닥풀_황추규 # 닥풀_황추규(黃秋葵) - 한지를 만들 때 닥풀 제료로 쓴다고 닥풀. - 닥풀 꽃 몽오리 2023년 07월 18일> Q4 핸폰 Q9 - 2020년보다 약 한 달 늦게 꽃 몽오리가 보인다. Q4 Q4 Q4 - 닥풀 열매 - 11월에도 불구하고 불광천에는 닥풀이 꽃몽이리를 터트렸다. 2023. 10. 22.
달_상현 달 # 달_상현 달 - 상현 달은 처음 찍어 본다. 그냥 자동에 놓고 ISO 1.0. 생각보다 달 표면이 잘 나왔다. 2023. 10. 21.
해바라기를 애도하며 # 해바라기의 최후 - 점심을 먹고 집에 돌아올 때 증산역 건너편에 해바라기 하나가 10개의 꽃을 뽐내며 서 있었다. 내일 점심 카메라를 들고 가서 예쁘게 사진을 찍으려고 했다. 밤새 시베리아와 오츠크해에서 내려온 찬 바람이 밤새 윙윙 소리를 내며 창문을 두들겼다. 점심에 증산역에서 아무리 저 해바라기를 찾아도 보이지 않았다. 사진으로 위치를 확인해도 그 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마치 도깨에 홀린 느낌이랄까. 다리를 건너 인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았다. # 허리가 부러진 해바라기가 바위 위에 쓰러져 있었다. 9개의 꽃송이를 품은 채.... 너무 많은 꽃송이가 핀 것도 쓰러진 이유 중 하나... 개천이라 바람을 막아주는 바람막이도 없고.... 낙낙장송처럼 홀로 꿋꿋하게 서 있었는데. # 총체적인 부실.. .. 2023. 10. 20.
2023_섬서 주원박물관14_關中雙城 2023_섬서 주원박물관14_關中雙城 2-2.6.0. 주원박물관_關中雙城 # 옥기 # 결어(結語) 2023. 10. 17.
2023_섬서 주원박물관13_제차업(制車業) 2023_섬서 주원박물관13_제차업(制車業) 2-2.5.6. 주원박물관_제차업(制車業) 2023. 10. 16.
2023_섬서 주원박물관12_종(鐘) 2023_섬서 주원박물관12_종 ◆ 2. ◆ 11. ◆ 10. 2023. 10. 15.
인천_차이나타운4 인천_차이나타운4 # 인천시장 관사 입구. 석조건물은 대문이다. 지금은 문을 제거한 상태이다. 처음에는 무슨 신사 입구인줄... # 아랫쪽은 이곳은 현재 어린이집으로 사용. # 윗쪽은 인천시민愛집. # 인천시장 관사. - 딱봐도 일본사람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베이 단수이에 있는 건물과 거의 동일하다. 바다를 바라보는 구조에 유리창. # 시민애집을 나와 조금 올라가면, 인천구락부(俱樂部) 건물이 나온다. 구락부 외부에 오른쪽에 있는 각국조계석. # 돌에 "각국지계(各國地界)"라고 쓰여 있다. # 구락부 1층에는 간이 방송국이 있다. # 구락부 건물. # 구락부 입구. # 내부는 생각보다 화려했다. # 제물포 구락부의 역사. 일람표. - 개항기 복합문화공간. # 구)제물포구락부 안내판. # 자.. 2023. 10. 15.
인천_차이나타운3_한국근대문학관_인천관 인천_차이나타운3_한국근대문학관_인천관 - 입구에 있는 유리창에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이 쓰여 있다. 여전 물류창고를 개조해서 만들었다. 건물은 3층으로 되어 있는데, 전시관은 2층까지. # 한국근대문학과 내부 1층. # 한국 최초 여권_고종 때. 당시 이름은 집조(執照)이다. # 학창시절 배웠던, 소설 박태원(朴泰遠) 구보씨의 1일. # 문학관 안내. # 복도의 전시물_흔적. # 건물외부. # 야경 2023. 10. 15.
