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31

쏙세 # 쏙세 _증산동 담장. - 얼마 뒤 꽃을 피울 예비 선수. 어릴 때는 민들레 종류와 혼동된다. - 여름에 입맛이 없을 때 뚝뚝 잘라서 두릅 새순과 함께 고추장에 비벼 먹으면 그만... 응암동 텃밭 - 어버이날 뜯어서 쌈을 싸서 먹었는데, 또 많이 자랐다. 올해는 씨를 꼭 받아서 밭에 뿌려야겠다.. 텃밭 불광천 - 논두렁에 흔하게 자라던 쏙세. 도시에서는 개천에서 일부러 찾아야 볼 있다. 2023. 7. 30.
다래_다래덩굴 # 다래_다래덩굴  주차장과 박태기나무 사이 - 잎 사이에 꽃이 보인다.     Q9     - 꽃이 지고 작은 다래가 열렸다.    # 꽃이 진지 얼마 지나지 않아 대추알만한 다래가 탐스럼게 열렸다.   - 이제 다래가 제법 토실토실해졌다.       - 다래 잎파리 2023. 7. 30.
이 더운 날에도 들을 떴다 # 불광천에서 바라본 동쪽 하늘 - 보름에 보름달을 찍는 것보다 낮에 뜨는 달이 훨씬 찍기도 편해 큰 힘이 들지 않는다. 2023. 7. 30.
고대유물_170-3_문자3 # 문자3 ◆ 几父壺_섬서박물관_1296 ◆ 도철 무늬 청동 기夔 모양의 다리가 있는 솥_정[餮饕紋靑銅夔足鼎] ◆ 伯方鼎_섬서박물관_1231 ◆ 伯百父盤_섬서박물관_1157 ◆ 伯甗_섬서박물관_1225 ◆ 史~簋_섬서박물관_1219 ◆ 五祀衛鼎_섬서박물관_1171 ◆ 王作仲姬鼎_섬서박물관_1134 ◆ 鼎_서주_섬서박물관_1295 ◆ 鼎_섬서박물관_1292 ◆ 琱生鬲_섬서박물관_1196 ◆ 琱生豆_섬서박물관_1204 ◆ 추가_CSD_1412 ◆ 它盤_섬서박물관_1307 2023. 7. 29.
고대유물_170-2_문자2 # 문자2 ◆ “위지삼공(位至三公)”이 새겨진 동경 ◆ 국차 담(國差𦉜(甔))_술통 ◆ 청동정(靑銅鼎) ◆ 관아 정(寬兒鼎) ◆ 서왕의초단(徐王儀楚耑) ◆ 아추기부유(亞醜杞婦卣)_'亞醜' 杞婦가 새겨진 술통. ◆ 미상 ◆ 반(盤)_2015_4 북경4_이화원 ◆ 도철 무늬 청동 기夔 모양의 다리가 있는 솥_정[餮饕紋靑銅夔足鼎] ◆ 내부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 악계헌 수(樂季獻盨)- 西周 晚期 ◆ 궤_추가 ◆ 뚜껑 ◆ 반(盤)?? ◆ 화(盉) ◆ 뚜겅 내부에 글자가 새겨진 정(鼎) ◆ '不~' 청동 구의 뚜껑[不~靑銅㲃蓋] ◆ '려盠' 청동 망아지 준[盠靑銅駒尊] ◆ '강후康侯' 청동 도끼_부[康侯靑銅斧] ◆ '난서欒書' 청동 부(欒書靑銅缶) ◆ 비단무늬 청동 창_과[錦紋靑銅戈] 2023. 7. 26.
고대유물_170-1_문자1 # 문자1 ◆ 금으로 상감한 '악군 계鄂君啓' 청동 절[錯金鄂君啓靑銅節] ◆ 사재정(師𩛥鼎) ◆ 사승종((師丞鍾) ◆ 종중 반(宗仲盤) ◆ 외숙 정(外叔鼎) ◆ '아계亞啓' 청동 도끼_월[亞啓靑銅鉞] ◆ '흑백潶伯' 술통_유[潶伯卣] ◆ 고노 동권화석권(高奴銅禾石權)_ 고노(高奴)에 보낸 1石짜리 동권(銅權) ◆ 양조동수량(兩詔銅橢量) ◆ “상림(上林)”이 새겨진 동정(銅鼎)_구리솥 ◆ 처궤(𪓐簋) ◆ 중남보 력((中枏父鬲) ◆ 여방준(盠方尊) ◆ 중기보동궤(中其父銅簋) 1_청동기 편종 2023. 7. 26.
