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7_1층_2.文化譜系篇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7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7 상대(商代)_상대(商代)_BC.1600~BC.1046 # 상대유존(商代遺存)_상대는 크게 주개구문화(朱開泃文化), 이가애문화(李家崖文化), 선주문화(先周文化), 유가문화(劉家文化), 상문화(商文化),보산(寶山文化) 6개의 문화로 구분된다. 상문화(商文化)의 유적으로는 서안시 노우파(老牛坡) 유지, 부풍시 예천현(禮泉縣) 주마취(朱馬嘴) 유지, 주개구문화(朱開泃文化)에 해당하는 안새현(安塞縣) 서과거(西坬渠) 유지, 가현(佳縣) 석라라산(石摞摞山) 유지, 선주문화(先周文化)에 해당하는 보계시 기산현(岐山縣) 쌍암(雙庵) 유지, 보산문화(寶山文化)에 해당하는 한중시(漢中市) 성고(城固) 보산(寶山) 유지 등이 있다. 노우파(老牛坡) 유지에서는..
2023. 8. 28.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0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0 섬서고고박물관은 공식적으로 2021년 12월에 세워졌다. 이 박물관은 섬서성 고고연구원의 고고출토문물을 전시한 박물관이다. 박물관은 남쪽에 진령(秦嶺)이 있고, 동쪽에는 향적사(香積寺)가 있다. 총면적은 10,753평방미터이며, 이 중 실내 전시관의 면적은 5,800평방미터이고 실외 면적은 10,000평방미터이다. 주차장에서 내리면 유객중심(游客中心) 건물이 있고, 다리를 건너면 박물관 건물이 나타난다. 전시관 왼쪽는 공중고고중심(公衆考古中心)이 있다. 박물관은 총 3층으로 되어 있다. 상설전시관은 “考古聖地 華章陝西”이라는 대주제 아래 1층에는 , , 2층에는 , 3층에는 등 4장으로 분류하여 4,000여건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 2022년 섬서고고박물관 개관. # ..
2023. 8. 27.
연꽃_Indian lotus
# 연꽃_Indian lotus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자라는 연은 사찰의 연등 모양인 Indian lotus로 물에서 꽃이 피는 수련(睡蓮)과는 다른 종이다. 연꽃은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 연(蓮)은 蓮꽃, 뇌지(雷芝), 택지(澤芝, 연하(蓮荷), 연화(蓮花), 하화(荷花), 만다라화, 수단화(水丹花), 수지단(水芝丹), 염거(簾車), 부용(芙蓉) 등이 있으며, 별칭으로 정우(淨友)라고 한다. 산림경제에서는 연(蓮)의 잎을 하(荷), 열매를 연(蓮), 뿌리를 우(藕), 꽃봉오리를 함담(菡萏), 그 꽃을 부용(芙蓉)이라고 하며 총칭해서 부거(芙蕖)라고 하였다. 꽃이 지고 생기는 열매의 덩어리는 연밥 또는 연방(蓮房)이라고 하며, 열매는 연실(蓮實), 연자(蓮子), 연자심(蓮子心) 뿌리는 연근(蓮根)..
2023.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