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대연동_신사우물갈비 # 사무치게 매운, 사위들의 손맛.- 종업원이 나름 친절했다. 반찬 추가는 샐프.   # 서울식 버섯불고기    # 물갈비- 3인분. 생각보다 양이 많다. 맵기는 신라면정도로 요청. 그래도 맵다.단점은 끓기까지 너무 오래 걸린다. 2024. 1. 7.
해변시장_서울깁밥 # 서울김밥- 3천원. 기본김밥에는 햄이 없다.햄김밥 3천 5백원. - 얼갈이 된장국을 준다. 나름 시원하다.      # 서울김밥. 3천원      # 유부와 서울깁밥=5,500원 2024. 1. 7.
부산 대연동_꼬마김밥_시민애 꼬마김밥_시민애 市民愛 - 기본은 1개 천원. 제목은 꼬마지만 나름 크다.    # 막상 포장을 해서 먹다보니. 음식 사진이 없다. 2024. 1. 7.
삼진어묵2_부산역 왼쪽 # 삼진어묵2_부산역 왼쪽 - 부산역 부근에 2개의 체인점이 있다.   기차 시간이 남아서  아침을 먹고 산책 하다가 발견했다. 규모는 부산역 왼쪽보다 작지만, 이곳은 오뎅 만드는 것을 바로 앞에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직 만들고 있는 중이라 매대가 다 차지는 않았다.      # 우리창문 너머에서 만든다. 2024. 1. 7.
서대문구 북가좌동_하이쿠모 # 하이쿠모_북가좌동 - 나름 스텐팅바. 오래 마시려면 미리 운동을 하고 와야할 듯...북가좌 5거리에서 버스 종점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있다. 텐죠 건너편. 양꼬치집 옆. # 새로 바뀐 메뉴판. 총3장이다. 양면. 1장은 음식, 2장은 주류 및 음류. 그림이 있어 주문하기가 수월해졌다. 메뉴도 추가되고.     # - 사시미: 6종 숙성 사시미- 오뎅: 모듬한사라. 단품: 맛계란 / 곤약 / 스지 / 무우 / 오뎅.- 스피드 메뉴: 버터곶감말이 / 포테이토 사라다 / 오이와 보리된장 / 시오 곤부 양배추  / 피망과 고기된장(숫ㄱ불향) / 브라운치즈 아보카도 /과일치즈 크래커 # - 시그니쳐 하이쿠모- 고추잡채 야끼소바  / 나폴리탄 스파게디- 사천식 오이무침(매콤) / 수제 게살 크림 고로케(2개) /.. 2024. 1. 7.
수세미_사과 # 수세미_사과(絲瓜), 면과(綿瓜) - 주방에서 쓰는 수세미 이름의 원조. 한자 이름도 참 기가 막히다. 속에 그물말이 있다고 면과. 예전에 시골에서 노랗게 잘 익은 수세미의 씨를 바르고 말렸다고 설거지할 때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 껍질 벗긴 수세미. 2024. 1. 7.
함박눈 내린 불광천 함박눈 내린 불광천 # 색깔공 조명 # 인공 나무의 조명. - 조명 나무에 눈이 쌓여서 더 아름답다. # 벗나무에 내린 눈. # 오토바이 위의 눈사람. 2024. 1. 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1_기본진열6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1_기본진열68 # 당나라 이후 섬서2 ◆ 장유악무문자주자(장釉樂舞紋瓷注子 )_악무 문양이 새겨진 간장색 유약을 바른 오지 주전자.- 당나라- 안강시(安康市) 출토.* 양쪽에 끊을 넣을 수 있는 구멍[系]가 있다.       ◆ 백자피낭호(白瓷皮囊壺)_백자로 만든 가죽주머니 모양 술병.- 당나라- 서안시 연호구 백가구(白家區) 출토.  ◆ 강황유첩소인물집호(薑黃釉貼塑人物執壺)_생강색 유약을 바로 인물을 조소한 손잡이 술병.- 당나라- 서안시 경오로(經五路) 출토.    ◆ 백자첩화고족발(白瓷貼花高足鉢)_꽃을 붙인 발이 높은 백자 바리때.- 당나라- 서안시 동쪽 교육 단백양(段伯陽) 무덤 출토. - 보수중 ◆ 삼채봉수호(三彩鳳首壺)_봉황 머리 모양이 있는 삼채 술병... 2024. 1. 7.
