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8 2023_0707 _경주국립박물관8 # 국은 기념실 국은(菊隱) 이양선 선생(1916~1999)이 기증품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전시품은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을 비롯하여 귀중한 문화재 666점이 있다. # 경주 죽동리 일괄 출토품. ◆ 요령식 동검. ◆ ◆ ◆ ◆ ◆ # 토기 ◆ ◆ ◆ ◆ 右: 다리가 4개 달린 토기. 매우 특이하다. ◆ ◆ ◆ ◆ ◆ ◆ ◆ ◆ ◆ ◆ ◆ ◆ # 금속공예 ◆ 청동 도끼 - 청동기시대 ◆ 청동칼. - 초기 철기시대 ◆ 삿갓 모양 동기. - 경주 안계리(安溪里) - 초기 철기시대. ◆ 청동 쿠겁장 - 경주 안계리 - 초기 철기시대 ◆ 청동 가지방울 - 초기 철기시대 ◆ 금동 맞새김 꾸미개 - 신라시대. ◆ 금동 장식 신발. - 신라시대 ◆ 청동거울 - 원삼국시기. ◆ 통모.. 2023. 10. 3.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7 2023_0707 _경주국립박물관7 ◆ # 장례를 간소하게 치르다. ◆ ◆ ◆ # 동방무덤을 꾸미다. ◆ ◆ ◆ # 화장장이 성행하다. ◆ ◆ 유골함. ◆ 녹유 유골함. ◆ ◆ ◆12지 토용. # 신라, 불교를 받아들이다. # 절을 세워 나라의 힘을 모으다. ◆ # 신라 천 년 역사를 마감하다. # ◆ ◆ ◆ 병 - 완도 청해진 - 통일신라시대 -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2023. 10. 2.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6_제3전시실B 2023_07 07 _경주국립박물관6__제3전시실B # 지방제도를 확립하다. ◆ 12지상. ◆ # 하늘에 제사를 지내다. 신라에는 종묘와 산천에 제사를 지내는 제도가 있었으며 이것은 국가의 중요한 행사 중 하나였다. 종묘에서는 1년에 6차례나 왕과 왕비의 제사를 지냈으며, 왕경 서라별 주변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도 지냈다. 또한 삼산오악을 비롯한 산천에도 크고 작은 제사를 지냈다. 제사는 왕권의 정당성을 드러내는 한편 호국 산신에게 국가의 무사 안녕과 풍요을 비는 행사였다. * 삼신오악 3삼: 1. 나해산_경주 영월산, 2.골화산_영천 금강산, 3.혈례산_포한 어례산 5악: 1.토함산_동악, 2.계룡산_서악, 3.지리산_남악, 4.태백산_북안, 5.부악산_대구 팔공산_중앙. ◆ ◆ ◆ "신심용왕(辛審.. 2023. 10. 1.