2023_1_오사카 박물관 2023_1_오사카역사 박물관 오사카에 있는 역사박물관이 아니고 오사카의 역사를 기록한 박물관이다. # 박물관 앞에 있는 옛날 건축 모형 # 기차역 쪽 박물간 입구 - 후문 느낌이다. # 입장료 - 성인: 600원. 오사카성 천수각 통합표 1,000엔. # 미깡나무 - 나무에 1개 남아 있다. 국어사전에는 미깡을 제주도 방언이라고 했다. 일본어를....아고. 그럼 혹시 귤을 제주도에서 일본으로 가져 갔나??? # 오사카부 경찰본부 # 왼쪽 건물이 박물관, 오른쪽은 방송국건물. - 오사카역사 박물관 # 박물관 입구 - 오사카성쪽이 정문이다. # 박물관 - 難波宮(나니와 미야) 시대. 고대(古代) - 한자는 같은데 지금의 '난바'와는 발음이 다르다. - 10부터 보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층씩 내려간다. #.. 2023. 7. 26.
시와 꽃_해바라기_규곽_규화_간략본 # 해바라기_선플러워(sunflower) 해바라기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서부고원이다. 북미와 폐루, 칠레 지역에는 70~80종 이상의 야생종이 자라고 있으며 꽃을 보기 위한 겹꽃해바라기도 있다. 전체적으로 거친 털이 나 있으며 높이는 2~3m정도이다. 꽃잎은 밝은 노란색으로 암술과 수술은 중앙에 밀집되어 있다. 큰 꽃은 25cm에 이른다. 해바리기 씨에는 20~30%의 기름이 포함되어 있어 말린 후 볶아서 간식으로 먹거나 비누와 도료의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한방에서는 구풍제와 해열제로 사용된다. 해바라기와 비슷한 꽃으로는 하늘바라기와 뚱딴지가 있다. 하늘바라기는 꽃이 하늘을 바라보고 있고 해바라기에 비해 꽃이 작다. 뚱딴지는 꽃은 해바라기와 하늘바라기의 중간 크기이며 땅 속에.. 2023. 7. 25.
시와 꽃_벼_쌀밥_간략본 # 벼_쌀_밥 벼의 영어명이 Asian Rice인 것만 보아도 그 유래를 추측할 수 있다. 벼에 달려 있는 도정하기 전 껍질이 있는 상태를 나록(羅祿), 나락이라고 하며, 나락의 껍질을 벗긴 것을 쌀이라고 한다. 이 중 겉껍질인 왕겨만 도정하고 속껍질인 쌀겨는 도정하지 않은 푸른색이 나는 쌀을 현미(玄米)라고 한다. 본초명은 갱미(粳米), 곡아(穀芽), 도(稻), 도얼(稻蘖), 재생도(再生稻) 등이 있다. 벼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용작물이다. 벼속에는 20여 개의 종(種)이 있으나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종은 아시아가 원산인 오리자 사티바가 대부분의 벼농사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고, 메벼와 찰벼가 있으며, 논에서 재배하는 수도(水稻)와 밭에서 재배하는 육도(陸稻)가 있다. 벼농사의 기원에 관해서는 인도.. 2023. 7. 25.