독립기념관 # 독립기념관 둘러보기 - 기념관도 식후경. 아침을 안 먹은 관계로 아우네장터에서 국밥 한그릇....하고. - "순대접시" 양이. 접시가 아니다. 작은 접시 생각했다가는 대부분 남긴다... - 일반순대국밥 - 내장과 머리고기 기타 부속이 모두 들어간다. - 가격은 전국 통일한듯. 서울, 부산, 천안 모두 9천원. # 친한 선생님께서 점심도 사주시고,,, 차도 태워주고, 차도 사 주신다고... 독립기념관으로 향했다... - 여러 가지 여건상 이번에는 겨례의 집만 둘러보았다. - 주자차장 입구에서 생각보다 많이 걸었다. 정면에 보인는 기지가 있는 산이 '흑성산( 黑城山 )'이다. 지금은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속한다. # 탑의 압쪽 중앙에는 태극문양이 있고, 뒤쪽에는 무궁화가 있다. "애국가" - 이곳이 입.. 2024. 1. 5.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6_염직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6_염직 ◆ 하무 경마 문양 작은 소매[(賀茂競馬文様小袖] 丈128.0cm 裄64.7cm 에도시대(18세기) 나가타 시치로(永田七郎) 기증 교토국립박물관 上半身は紅絞染の角立石畳(すみだちいしだたみ)文様、下半身は斜に京・上賀茂神社の5月5日の行事・競馬(くらべうま)を、主として友禅染であらわしている。友禅染の細部は白い糊糸目(のりいとめ)や各種の多彩な色差しが特に精緻で、江戸時代中期の友禅染技法の高い水準をしめす。また楓葉のざわめくように乱れた表現は、2馬の馳けぬける速さや、見物する人々の熱気さえ感じさせ、上下の技法の対照的な扱いや、構成の巧みさとともに、丹念に練られた優れた意匠力をうかがわせる。現状は通例の小袖ながら、もとは小児の衣裳であったと考えられる。 상반신은 홍조염의 각립석조(스미다치이시다타미) 문양, 하반신.. 2024. 1. 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0_기본진열6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90_기본진열67 # 문맥면장(文脈綿長) # 당나라 이후의 섬서1. #서북중진(西北重鎭) - 번병요충(藩屛要衝) # 북송과 요 및 서하 대치 형세도. # 남송과 금 및 서하 대치 형세도 ◆ 가주지휘사 동인(葭州指揮使銅印) - 금_1115~1234. - 1979년 신목시(神木市) 출토. ◆ 서하동부패(西夏銅符牌)_동으로 만든 서하국의 부절 패. - 서하_1038~1227. - 유리시 수덕현(綏德縣) 출토. ◆서하문관인(西夏文官印_서하국 문관의 도장. - 서하_1038~1227. - 1971년 서안시 영홍로 공사장 출토. ◆ 총령군마동인(總領軍馬銅印)_군마를 모두 다스릴 수 있는 동인. - 송나라_960~1279. - 연안시 자장현(子長縣) 출토. ◆ 교초동판(交鈔銅版).. 2024. 1. 5.