달이다 # 2023년 9월 30일 달이다. 보름 달이다. 아름다운 보름 달이다. 크고 아름다운 보름 달이다. 2023. 9. 30.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5_제3전시실A 2023_07 07 _경주국립박물관5 # 제3전시실_신라의 번영. - 신라는 강화된 왕권과 지증왕에서 진흥왕대의 영토 확장 및 중앙집권화 과정, 삼국통일을 통해 이후 본격적으로 꽃피우기 시작한다.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한 관련 기록인 이차돈 순교비와 함께 흥륜사 및 영묘사 등 사찰 출토품의 전시되어 있다. 포항 중성리 신라비, 임신서기석, 얼굴무늬 수막새, 화장(火葬) 풍속을 볼 수 있는 뼈항아리 등도 있다. ◆ 포항 중성리 신라비 - 501년으로 추정. # 포항 중성리 신라비 설명서 ◆ 여러 종의 비석. # 성을 쌓아 전쟁에 대비하다. # 금관가야를 병합하고, 식주주에 군사를 파견하여 우산국을 복숙시키다. ◆ ◆ ◆ 대가야를 정복하고, 금관가야를 병합하다. ◆ ◆ ◆ ◆ ◆ ◆ ◆ ◆ ◆ ◆ # 한강유역.. 2023. 9. 30.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4 2023_07 07 _경주국립박물관4 # 신라인, 금을 사용하기 시작하다. ◆ ◆ ◆ 고구려양식 유물 ◆ 황금장식 ◆ 금관. ◆ ◆ ◆ 금귀고리. ◆ ◆ ◆ 장식 보검. ◆ 유리로 만든잔. ◆ 금제 달개달린 굽다리접시. ◆ 검. ◆ ◆ 동기. ◆ ◆ 금제 그릇. ◆ 굽다리 금그릇 ◆ 금 신발 ◆ 팔뚝 가리개 ◆ 금장식 검. ◆ ◆ ◆ 2023. 9. 29.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3 2023_07 07 _경주국립박물관3 # 6촌이 힘을 합치다. # 지배자가 나타나다. ◆ 左: 간돌검_마제검 ◆ 右: 돌창_석창 ◆ ◆ 돌화살촉 ◆ 後: 돌낫 ◆ 前: 'ㄱ'자 모양 돌칼 # 농경사회로 들어서다 / 지배자가 나타나다. ◆ ◆ 後: 돌자귀 ◆ 左: 돌대팻날 / 끌 ◆ 右: 돌도 # 농경사회로 들어서다. # 청동기시대 ◆ 토기 ◆ ◆ 빗살무늬토기 ◆ 구멍 뚫린 토기 ◆ ◆ 붉은 간토기 - 경주 충효동 출토 - 청동기시 ◆ 빗살무늬 토기 - 김천 송죽리(松竹里) 출토 - 신석기시대 - 계명대학교 박물관. # 죽은 이를 위하여 무덤을 만들다. ◆ 석기(石器) - 울진 후포리 출토 # 신석기인은 무엇을 어떻게 먹었을까? ◆ 갈판과 갈개 # 돌을 갈아 도구를 만든다. 2023. 9. 28.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2_제1전시실 2023_0707_경주국립박물관2_제1전시실 # 신라의 건국과 성 구석기시대~5세기 말 신라가 고대국가 체제를 완성하기까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돌도끼를 사용하던 신라가 어떻게 국가를 세웠는지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건국 이후 왕국의 기틀을 다져간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주요 전시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배와 노가 출토된 울진 죽변리 유물, 경주 사라리 130호 무덤과 구어리 1호 무덤 유물, 경주 황성동 올빼미 모양 토기, 경주 교동 금관, 미추왕릉지구 토우장식 긴목항아리 등이다. # 도구를 만들다. ◆ 깬석기_타제석기 ◆ 손잡이 붙인 바리 - 울진 죽변리(竹邊里) - 신석기 시대 ◆ 한국식 동검 - 경주 입실리(入室里) - 기원전 4~1세기 ◆ # 구석기시대 # 신라 연표 ◆ 요령식 동검 .. 2023. 9. 27.
2023_07_경주국립박물관1_성덕대왕신종 외 2023_0707_경주국립박물관1_성덕대왕신종 외 # 국립경주박물관은 크게 상설전시, 특별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관은 1. 신라역사관, 2.신라미술관, 3.원지관, 4.신라천년보고, 6.옥외전시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관람객은 "신라역사관"을 구경한 후 천마총 출토 유물이 있는 건물을 잠시 들렀다 귀가한다. - 신라역사관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제2전시실, 제3전시실A, 제3전시실B, 국은기념실로 구성되어 있다. - 신라미술관은 불교조각1실, 불교조각2실, 불교조각3실, 불교사원실로 구성되어 있다. - 월지관은 2층으로 되어 있다. 1층에는 1. 용얼굴무늬기와, 2.원지모형, 3. 풍로로 구성되어 있다. - 신라천년보고는 로비전시실, 전시수장고, 소장품등록식, 열람식로 구성되어 있다. -.. 2023. 9. 26.
