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10

측천무후_공연06 측천무후_공연06 2023. 9. 6.
측천무후_공연05 측천무후_공연05 2023. 9. 6.
측천무후_공연04 측천무후_공연04 2023. 9. 6.
측천무후_공연03 측천무후_공연03 2023. 9. 6.
측천무후_공연02 측천무후_공연02 2023. 9. 6.
측천무후_공연01 # 서안_측천무후_공연동영상 소리만 감상하시면 됩니다. 2023. 9. 6.
섬서성 서안의 어느_맛있는 것들 멋있는 것들 # 한 밤 잔 호텔 조식 - 가짓수가 참 많았다. - 후식 과일 - 사과대추, 바나나, 하미과, 오렌지, 용과, 수박. - 김밥류_롤. - 포도쥬스, 망고쥬스. -셀러드 바 - 시리얼 바 - 춘권과 요우티아오 - 계란류 4종 후라이 2종 완숙_반숙?? 삶은 계란 2종._일반_녹차. - 죽류 4종. - 요리 4종. - 요리 4종._볶음밥. - 찐 옥수수 - 이 동네 옥수수는 색이 노랗다. - 만두류. - 면류?? - 두유 넣은 순두부 파오모(泡饃) - 국물이 특이하게 콩물. 모를 자르지 않고 뜨게에 넣고 국에 담가서 토렴 후 그릇에 담아 준다. - 러우자모(肉夾饃) - 회족거리에서 먹던 푹 익은 소고기와 부드러운 빵과 다르다. 빵은 빠삭하고, 속에 소는 여러 가지를 혼합했다. 짜장면은 중국집에서... - .. 2023. 9. 5.
섬서성 서안_종루 앞에서 저녁 - 단골 메뉴 탕수육 - 마파두무 - 미꾸라지 모양 생선 - 물고기 - 돼지갈비 - 통닭 - 약식? 새콤한 맛. 2023. 9. 5.
섬서성 서안_금강산도 식후경 첫날 점심 2023. 9. 5.
섬서성 서안_맛있는 것들 멋있는 것들 # 세 밤 잔 호텔 조식 2023. 9. 5.
섬서성 서안_아름다운 것들 소중한 것들 2023. 9. 5.
은행과 분꽃 - 지난주 목요일에 서울역에 감이 익어서 놀랐는데, 어제 저녁에 보니 인도에 노랗게 익은 은행이 떨어져 있었다. 아, 이제 가을이다. 화단 옆에는 분꽃도 예쁘게 피어 있다. 아침에 하늘을 보니 달이 아직도 선명하게 보인다. 2023. 9. 5.
동네한바퀴_부산 남천동 경주식당 # 동네한바퀴 - 핸드폰 구매를 마치고 저녁을 먹기 위해 점장에게 물어보니, 3월에 처음 해장국을 먹은 집을 소개해줬다. 근처에서 식당을 찾다 우연하게 들어간 식당. 상호는 "경주식당"이다.주방에 아주머니 1명, 홀에 아저씨 1명. 영업한 지는 4~5년 되었단다.정보에 따르면 이전 사장님이 엄청 유명했다고... "우정식당" # _경주식당 된장찌개: 8,000원           고추장두루치기: 11,000원김치찌개: 8,000원           간장불백: 11,000원순두부찌개: 8,000원        낙지볶음(2인): 26,000원                                         불낙볶음(2인): 26,000원                                     .. 2023. 9. 5.