북가좌동 한바퀴 텐죠 - 간식으로 먹기 좋은 초밥 4조각.   하이쿠모 생마* 마구이를 생으로 주문.  # 계란 아님 주의.  #  # 훠궈  # 맛난 찹쌀떡  #  소단정 육개장    # 비빔메밀국수 2024. 1.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9_기본진열6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9_기본진열66 제3청_ # 수당(隋唐)14 # # 대당유보(大唐遺寶) # 금전회(金錢會) ◆ 개원통보(開元通寶) # 어릴 때 많이 했다. 동전 위에 하얀 종이 올리고 연필로 열심히 칠했다. ◆ 유금동화표(鎏金銅貨布)_구리에 도금한 화포. ◆ 유금동전(鎏金銅錢)_구리에 도금한 동전. "영안오남(永安五男)" ◆ 개원통보 ◆ 쌍면 개원통보. ◆ 태화육수(太貨六銖) ◆ 오행대포(五行大布) ◆ 영안오수(永安五銖) ◆ 양조신천(凉造新泉) ◆ 대천당천(大泉當千) ◆ "직백" 동전(直百銅錢) ◆ 직백오수(直百五銖) ◆ 전변오수(剪邊五銖) ◆ 오수(五銖) # 왕망 시기 화폐_왕망 천봉(天鳳) 원년(14년) 주조. - 상좌: 무자화천(無字貨泉) - 상우: 병형화천(餠形貨泉) - 하.. 2024. 1.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8_기본진열6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8_기본진열65 제3청_ # 수당(隋唐)13 ◆ 청동 거울 # 당나라 무덤 벽화 속에 나타난 금은 기물. # 찬란한 문화. - 복식 예 # 문인과 무인 # 기마병. ◆ 5. 땅 속에 저장되어 있던 거마기[窖藏車馬器] - 수레 장식, 구리 말등자, 구리 대구(帶扣) - 당나라 - 1997년 11월 서안시 신축향(新筑鄕) 서장촌(西庄村) 출토. # 벽화 ◆ 궁녀도(宮女圖) # 실크로도 지도. # 서북지역을 경영하고 다스리다. # 상아 작품 - 칼, 무와 배추 # 왕이신가?? # 세속백태(世俗百態) - 아속(雅俗)의 의관. # 도자기. # 주전자. # 접시. # 접시 모범. # 석상 ◆ 정(鼎)_네발솥. # 지하세계 # 종산석석(鍾山石窟) 2024. 1.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7_기본진열6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7_기본진열64 제3청_ # 수당(隋唐)12_삼채2 ◆ 녹유향훈(綠油香薰)_녹색 유약을 바른 향로. - 당나라 - 1989년 서안시 장안구 위곡(韋曲) 북원(北塬) 출토. ◆ 16. 삼채반(三彩盤)_삼채색 쟁반. - 당나라 - 1960년 함양시 건현(乾縣) 영태공주(永泰公主) 묘 출토. ◆ 15. 삼채칠성반(三彩七星盤)_삼채색을 칠한 일곱 개 그릇이 있는 소반. - 당나라 - 1999년 서안시 동쪽 교외 열전창(熱電廠) 출토. ◆ 14. 삼채화분(三彩花盆)_삼채색 화분. - 당나라 - 1960년 함양시 건현 영태공주 묘 출토. ◆ 13. 삼채완(三彩碗)_삼채색 주발 - 당나라 - 1960년 함양시 건현 영태공주 묘 출토. ◆ 12. 삼채잔(三彩盞)_삼채색 술잔. -.. 2023. 12. 28.