2023_07_경주6_불국사3 2023_07 07_경주6_불국사3 ◆ 나한전(羅漢殿) - 여기는 젊은 스님이 염불을 하고 있었다. - 종이를 보고 읽었다. ◆ 극락전(極樂殿) - 일명 복돼지 건물. ◆ 극락전 복돼지 # 극락전 설명판. ◆ 금색 복돼지. # 극락전 석등. ◆ 석기(石器) # 해우소(解憂所). ◆ 불교미술관 ◆ 범종(梵鍾) # 범종각(梵鍾閣) - 현판은 만당(晩堂)이 썼다. # 다시 돌아온 불국사 앞 마당. # 서쪽 불국사 종합안내판. # 서문으로 내려가는 길 너무 고즈넉하다. # 불국사 서문. # 불국사 복원 기념비. # 서문 현판 - 토함산 불국사 # 문화재 관람수칙 7가지. # 연못의 수양버드나무. 2023. 9. 25.
2023_07_경주5_불국사2 2023_0707 _경주5_불국사2 # 왼쪽으로 걸어 올라가면 만나는 건물 뒷편의 모습이다. ◆ 다보탑(多寶塔) ◆ 경주 불국사 다보탑 설명판 # 다보탑 국보 20호 표지석. ◆ 자하문(紫霞門)_내부 설명서. ◆ 경주 불국사 석가탑(釋迦塔)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설명판. # 국보 21호 불국사 삼층석탑 표지석. ◆ 대고(大鼓) ◆ 불국사 석등 # 불국사 대웅전(大雄殿) ◆ 무설전(無說殿) - 대웅전 뒷편에 있다. - 계단이 엄청 가파르다. ◆ 관음전(觀音殿) - 1604년에 중창했고 1973년에 불국사가 복월될 때 관음입상도 다시 만들었다. # 33관음성지 # 여기도 가파른 계단. 이쪽에 사람이 거의 없다. ◆ 비로전(毘盧殿) # 비로전 설명판. - 여기는 나이든 스님이 열불을 하고 계신다. # 경주.. 2023. 9. 24.
2023_07_경주4_불국사1 2023_07_경주4_불국사1 # 불국사 입구 고등학교 수학여행 이후 2번째이다. - 입장료는 무료이다. 관리원 아저씨의 농담. "주지스님이 선생님들 온다고 무료로 입장하라고 하셨습니다." 덕왈 "감사하다고 전해주세요." # 불국사 안내도. # 세계유산 불국사 # 불국사 현판. # 매표소 - 문을 들어가서 오른쪽에 있다. #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 ◆관음송(觀音松) - 정문 왼쪽에 있다. # 생명의 신비. # 천왕문(天王門) ◆ 원추리. 꽃이 한창이다. ◆ 사천왕상. # 불국사 박물관. 입구. # 불국사 입구. ◆ 자하문(紫霞門) - 원래 입구. 지금은 폐쇠되었다. ◆ 불국사 연화교(蓮花橋) 및 칠보교(七寶橋) ◆ 범영루(泛影樓) # 범영루 설명서 # 경주불국사 가구식 석축 설명서. # 가구식 .. 2023. 9. 23.
2023_07_경주7_첨성대 2023_07_경주7_첨성대 # 이름 모를 무덤들. ◆ 첨성대 4면의 모습이 매우 다르다. 보기와는 다르게 동쪽은 바닥이 가라앉은 곳도 있다. # 첨성대 서쪽 # 첨성대 남쪽 # 첨성대 동쪽 # 첨성대 북쪽 2023. 9. 22.