오사카(大阪)2023_2_구루몬(黑門) 시장 오사카(大阪)2023_2 # 구루몬(黑門) 시장 # 시장 지붕에 큰 생선 모형이 있다. 무엇을 파는지 확실하게 알려준다. # 딸기 꼬치 개당 200엔. # 금강식품 - 학교(鶴校) 기무치 # 해산물 덮밥집. - 주 메뉴가 알 덮밥. 장어덮밥 2,300엔. # 두유 1병에 250엔. # 마파두부, 스끼야기 등 판매. # 생선가게 # 구루몬시장 창립 200주년. # 구루몬 시장 등 간판. # 야본수산(野本水産) # 우리집 - 처음보는 한국식당이다. # 과일 가게 # 스시집 - 저렴한 것은 1개에 120엔부터 300엔. 모듬 6,000엔도 있다. # 사까에 스시(さかえすし) # 우연히 들어간 초밥집 - 세상에 메뉴에 한국어가 적혀 있다. 나름 유명한 집이라고. 이 집을 내리 이틀왔다. # 구로몬 시장 PCR .. 2023. 7. 23.
오사카(大阪)2023_1_# 千日前(せんにちまえ 센니찌마에). 오사카(大阪)2023_1 -도요코인 호텔 오사카 난바(難波)_西 # 야끼도리 夢鳥(유메 도리) -도요코인 오른쪽에 있다. 한국 학생들이 많기에 물어 봤더니, 사장님이 한국사람이란다. 어쩐지.... - 밖에 한국 젊은이들이 줄을 서 있다. # 가스 우동(かす うどん) # 도요코인 남바 서점. 야경. # 鳴門 寿司(나루토 스시) - 대정 3년(1915)에 창업. 100년이 넘은 가게이다. # 오징어(이까) 튀김: 3개 490엔. 회 7점 2,500엔. 특상 니기리 9개 4,000엔. 上 니기리 3,000엔. 니기리 스시 1,300엔. 鉄火卷 1,300엔. 특상 우나동 4,500엔. 사루 소바 700엔. 중화 소바 900엔. # 난바 마루이 "OIOI" # 楽洛亭(라쿠 라쿠 테이) - 난바역 앞 선술집. 자리.. 2023. 7. 23.
시와 꽃_버들강아지_버드나무_수양버들 # 시와 꽃_버들강아지_버드나무_수양버들 버드나무과에 딸린 낙엽 교목으로, 온대 지방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줄여서 ‘버들’이라고 부른다. 한자로는 ‘柳’ ‘高麗柳’라고 한다. 한자로만 보면 유(柳)는 관목을 가리키고 양(楊)은 교목을 가리키지만 통용하여 ‘楊柳’라고 쓴다. 물가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수향목(水鄕木)이라고 하며, 생약명으로는 청명류(淸明柳)라고 하는데 아스피린의 주원료로 쓰인다. 꽃은 보통 버들개지라 하며, 강아지의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보통 ‘버들강아지’라고도 부른다. 버드나무는 종류는 높게 자라는 수양버들[능수버들]ㆍ개수양버들ㆍ왕버들과 떨기로 자라는 갯버들ㆍ새양버들ㆍ고리버들이 있다. 수양버들은 줄기가 적갈색이며 개수양버들은 황록색을 띤다. 버드나무의 종류에는 이름만 들어도 .. 2023. 7. 22.
시와 꽃_벼꽃_쌀 # 시와 꽃_벼꽃_쌀 벼의 영어명이 Asian Rice인 것만 보아도 그 유래를 추측할 수 있다. 벼에 달려 있는 도정하기 전 껍질이 있는 상태를 나록(羅祿), 나락이라고 하며, 나락의 껍질을 벗긴 것을 쌀이라고 한다. 이 중 겉껍질인 왕겨만 도정하고 속껍질인 쌀겨는 도정하지 않은 푸른색이 나는 쌀을 현미(玄米)라고 한다. 본초명은 갱미(粳米), 곡아(穀芽), 도(稻), 도얼(稻蘖), 재생도(再生稻) 등이 있다. 벼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용작물이다. 벼속에는 20여 개의 종(種)이 있으나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종은 아시아가 원산인 오리자 사티바가 대부분의 벼농사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고, 메벼와 찰벼가 있으며, 논에서 재배하는 수도(水稻)와 밭에서 재배하는 육도(陸稻)가 있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오.. 2023. 7. 22.