대왕참나무?? # 대왕참나무 G9 G9 - 대왕참나무 도토리. 2023. 9. 5.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5_반파유지_출토문물전2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5_반파유지_출토문물전2 # 반파유지 출토 생산 공구 일람표 ◆ 도좌(陶銼)_질그릇 밀개 # 도좌(陶銼) 사용 그림. # 가락바퀴 사용 그림. ◆ 도방륜(陶紡輪)_질 가락바퀴 ◆ 도도(陶刀)_질 칼의 사용 그림. ◆ 左: 도도(陶刀)_질 칼 ◆ 左: 도도(陶刮削器)_도 깍개. # 질로 만든 공구류 ◆ 각추(角錐)_뿔로 만든 송곳. ◆ 골산(骨鏟)_뼈로 만든 자귀. # 골침(骨針) 출현과 용도. ◆ 골침(骨針) 뼈바늘. ◆ 골추(骨錐)_뼈송곳 ◆ 左: 골어차(骨魚叉)_뼈로 만든 작살. ◆ 右: 골어구(骨魚鉤)_뼈로 만든 물고기 낚시 바늘. # 골각류(骨角類) 공구 ◆ 左: 천공석부(穿孔石斧)_구멍 뚫린 돌도끼 ◆ 석방륜(石紡輪)_돌 가락바퀴 ◆ 천공석부(穿孔石斧)_구멍 뚫린 돌.. 2023. 9. 3.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4_반파유지_출토문물전1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4_반파유지_출토문물전1 # 문명의 불씨. # 청청하반(靑靑河畔) # 광중 지구 앙소문화 유적 분포도. ◆ 도분(陶盆) ◆ 도분(陶盆) ◆ 左: 기개(器蓋_그릇 뚜껑. ◆ 中: 도증(陶甑)_질 시루 ◆ 右: 협사도관(夾砂陶罐)_모래 섞인 자갈로 빚은 질 단지. ◆ 도증(陶甑) ◆ 도발(陶鉢)_질 발우. ◆ 흑도발(黑陶鉢)_검은 흙으로 빚은 발우. ◆ 도징여기(陶澄濾器)_질 여과기.# ◆ 협사도관(夾砂陶罐)_모레가 섞일 자갈로 만든 질 단지. ◆ 도옹(陶甕)_질 독. ◆ 관(罐)_단지. ◆ 협사도관(夾砂陶罐)_모래 섞인 자갈로 빚은 질 단지. ◆ 마반(磨盤) / 바봉(磨棒)_갈개. ◆ 석저石杵)_돌 공이. # 음식(飮食) # 도증(陶甑)의 작용과 의의. # 첨저병(尖底甁:밑이 .. 2023. 9. 3.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3_반파유지3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3_반파유지3 # # # # # # # # # # # # # # # # # 2023. 9. 3.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2_반파유지2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2_반파유지2 # 2023. 9. 3.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1_반파유지 2023_08_서안 반파박물관1_반파유지1 # # # # 2023. 9. 3.
2023_08_섬서 서안 화청지2 2023_08_섬서 서안 화청지2 # 온천송(溫泉頌) # 화청궁_진보관 - 서문 2023. 9. 3.
2023_08_섬서 화청지1 2023_08_섬서 화청지1 # 망경문(望京門) # 부용원(芙蓉園) #조심조심 # 침향전(沈香殿) # 만수전(萬壽殿) # 대추감 - 대추와 감을 접붙였다고?? 가능한가?? 설. # 용호경천(龍湖鏡天) # 해당탕(海棠湯) # 장기(墻基) # 연화탕(蓮華湯) # 당 태종과 온천명(溫泉銘) # 상식탕(尙食湯) # 후손을 위한 온천 서비스 - 더운데 따뜻한 물이 반갑다. # 당나라 복장을 한 가이드 - 나름 직업정식이 투철?? # 화청궁 지하 박물관 - 우리팀은 이곳을 가지 않았다. 시간이 남는 3명만 이곳을 간단하게 구경했다. 2023. 9. 3.
2023_08_진시황병마용_화폐관 2023_08_진시황병마용_화폐관 - 생각보다 작고, 바로 옆이 상점이라, 마치 상점을 들어가는 곳에 있다. 약간 낚시 느낌. 2023. 9. 3.
2023_08_진시황병마용_3갱 2023_08_진시황병마용_3갱 # 반대편 입구. 2023. 9. 3.
2023_08_진시황병마용_2갱 2023_08_진시황병마용_2갱 - 가는 곳마다 사람? 방학이 끝나지 않았고, 입장료가 무료가 인산인해. 2호갱은 발굴 중이지만 이 곳에 4개의 전시물이 있어 가장 복잡하다. - 그 많은 사람들과 부딪치며 이런 사진을 건졌다. 누가 보면 옆에 사람이 하나도 없는 줄 알 수도 있다. 아 다행이 옆에 사람이 보인다. - 야, 다 덤벼~~ # 아, 사라진 병마용의 화려한 색상. 너무 아쉽다. 이것을 처음 본 사람을 그냥 기절했을 듯. 2023. 9. 3.