2023_07_경주3_동궐_안압지 2023_07 07 _경주3_동궐_안압지. - 어릴 때는 '안압지'라고 불렀다. 말 그대로 기러기와 오리가 노니는 연못[雁鴨池] 지금 2개의 큰 건물이 있다. # 동궁과 월지의 건물 설명서 ◆ 석조 유구(石造遺構) ◆ 연못에 마름 잎사귀가 떠 있다. # 동궐 모형도. # 5홍 복원 건물 # 연못 건너에서 바라본 건물. ◆ 연못을 노니는 오리. # 궁터에 남아 있는 돌을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 ◆ 맥문동. 꽃이 피었다. ◆ 왜가리 ◆ 배롱나무 안압지. 2023. 9. 22.
2023_07_경주2_대릉원_천마총 2023_07 07 _경주2_대릉원_천마총 # 무덤 복원도. # 금신 # 천마총의 시대_마립간의 시대 ◆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 복제품. - 원본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백화수피로 만든 천마도 말다래 ◆ 대나무로 만든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 ◆ 금동 투조 말안장 앞뒤 가리게 *복제품 ◆ 금동장식 재갈 / 금동 투조장식 재갈 / 금동 발걸 ◆ 금동 솟물 장식 ◆ 말띠 드리개 ◆ 목관 ◆ 무덤 주인의 금장식 ◆ 금제 접형(蝶形) 관식 - 고대 지배층의 위세품. 금제관식. - 왕벽한 좌우대칭 나비 모양 도안. -◆ 자작나무로 만든 모자 위에 올린 금제 관모 - 섬세한 용, 뚫음문양 최고 금속공예술. ◆ 금제 조익형(鳥翼形) 관식 - 고대 지배층이 쓴 모자의 위세품. 금제관식 - 섬세한 달개장식.. 2023. 9. 22.
2023_07_경주1_대릉원 미추왕릉 2023_0707_경주1_대릉원 미추왕릉 - 비가 많이 내리고 있어. 미추왕릉 문 주변에서 설명을 들었다. # 경주 미추왕릉 설명서 # 무덤 앞 제단. # 묘비 - 생각보다 초라하다. 어차피 없던 것을 세워서 그럴 것으로 보인다. # 묘비에 "신라 미추왕묘"라고 새겨져 있다. "新羅"는 전서. "味鄒王墓"는 해서로 되어 있다. # 혼유석 2023. 9. 22.
나비_검은제비나비 # 나비_검은제비나비 - 가고시마 성을 오르며... 금련산 약수터 부근 2023. 9. 19.
수영구_백반집 서울집 # 수영구_서울집 - 지인의 오랜 단골집이다. 꼭 한번 가보라고.- 수영구청 가기 전 왼쪽 골목에 있다. 대구양념구이가 많이 드신다. # 정식과 육개장이 점심 식사로 제격이다. 가격도 양호..백반: 8천, 육개장 1만. # 점심메뉴소갈비찜: 16. (2인 이상)대구구이: 15. (2인 이상)전통육개장10.정식: 8. # 저녁메뉴- 시래기 소갈비찜: 中 50. 大 60.- 대구구이: 中 35. 大 45.- 소고기 버섯전골: 中 25. 大 35.- 묵은지 닭볶음탕: 中 28. 大 35.- 묵은지 김치전골: 中 28. 大 35.- 불 오징어볶음: 20.- 땡초부추전: 5.  # 숭늉. 문 앞 밥통에 있다. 셀프. # 기본반찬 7가지. 그날그날 다르다.호박볶음 / 배추겉절이 / 고춧잎나물콩나물무침 / 가자미튀김.. 2023. 9. 19.
추명국(秋明菊) # 추명국(秋明菊)_ 대상화(待霜花) 2023. 9. 19.