12월 27일 음력 11월 15일 12월 27일 음력 11월 15일 설정 p. iso 200 2023. 12.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6_기본진열6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6_기본진열63 제3청_ # 수당(隋唐)11_삼채1 ◆ 29. 삼채사효탑식관( 三彩四孝塔式罐)_4명의 효자가 새겨진 탑 형식의 삼채 단지. - 당나라 - 1970년 함양시 계칠명(契苾明) 묘 출토. - 글자가 새겨져 있다. 글자가 있는 삼채는 처음 본다. ◆ 28. 삼채퇴화쌍이편호( 三彩堆花雙耳扁壺)_퇴화 기법을 사용한 양쪽에 귀가 있는 삼채 납작병. - 당나라 - 1972년 서안시 장안구 출토. * 퇴화(堆花): 도자기(陶瓷器)의 겉에 물감을 두껍게 입혀 만드는 무늬. 또는 그 기법(技法). 대쪽이나 붓 등(等)으로 검정이나 흰빛 따위의 빛깔이 있는 그 흙을 도자기(陶瓷器)의 몸에 쌓아 올려 그림이나 또는 무늬를 새기거나 그림. ◆ 27. 삼채쌍룡병집호(三彩雙龍柄.. 2023. 12. 2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5_기본진열6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5_기본진열62 제3청_ # 수당(隋唐)10_백자. ◆ 41. 백자사계관( 白瓷四系罐)_4개의 고리가 있는 백자 단지. - 당나라_618~907 - 서안시 한삼채(韓森寨) 당나라 단백양(段伯陽)묘 출토. ◆ 42. 백자 한림 개관(白磁翰林蓋罐)_ "翰林"이라는 글자가 있는 뚜껑이 있는 백자 단지. - 당나라 - 1956년 서안시 미앙구(未央區) 조원(棗園) 남령(南嶺) 출토. ◆ 43. 철자사계관( 靑瓷四系罐)_4개의 고리가 있는 청자 단지. - 당나라_618~907 - 서안시 한삼채(韓森寨) 출토. ◆ 백자쌍룡병집호( 白瓷雙龍柄執壺)_쌍룡 문양에 손잡이가 있는 백자. - 당나라_618~907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보수중 ◆ 39. 백자발( 白瓷鉢)_백자 바.. 2023. 12. 24.
게발선인장_혼합 # 게발선인장_혼합 - 하얀색도 아닌 분홍색도 아닌. 2023. 12. 23.
동네한바퀴 # 동네한바퀴 두발 정리하고 겨울 산책 뒷산 - 코 잘린 문인석. 등산로 입구에 문지기처럼 세워두었다. # 반홍산 산신제 안내 # 반홍산 우물터 # 반홍산 우물터. - 그러면 현재는 물이 안 나온다는 말? - 반홍산에서 바라본 북한산. - 아직 잔설이 남아 있는 등산로. 아침 - 눈사람 2023. 12. 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4_기본진열6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4_기본진열61 제3청_ # 수당(隋唐)9 ◆ 55. 흑유사녀병(黑釉仕女甁)_흑색 유약을 바른 궁녀 병. - 당나라 - 1986년 동천시(銅川市) 요주교 유지 출토. ◆ 54. 소태흑화발(素胎黑花鉢)_유약을 바르지 않은 검은색 바리때. - 당나라 - 1986년 동천시(銅川市) 요주교 유지 출토. ◆ 53. 소태흑화설(素胎黑花碟)_유약을 바르지 않은 검은색 접시. - 당나라 - 동천시(銅川市) 요주교 유지 출토. ◆ 52. 녹유사계자관(綠釉四系瓷罐)_녹색 유약을 바른 고리가 4개인 도자 단지 - 당나라 - 서안시 동쪽 교외 출토. *고리에 끈을 연결하여 쉽게 들 수 있는 방식이다. ◆ 51. 흑유타우(黑釉唾盂)_흑색 유약을 바른 타구[침받이] - 당나라 - 서안시 동.. 2023. 12. 