나라(奈良)2023_1_나라(奈良)45_나라마치2 나라(奈良)2023_1_나라(奈良)45_나라마치2 # しもみかど(시모미카도)_시 # 카페 '마루' # 채유계(菜遊季)_사이유끼 #춘정시장(椿井市場) # #춘정소학교(椿井小學校) # 묵(墨) # 고매원(古梅園) # 빵집 # 一汁三菜(이찌쇼우산사이)_대은량(大銀釀) いち じゅう さん さい[一汁三菜] - 밥과 국, 세 가지의 반찬으로 이루어진 상차림. 우리말로 일식삼찬정. # 168 호텔 # 마카롱 가게 - 주인이 한국사람이다. 보수적인 나라에서 코로나로 상황이 어렵자 외지인에게 가게 세를 주었다고... # 전당포 # 식당가 - 내부에 식당이 모여 있다. # 생교자 - 홋카이도산 밀가루. 靑森縣 마늘. # 볶음밥. 550엔. - 참 맛나게 생겼다. # 스테미나 라면_850엔. # 아사히 맥주도 판매한다. # .. 2023. 7. 21.
나라(奈良)2023_1_나라(奈良)44_나라마치1 나라(奈良)2023_1_나라(奈良)44_나라마치 # 가면 예능 # 나라 짠지집_관영당(寬永堂) # 동향 상점가(東向商店街) - 이쪽은 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시장이란다. # 일본풍 레스트랑 春日 # 나라 NOBRIJI 호텔. # 나라공원 광관안내도 - 시내의 절반이 공원이라고 할만큰 넓다. # 금어문정(今御門町)_이마미가도쵸 # 와인 콜크로 만든 우체통. # 멋진 오토바이. # 도조신(道祖神) # 승남원정(勝南院町)_쇼우나미쵸 # 주길사(住吉社)_신사 # 빵집. # 과자점 - 비싸 보인다. # 생과자 1,100엔. # 奈良町(나라마치) 정보관 # 춘일암(春日庵)_과자집 # 2층에서 차를 마실 수 있다. # 도나리 - 민박집. # 그릇가게 # 한약방 "한방약(漢方藥)"이라고 쓰여 있다. # 蚊帳のれん なら.. 2023. 7. 21.
2023_1_나라(奈良)43_원흥사_간고지2 2023_1_나라(奈良)43_원흥사_간고지2 # 사찰 왼쪽 전경 # 왼쪽문 # 뒤에 있는 건물이 선실[승방]이다. # 법륜관_박물관 계단에 걸린 앙코르 회랑 탁본 # 석불 - 법륜관과 선실 사이에 있다. # 하얀꽃 # 작은 신사 # 유자나무 # 납매(臘梅)_노란 매화 # 홍매(紅梅) # 선실_뒷편. # 원흥사 극락방선실 # 수선화_하얀색 # 동백[楸]_빨간색 楸 # 돌에 새긴 부처님. # 극락전 오른쪽 마당에 작은 단지가 묻혀 있다. - 두 건물 사이에 작은 길이 있다. # 원흥사 정문 # 확에 돌로 눌러 놓은 동백과 수선화 # 홍매화나무 # 소화 40년(1965) 10월 25에 세웠다. # 마당에 수선화 # 원흥사 입구에 있는 옛날 흙담이 남아 있다. 2023. 7. 20.
시와 꽃_복숭아_복사꽃 # 복숭아_복사꽃 복숭아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로, 원산지는 중국 화북의 산시성(陜西省)과 간쑤성(甘肅省)의 고원지대이다. BC.2∼BC.1세기 경에 페르시아 지역으로 전해졌고 다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 우리나라의 남부에도 야생종이 있으나 대과종(大果種: 큰 열매를 맺는 종자)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중국종과는 그 계통이 다른 종류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쪽에서 재배하며 매화, 살구와 함께 봄꽃의 대명사로 꼽힌다. 복숭아는 여름 과일의 여왕으로 불릴 만큼 여름 하면 떠오르는 대표 과일이다. 덩굴에서 열리는 수박, 참외와 함께 나무에서 열리는 대표 과일로 제철이 아니면 생으로 먹기 어려웠던 과일이다. 복숭아는 나무를 지칭할 때와 꽃을 지칭할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 2023. 7. 20.