2023_섬서 보계시 위수_석고문화랑교(石鼓文化廊橋) 보계시 위수_석고문화랑교(石鼓文化廊橋) - 다리를건너는 길에 보계대극장이 있다. 아침 6시. 해가 뜨고 있다. # 위수 건너 석고탑이 보인다. ◆ 작종(柞鐘) ◆ 짐이(𪝝匜) *𪝝은 인명. # 다리에 청동기가 새겨져 있다. 대략 계산해도 40개 이상은 될듯하다. # 위수(渭水) 강 건너 도로. # 다리끝에 있는 표지. # 다리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곳에 있다. 석고문화랑교 2023. 9. 18.
꽃무릇 # 꽃무릇 -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는 것은 상사화랑 비슷하나 꽃이 다르다. -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해 그리워한다. 삼상지차(參商之差) # 상사화 사진 2023. 9. 18.
2023_섬서 무릉박물관4_전시관2 우측 2023_섬서 무릉박물관4_전시관2 우측 # 한 무릉_역사문화 정화전. # 대천교한무제(代天驕漢武帝) -BC.141년 정월에 한 경제(景帝)가 미앙궁에서 붕어하였다. 이 때 겨우 16세인 유철(劉徹)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한 무제이다. 이 때부터 서한이 중국 역사에 진입하는 하나의 새로운 단계가 되었다. 한 무제는 통치기간동안 을 통해 서한의 중앙집권제도를 만들었으며 아울러 외환을 막고 영토를 개척하여 이전에 없던 번영의 대통일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리하여 한족을 주체로한 통일된 다민족 국가로 공고히 하여 중국을 하나의 고도화된 문명과 풍요로운 국가라는 것을 세계에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 석연(石硯)_돌벼루 - 서한 시기 - 1975년 3월 1일 섬서성 흥평시 남위진(南位鎭) 무릉학교 학생 범점.. 2023. 9. 16.
선인장1_김노칼리키움 옵둑툼(gymnocalycium ochoterenae)_보라 # 선인장1_김노칼리키움 옵둑툼(gymnocalycium ochoterenae)_보라 여전에는 5월에 꽃이 피었는데, 올해는 늦은 감이 있다. - 올해는 꽃을 피워주기를 바라며 옥상에 올려 놓았다. 이 모습만 보면 생사를 알 길이 없었다. - 3개월이 지나자 몸에서 윤기가 나고 새로운 가시가 돋으며, 꽃몽오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핸폰 Q9 - 올해는 아직 꽃몽오리 소식이 없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다른 선인장들은 두 번 핀 것도 있고, 썪은 부분에서 먼저 꽃이 피고 위에서도 꽃이 피고 있는 것에 반대서.... Q9 핸폰 # 아침 7시. - 작년에는 세 송이가 피었는데, 올해는 다섯 송이가 준비 중이다. 작년 보다 약 두 달이 늦게 몽오리가 올라왔다. # 아침 9시 - 보라색 꽃잎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다.. 2023. 9. 14.
2023_섬서 무릉박물관3_전시관1 좌측 2023_섬서 무릉박물관3_전시관1 좌측 - 생각보다 관람객이 많았다. 거의 떠밀리면서 구경했다. # 한 무릉 출토문물 진열 설명서 ◆ 도인(陶人) ◆ 와당(瓦當) ◆ 만세무극 공심전(萬世無極空心磚)_"만세무극(萬世無極)"이 새겨진 속이 핀 벽돌 - 서한 ◆ 방격문(方格紋) 방전(方磚)_네모 격자 문양이 새겨진 벽돌. - 서한(西漢) ◆ 기하문 방전(幾何紋方磚) - 서한 ◆ 와당 ◆ 상림와당(上林瓦當) - 서한 ◆ 장락미앙운문와당(長樂未央雲紋瓦當)_'長樂'과 '未央' '구름 문양'이 있는 기와. ◆ 진흙으로 만들 동물 세트. ◆ 좌: 고양이 / 흥평시 서오향(西吳鄕) ◆ 우: 곰[狗雄] / 흥평시 서오향 북오촌(北吳村) 출토 ◆ 수두은반(獸頭銀盤)_짐승 머리가 장식된 은 쟁반 - 1980년 섬서성 흥평시.. 2023. 9. 14.