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3_기본진열6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3_기본진열60 제3청_ # 수당(隋唐)8 # 모두 11단계이며, 해당 단계마다 설명이 있다. 錘揲 ➡ 范鑄 ➡ 焊接 ➡ 掐絲 ➡ 炸珠 ➡ 模冲 ➡ 鏨刻 ➡ 鎏金 ➡ 鏤空 ➡ 鉚接 ➡ 抛光. ◆ 6. 유금익마문은식편(鎏金翼馬銀飾片)_도금한 익마 문양 은장식 조각 - 당나라 - 2010년 징집. *익마(翼馬): 고대 신화와 전설 속에 나오는 날기고 하고 달리기도 하는 상서로운 짐슴이다. 비마(飛馬) 혹은 천마(天馬)라고도 한다. 신라 천마총의 '천마'와 동일한 이름이다. ◆ 7. 누공금선(鏤空金蟬)_누공 기법을 사용한 금 매미. - 당나라 - 2009년 징집. ◆ 8. 원앙함수문은합(鴛鴦銜綏紋銀盒)_원앙이 인끈을 물고 있는 문양의 은합. - 당나라 - 1989년 서안.. 2023. 12. 2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2_기본진열5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2_기본진열59 제3청_ # 수당(隋唐)7 ◆ 8. 서수포도경(瑞獸葡萄鏡)_상서로운 짐승과 포도 문양이 있는 거울. - 당나라 - 한중시 서향현 출토. ◆ 9. 진자비사운동경(眞子飛霜紋銅鏡)_진 효자와 서리가 날리는 문양이 있는 동경. *眞子飛霜講述的是西周尹伯奇被放逐於野的故事 - 당나라 - 서안시 동쪽 교외 한삼채(韓森寨) 출토. ◆ 쌍사쌍봉문경(雙獅雙鳳紋鏡)_두 마리 사자, 두 마리 봉황 문양이 있는 거울 - 당나라 - 1954년 서안시 동쪽 교외 곽가탄(郭家灘) 출토. ◆ 선인기룡문능화경(仙人騎龍紋菱花鏡)_신선이 용을 타는 문양이 있는 마름 모양 거울 - 당나라 - 섬사박물관 소장. ◆ 쌍란쌍수문경( 雙鸞雙獸紋鏡)_두 마리 난새, 두 마리 짐승 문양이 있는 거울.. 2023. 12. 1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3_기본진열5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3_기본진열58 제3청_ # 수당(隋唐)6 ◆ 감은 서수문능화경(嵌銀瑞獸紋菱花鏡)_은에 상감한 상서로운 짐승 문양이 있는 마름 모양 거울. - 당나라 - 1955년 서안시 출토. @ 상태가 너무 좋다. 모양도 아름답고....가운데 두꺼비가 보인다. ◆ 만자문경(卍字紋鏡)_ '卍'자 문양이 있는 거울. - 당나라 - 1956년 서안시 동쪽들 한삼채(韓森寨) M9 출토. * 이런 문양은 처음 본다. ◆ 왕자교취생인봉문경(王子吹笙喬引鳳紋鏡)_왕자교가 생황을 불어 봉황을 끌어들이는 문양이 있는 거울. - 당나라 - 1956년 서안시 동쪽들 한삼채(韓森寨) M9 출토. * 이런 문양은 처음 본다. ◆ 공자문답경(孔子問答鏡)_공자가 문답하는 문양의 거울. - 당나라 - 섬서역.. 2023. 12. 1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2_기본진열5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2_기본진열57 제3청_ # 수당(隋唐)5 # 선봉성세(顚峯盛世)_ 방촌교심통만조(方寸巧心通萬造) # 수공업 # 금환교려(錦紈巧麗)_비단. ◆ 비단. 인화사(印花紗), 소사(素紗)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비단. 사견(紗絹) - 당나라 - 섬서역서박물관 소장. ◆ 비단. 제화릉(提花綾), 소사(素紗)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비단. 