2023_1_나라(奈良)42_원흥사_간고지1 나라(奈良)2023_1_나라(奈良)42_원흥사_간고지1 # 여기도 국보 세계문화유산 때문에 유명한 절이다. 역시 촬영금지. # 직원분들이 친절하시다. ◆ 매표소엣 오른쪽으로 가면 정문이다. - 원흥사(元興寺)라는 기둥 밑에 극랑방(極樂坊) 승방(僧坊) 이라고 쓰여 있다. ◆ 세계문화유산 비석 - "고도 나라의 문화재 원흥사"라고 쓰여 있다. ◆ 重文 東門 - 읽기 전에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하여간 鎌倉(かまくら)시기에 세워진 문이다. 원흥사 극락방 정문은 1411년 이 곳으로 옮겨왔다. 동문은 극락당 본당을 중심으로 원흥사 옛날 가람(伽藍)과 독립돈 중세사찰로 재탄생하였다. - 문의 오른쪽 기둥에 "서국약사제5번영장(西國藥師第5番靈場)"라고 쓰여 있다. ◆ 원흥사_간고지 극랑당과 선실 - 한글로도 적.. 2023. 7. 19.
2023_1_나라(奈良)40_흥복사_고후쿠지2 2023_1_나라(奈良)40_흥복사_고후쿠지2 # 흥복사 경내 안내도 - 시장쪽에서 올라가는 길에 있는 안내판이다. - 마침 기모노를 입은 가족에 흥복사로 가고 있다. - 6각형 건물. # 하늘이 너무 파랐다. # 하늘에 파란 물감을 풀었다는 말이 실감난다. ◆ 복수해(福壽海) - 한글로 발음하면 재미있다. ◆ 석등 ◆ 중금당(中金堂) - 흥복사의 가운데 있는 금당. ◆ 동금당(東金堂) - 흥복사5층탑 오른쪽에 있다. ◆ 동금당 매표소. - 동금당 입장권 성인: 300엔 / 중고생 200엔 / 초등학생 100엔 국보관을 함께 관람하면 성인: 900엔, 중고생 700엔, 초등학생 350엔이다. 참고하라고 국보관 입장료 안내도 있다. 통합표는 성인과 중고생은 100엔, 초등학생은 50엔 저렴하다. 동금당에서.. 2023. 7. 19.
2023_1_나라(奈良)39_흥복사_고후쿠지1 2023_1_나라(奈良)39_흥복사_고후쿠지1 ◆ 흥복사 오층목탑 - 室町(むろまち) 시기인 730년 광명황후(光明皇后)가 창건했고, 현재의 탑은 1426년에 재건한 것이다. 높이는 50.1m. 국보이다. 1층 수미단 동쪽에는 약사삼존상, 남쪽에는 석가삼존상, 서쪽에는 아미타삼존상, 북쪽에는 미륵삼존상이 안치되어 있다. # 흥복사오층탑 안내판. # 주변에 사슴이 있는데, 왜 저 테두리 안에만 있는지...?? 나갈 수도 있는데... # 흥복사 남문당(南門堂) - 오층탑 정면 끝에 있는 건물. # 빈두로존자(頻頭盧尊者) 이 속에 '빈두로존자' 이분이 계신다. # 우근귤(右近橘) - 귤나무에 이름이 있다. # 귤나무 안내판 # 종루 - 크기는 매우 작다. 현재는 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 흥복사 왼쪽 계.. 2023. 7. 19.
백합과 나리의 차이 # 백합과 나리의 차이 어린 싹은 뭉쳐서 나온다. 잎이 거의 위로 곧게 자란다. 꽃잎에 검은 점이 없다. 줄기에 열매가 없다. 꽃대가 올라올 때 꽃몽오리가 위를 향한다. 꽃잎이 뒤로 약간만 휘어진다. 꽃의 색이 다양하다. 어린싹은 잎이 갈라져 나온다. 잎이 자라면서 뒤로 휘어진다. 꽃잎에 검은 점이 있다. 줄기에 염소똥같은 검은 열매가 열린다. 꽃대가 올라올 때 꽁몽오리가 아래를 향한다. 꽃잎이 뒤로 확실하게 말린다. 꽃의 색이 주황색이다. # 백합의 색상 2023. 7. 18.