2023_섬서 무릉박물관2_한효제무릉 2023_섬서 무릉박물관2_한효제무릉 # 한무제릉에서 바라본 신도. # 신도 입구 # 한무효제무릉 입구 # 청나라 때 세운 비석 - 한효무제 무릉. # 무릉_한무제 류철(劉徹)지묘 - 1963년 3월에 세웠다. # 무릉 - 1961년 3월 4일에 중화인민공화국국무원에서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공포하였고, 2018년 섬서성 인민정부에서 이 돌을 세웠다. # 섬서성 문물국에서 설명서를 새겼다. # 신도에서 바라본 무릉 - 참 멀리 있다. 2023. 9. 14.
2023_섬서 무릉박물관1 2023_섬서 무릉박물관1 # 흥평시(興平市) 전역 전경 - 녹색으로 표시된 곳. 맨 오른쪽의 무릉박물관이 있고, 맨 왼쪽에 양귀비묘박물관이 있다. # 무릉박물관 정문. # 저 산처럼 보이는 곳에 정자가 있는 곳이 곽거병 무덤이다. # 한무제 무릉경구. ◆ 마답흉노(馬踏匈奴) 석상 - 얼마나 흉노를 싫어했고 두려워했는지를 보여주는 석상이다. # 곽거병 묘비 한표기장군 대사마 관군후 곽공거병묘(漢驃騎將軍大司馬冠軍侯霍公去墓) 곽거병은 대장군 위청의 생질로 위청과 함께 나란히 이름을 드날렸다. 그의 어머니 위소아(衛少兒)는 한 무제의 황후 위자부(衛子夫, 위황후)와 자매간이었다. 과거병의 아버지 곽중유(霍仲孺)가 위소아(衛少兒: 위황후의 언니 즉, 大將軍 衛靑의 손윗누이)와 밀통(密通)하여 낳은 아들이다. #.. 2023. 9. 14.
부추 # 부추 - 정구지, 졸, 솔. 이름도 다양하다. - 동네 간이 화단의 부추. 뿌리쪽은 연한 자주색이다. - 3월 초에 작년 겨울에 말라 죽은 줄기를 걷어 내자 파릇파릇한 싹이 돋아나고 있었다. - 화분의 부추. 구채자(韭采子), 월담초 - 작은 화분에서 자란 부추치고는 너무 화려하다. 부추의 일생을 사진에 담아 본다. -18일 오후에 생파를 위해 베었는데 4일 만에 이렇게 자랐다. - 부추를 베고 7일 후. 거의 우후부추. 1주일 뒤면 다시 한번 자를 수 있을듯. - 부추꽃이 피려고 싹대가 올라오기 시작한다. - 6월부터 7월까지 3번째 잘라 먹었다. 주말에 비가 온다면 부추전을... - 점심을 먹으려고 비어 낸 부추 화분. 10일 이후면 다시 먹을 수 있다. - 10일만에 다시 화분이 녹색으로 변했다.. 2023. 9. 14.
선인장_장군선인장 # 선인장_장군선인장 3개월동안 옥상에 두었더니 무성해졌다. 2023. 9. 14.
화초고추 # 화초 고추 - 한 모종에서 다양한 색깔의 고추가 열린다. - 증서빌라 3층 할머니에게 얻어 온 화초고추 10개를 받아와서 옥상화 응암동 화단에 심었다. 모종을 가져 온 것이 어제같은데 벌써 꽃이 지고 열매가 이렇게 크가 자랐다. - 화초고추의 꽃. 보라색이다. 2023년 07월 18일> 2023. 9. 14.
들깨 # 들깨 핸폰 Q9 - 벌써부터 깻잎 장아찌 담글 생각이 난다. 옥상 Q9 - 들깨 꽃 2023.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