2023_08_진시황병마용_1갱 2023_08_진시황병마용_1갱 - 실외도 덥고 실내도 덥고, 많이 더웠다. 그래도 이전과는 또다른 느낌. 사람이 많은 것이 꼭 싫은 것만은 아니다. 아무도 없어 혼자 걸을 때와는 또다른 느낌이다. 그 것이 한여름이라는 것만 빼면. 2023. 9. 3.
2023_08_섬서 서안박물관 2023_08_섬서 서안박물관 # 서안 박물관 외부 - 서안박물원 ◆ 소안탑(小雁塔) # 1층_ 장안 불조상 ◆ 도방옥(陶房屋) - 명대 ◆ 사면조상비(四面彫像碑) - 1971년 출 # 장안 불교조상 - 16국 북고시대 조 ◆ 일불이제자조상비(一佛二弟子彫像碑) ◆ 불상(佛像) # 2층 옥기 # 2층 서예관 ◆ 사과재(思過齋) ◆ 송연규(宋聯奎) 홍매 - 민국 ◆ 왕독(王篤) 행서 - 청대 2023. 9. 2.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5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5_탁본전시실 # 한나라 동경 특별전. 3층 전시관을 나오면 오른쪽 계단을 통해 4층 전시관으로 갈 수 있다. 입장표는 왼쪽에서 판매한다. 가격은 40원. 단체 여행이 대부분 그렇지만 우리는 시간이 없어 관람하지 못했다. 2023. 9. 1.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4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4 # 서물동점(西物東漸) *서세동점을 들어 봤지만, '서물동점'은 금시초문이다. ◆ 채회묘금백석탑(彩繪描金白石榻) *일부 - 채색하고 금으로 그림 흰돌 걸상. # 낙타에 조각되 사람 얼굴이 특이하다. # 서시 재현 장면 ◆ 석해(石解) 墓志 ◆ 조혜만(趙惠滿) 묘지. ◆ 이희이(李希敡) 묘지 # 남자 화장실. # 1층 유적 복원지 앞. 2023. 9. 1.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3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3 # 호풍 호속(胡風胡俗) ◆ 左1 채회호인용(彩繪胡人俑)_ 채색한 호인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左2 복역용(仆役俑)_일꾼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右1 대건모용(戴巾帽俑)_수건을 쓴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右2 내시용(內侍俑)_내시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호복호식(胡服胡飾) ◆ 김일성(金日晟) 묘지. ◆ 하발량(賀拔亮) 묘지 - 당나라 정관 23년(649)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하발정비(賀拔定妃) 묘지 - 수나라 개황 8년(588)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낙타. # 석조상 ◆ 청석 아미타불 상좌(靑石阿彌陀佛像座)_푸른 돌로 만든 아미타불상 받침대. ◆ 청석보살두(靑石菩薩頭)_푸른 돌로 만든 보살 .. 2023. 9. 1.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2 2023_08_섬서서시박물관2 ◆ 삼채마(三彩馬) - 당대 - 차전_빌려서 전시함. # 도자 삼채(陶瓷三彩) # 흑유(黑釉) 투호(投壺) ◆ 녹유사곡장배(綠釉四曲長杯)_녹색 유약을 바른 4개의 굽이가 있는 높이가 긴 잔.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中 쌍이 도호(雙耳陶壺)_2개의 손잡이가 있는 질그릇 호. - 당대 ◆ 손잡이가 있는 다양한 병. ◆ 삼채여기마용(三彩女騎馬俑)_여자가 말을 타는 삼채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_채색한 사천왕 토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삼채무사용(三彩武士俑)_삼채 무사 토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12지 토용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채회진묘수(彩獸鎭墓獸) - 당대 - 섬서서시박물관 소장 ◆ 착금..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