프렌치 메리골드2_옥상 # 프렌치 메리골드2 Q9 - 한 화분에 글라디올러스, 분꽃, 낮달맞이꽃과 함께 자라고 있다. - 여기는 팥과 비비추, 금계국과 함께 자란다. - 아직 색깔은 모른다. 2023년 07월 18일> - 올해는 조금 일찍 피었다. - 꽃대가 올라왔다. 3일 뒤면 꽃 색깔을 확인할 수 있을듯. - 드디어 한 송이에 꽃이 피기 시작했다. 가을을 알리는 꽃. G9 2023. 7. 18.
금정산_북문_동문 # 금정산_북문_동문 - 북문에서 동문 가는 길은 능선까지 세 번의 고개가 있다. # 원효봉 - 동쪽에서가 가장 높은 봉우리. 687M이다. # 김유신 솔바위 - 김유신이 수련한 곳이란다. # 두실역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만난 너덜... # 정암 약수터 - "강우 직후에는 음용 자제"라고 쓰여 있다. # 약수터 - 끓여 먹을 물을 왜 굳이 여기서 떠가야 하는지? # 또 너덜 바위 # 갈림길이 나왔다. 이제는 살았다싶었는데, 다시 또 너덜... # 드디어 도시가 보인다. # 너덜 위에 세운 돌탑 - 사람은 참 재미나고 위대하다. # 내가 이름 붙인 힌수염고래 바위 # 용황당(龍皇堂) 龍자는 약자[竜]로 새겼다. - 작은 폭포도 있다. # 용황당 폭포 동영상 # 작은 소도 있다. # 제3망루까지 1.2K.. 2023. 7. 18.
육개장 맛집_소단정1 # 육개장_소단정 - 가오픈 첫날부터 다니고 있는데, 손님이 없는 것이 안타깝다.나는 나름 먹을만하다고 생각하는데, 오픈을 하지 않아서인지 사람들이 많지는 않다.메뉴가 육개장과 만두 딱 2가지. 물론 세트 메뉴도 있다. 육개장+만두(찐/군)사실 이 집이 장사만 잘되도 남들에게 알려주기 싫다. 손님이 많으면 정작 내 자리가 없을까봐 걱정된다.그러나 아찍까지는 언제 가도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어 다행??   - 오늘 기본반찬은 오뎅볶음, 깍두기, 백김치. +요구르트.    # 점심 시간인데, 거리에 사람이 다니지 않는다.  # 물과 추가반찬의 셀프.포장시 육개장 1,000원 할인, 만두 500원 할인. # 포장은 공기밥, 반찬 미제공. # 자동 주문 기기- 크게 "매장 "과 "포장"으로 나누어졌다.포장.. 2023. 7. 18.
금정산_금강암_북문 # 금정산_금강암_북문 # 버섯 # 금정산 식당바위 # 장마 후 버섯 천지 # 붉은 버섯 # 이정표 - 북문 1.1KM # 참나무 설명판. # 범어사 은행나무 # 북문에 가까워졌을 때 나타난 계단 앞 바위 # 금정산에 사는 숲 속의 친구들. # 나름 특이한 소나무 # 두 번째 이정표 - 고당봉 1.2KM. # 북문 앞 화장실. - 나름 시설이 좋다. # 멀리 안개 속으로 북문이 보인다. # 금정산성 북문_안내판. # 금정산성 북문 사적지 표시. - 사적 215호. # 산수국 # 이정표 - 동문 4KM, 고당봉 1KM. 여기서 사람들은 어디로 향할까? # 금정산 토르. # 금정산성 남문 정경. # 금저산성 안내판. # 금정산성 북문 안내판 # 금정산성 북문 내부. - 뭐가 있지. 비는 조금 피할 수 있다... 2023. 7. 18.