인천_차이나타운2_청일조계 인천_차이나타운2_청일조계 # 차이나타운. 신식 패루. # 야경 # 청일조계지 경계 계단. - 자유공원 올라가는 길 입구에 있다. 오른쪽은 중국조계 왼쪽은 일본조계. # 중국식 건물. 2층이다. 경계석 바로 오른쪽에 있다. # 일본식 건물. 왼쪽. 경계석 바로 왼쪽에 있다. 그 옆에 인천 광동교회 건물도 보인다. # 대한민국 인천시 화교협회 # 해내존지기(海內存知己): 세상에 자기를 알아주는 이가 있다면 천애약비린(天涯若比鄰): 땅끝 외진 곳도 이웃집과 같으리. * 다섯 집이 '比'이다. 비린: 이웃. * 왕발(王勃)의 〈촉주에 부임 가는 두소부를 전송하며[送杜少府之任蜀州]〉에서 인용한 것이다. 《全唐詩 卷56 王勃》 城闕輔三秦(성궐보삼진) 三秦에 둘러싸인 장안성에서 風煙望五津(풍연망오진) 바람과 안개 .. 2023. 10. 15.
인천_차이나타운1_짜장면박물관 외 # 인천_차이나타운 인문학 답사1_짜장면박물관 외 # 인천역_한국철도 탄생역. - 인천역 광장에서 바라본 중화가(中華街) 제1 패루(牌樓) *패루(牌樓): 문이 없고 지붕이 있는 문. *패방(牌坊): 문이 없고 지붕이 없는 문. 패루는 패방과 유사하며 중국 전통 건축 중의 하나이다. 주(周)나라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는데 처음에 정표절효의 기념물로 사용되었다. [한국의 홍살문과 유사.] 후에 원림, 사관, 궁원, 능묘와 거리에 모두 지어졌다. 베이징은 중국에서 패루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기둥문 모양의 구조물로 일반적으로 비교적 크다. 옛날 패루는 주로 나무, 돌, 목석, 벽돌, 유리 몇 가지가 있었는데, 주로 요도(要道) 입구에 설치되었다. 1876년 미국 필라델피아 박람회에서 중국관은 정성껏 조각하고.. 2023. 10. 15.
2023_섬서 주원박물관11 2023_섬서 주원박물관11 ◆ 장반(墻盤)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5 출토 ◆ 흥궤(興簋)1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47 출토 ◆ 흥궤(興簋)2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14 출토 ◆ 흥궤(興簋)3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14 출토 ◆ 8. 절가(折斝)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23 출토 ◆ 9. ◆ 12. 용문두(龍紋斗)_용문양 두기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100 출토. ◆ 10. ◆ 13(右)-14(左) 흥호(興壺) ◆ 13. 십삼년흥호(十三年興壺)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21 출토 ◆ 14. 삼년흥호(三年興壺) - 서주 시기 - 1976년 장백1호 교장:20? 출토 2023. 10. 14.
2023_섬서 주원박물관10_東亞都會1-2 2023_섬서 주원박물관10 # 주동업(鑄銅業)_이가(李家) 주동유적. 基本信息 时代:西周 发掘单位:北京大学考古文博学院、陕西省考古研究所、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 发掘领队:徐天进 简介 李家铸铜遗址最重要的发现是,出土了数以千计的西周陶范,目前已经辨认出的器类包括鼎、簋、鬲、斝、壶、器盖、銮铃、马镳、马衔、车键、车辖、铜泡、铜扣、钟和工具等,另有部分不见于已知铜器中的器物范。其中部分陶范上有精美的纹饰。 长期以来,仅在洛阳地区出土过少量西周早期的陶范,资料较为零碎,周原李家铸铜遗址出土陶范不仅数量大、器类多,而且在年代上跨越了整个西周时期,填补了这一研究领域的空白;周原是出土西周青铜器最多的地区,但以前在这里没有发掘过西周时期的铸铜作坊,遗址的发掘,既有助于研究周原遗址的聚落形态,也有益于对西周铸铜工艺的认识。根据对出土陶范的初步整理,已经大致了解了当时的一些铸造工艺。.. 2023. 10. 13.
안개초_숙근안개초?? # 안개초_숙근안개초?? 2023. 10. 13.
일본대봉 일본대봉 - 늘 과일가게에서 상자로 구매해서 나무에 있는 것은 처음 본다. 진짜 크다. 2023.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