소단화문금(小團花紋錦), 동물문금(動物紋錦)_동물 문양이 있는 비단. - 당나라 - 섬서박물관 소장. # 당나라 때 비단 생산지 분포도. # 비단 만드는 공정 그림. - 도련(搗練)_다듬이질 - 봉제(縫製)_꼬매기. 낙선(絡線)_실잇기. - 위탕(熨燙)_다림질. # 당대 비단 생산 과정. 뽕나무 키우기 ➡ 뽕.. 2023. 12. 1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1_기본진열5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1_기본진열56 제3청_ # 수당(隋唐)4 # 전봉성세(顚峯盛世) ◆ 1. 철화(鐵鏵)_쇠가래 - 당나라 - 함양시 예천현 소릉 유지 출토. ◆ 2. 철부(鐵斧)_쇠도끼 - 당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3. 삼채창(三彩倉)_삼채색을 칠한 창고. - 당나라 - 한중시 출토_한중시박물관으로 옮김. ◆ 4. 삼채마(三彩磨)_삼채 맷돌 - 당나라 - 1995년 서안시 고릉구 당나라 이회(李晦)의 묘에서 출토. ◆ 5. 삼채마(三彩井)_삼채 우물 - 당나라 - 1995년 서안시 고릉구 당나라 이회(李晦)의 묘에서 출토. ◆ 6. 황유우(黃釉牛)_황색 유약을 바른 소. - 당나라 - 함양시 예천현 당나라 장사귀(張士貴) 묘 출토. ◆ 7. 황유구(黃釉狗)_황색 유약을 .. 2023. 12. 1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0_기본진열5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0_기본진열55 제3청_ # 수당(隋唐)3 ◆ 정순황후 석곽 선각 사녀도(貞順皇后石槨線刻仕女圖)_ 정순황후 돌관에 선으로 그린 궁녀 그림. - 당나라 - 서안시 당나라 정순황후 경릉(敬陵) 유지 출토. ◆ 대당고상관씨명(大唐故昭容上官氏銘) - 소용이 죽었는데 이렇게 거창한 명을 지었단 말인가. # 참 길기도하다. 夫道之妙者,乾坤得之而爲形質;氣之精者,造化取之而爲識用。 挻埴陶鑄,合散消息,不可備之於人。 備之於人矣,則光前絕後,千載其一。 婕妤姓上官,隴西上邽人也,其先高陽氏之後,子爲楚上官大夫,因生得姓之相繼。 女爲漢昭帝皇後,富貴勳庸之不絕。 曾祖弘,隨(隋)藤(騰)王府記室參軍﹑襄州總管府屬﹑華州長史﹑會稽郡贊持﹑尚書比部郎中。 與穀城公吐萬緒平江南,授通議大夫。 學備五車,文窮三變。 曳裾入侍,.. 2023. 12. 10.
부산 남천동_경주식당 # 2023년 11월 04일  # 방이 새끼 마래미 회.- 옆 자리 형님이 몇점 주셨다.  # 2023년 12월 05일 - 차돌우렁된장.       # 2023년 12월 06일 - 간장제육 2023. 12. 9.
연희동 논골집 연희동 논골집 # 주 메뉴는 이베리코 돼지고기와 한우. # 비빔 메밀냉면 집에서 조금 멀지만 가끔 주말에 아점을 먹으러 간다. 연희 삼거리 방향에서 구길로 사라거쇼핑을 지나서 굴다리를 지나서 왼쪽에 있다. - 물냉면, 비빔냉면, 들기름 막국수 3종이다. # 선지해장국 - 선지가 딱딱하지 않고 포실포실하다. 고기도 듬뿍 들어 있다. 김이 나서 늘 사진이 이모양이다. # 돼지수육 - 보통 메뉴에는 없지만. 사장님의 배려로 수육 절반. 오늘 고기는 삼결살이다. 느끼한 것을 좋아하는 분께 추천. # 기본반찬 - 계란말이, 깍두기, 미역줄기 볶음. 시금치, 얼갈이 걷절이. 2023. 12. 9.
사라진 자전거 안장 # 안장 없는 자전거 - 길을 걷다보면 자주 만나는 자전거의 모습이다. 특히 지하철 앞 자전거 거치대. 2023.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