금정산_범어사5_금강암 # 금정산_범어사5_금강암 # 금강암 표지석 # 금강암 입구 - 김두환(金斗煥)이락 새겨져 있다. # 금강암 정문 - 특이하게 금강암 전체의 현판이 한글로 되어 있다. # 대자비전 - 암자이지만 전(殿)이 있다. # 자혜당. - 금강암 정문에서 오른쪽에 있다. # 선혜당 - 금강암 정문에서 왼쪽에 있다. # 금강암 종루 # 대자비전 뒤에 있는 나한전... 입구는 선혜당과 자혜당에서 올라 가는 길이 있다. # 나한전 밑의 석굴에 있는 부처 # 선혜당 앞에 있는 식수 # 나한전에서 바라본 금강암 대자비전 # 나한전에서 바라본 금강암 종루 # 범어사 금강암 현판 # 나한전에서 바라본 삼성각 # 범어사 금강암 삼성각 탱화. # 삼성각 현판 # 범어사 금강암 대자비전 심우도(尋牛圖) - 심도(尋牛)_소를 찾다. .. 2023. 7. 17.
금정산_범어사4_대성암(大聖庵) 금정산_범어사4_대성암 # 각해선림(覺海禪林) # 범어사의 특징 중 하나가 한 건물에 3개의 방이 있는 것이다. 오른쪽에 산령강(山靈閣), 중앙에 북극전(北極殿), 왼쪽에 독성각(獨聖閣)이 있다. # 각해선림 입구에 있는 자연 바위. 산의 형세를 가급적 살린 모습이 아름답다. # 대성암 정문 # 대성암에서 금강암으로 가는 길 # 작은 자연산 소나무 분재가 있다. 저 바위에서 뿌리를 내린 소나무가 존경스럽다. 자연의 신비... # 개울 건너가 대성암으로 가는 쪽문. 2023. 7. 17.
시와 꽃_접시꽃_촉규_융규_오규_호규 # 접시꽃 접시꽃은 아욱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중국 서부지역이 원산이기 때문에 지명을 따서 촉규(蜀葵)ㆍ융규(戎葵)ㆍ오규(吳葵)ㆍ호규(胡葵)라고 부르며 그 꽃의 색이 붉기 때문에 홍규(紅葵)라고 부른다. 조선 초기에는 이두로는 황촉화(黃蜀花), 일일화(一日花)라고 불렀으며, 󰡔동의보감󰡕에는 일일화(一日花)로 되어 있다. 이 외에도 덕두화(德頭花), 층층화(層層花), 접중화, 단오금 등으로 불린다. 뿌리는 촉기근(蜀其根), 촉규근(蜀葵根), 호규근(胡葵根), 씨는 촉규자(蜀葵子), 꽃은 촉규화(蜀葵花), 줄기와 잎을 촉규(蜀葵)라고 한다. 관상용과 약용으로 이용된다. 꽃은 그늘에 말려서 사용하고 잎과 뿌리는 햇볕에 말려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기도.. 2023. 7. 17.
시와 꽃_해바라기_규곽_규화 # 해바라기 해바라기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아메리카가 원산이다. 북미와 폐루, 칠레 지역에는 70~80종 이상의 야생종이 자라고 있으며 꽃을 보기 위한 겹꽃해바라기도 있다. 전체적으로 거친 털이 나 있으며 높이는 2~3m정도이다. 꽃잎은 밝은 노란색으로 암술과 수술은 중앙에 밀집되어 있다. 큰 꽃은 25cm에 이른다. 해바리기 씨에는 20~30%의 기름이 포함되어 있어 식용하거나 비누와 도료의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한방에서는 구풍제와 해열제로 사용된다.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8~60cm 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가장자리의 설상화(꽃잎이 혀모양의 꽃)는 밝은 황색이며 중성화(암술과 수술이 없는 꽃)이고, 통상화(꽃잎이 서로 달라붙어 통 모양으로 생기고 끝만 조금 갈라진 꽃)는 갈색 또는 황색이.. 2023. 7. 17.
금정산_범어사3 # 금정산_범어사3 # 범어사에서 금강암 가늘 길. - 왼쪽으로 나가는 문에 그림이 있다. 202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