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진/목본식물639 고추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고추나무 - 낙엽활엽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전국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소엽이 3개이다. 꽃은 가지 끝에 달리며, 4~6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반원형으로 8~10월에 익으며 약용으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먹고, 목재는 젓가락이나 신탄재로 사용한다. 2025. 4. 1. 홍괴불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홍괴불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인동과이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린다. 8월에 난상 원형의 적색 열매가 익는다. 2025. 4. 1. 함박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함박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목련과이다. 3~4월에 잎이 나온 후 흰 꽃이 밑을 향해 피며, 수술과 꽃밥은 붉은빛이 돈다. 9월에 검은 열매가 익는다.*함박꽃은 작약의 별칭이고, 함박꽃나무는 일본목련의 별칭이기도 해서, 정확하게 말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곳을 쳐다보고 가리키는 것과 같다. 2025. 4. 1. 목수국_UN평화공원_동북쪽 # 목수국_UN평화공원_동북쪽 - 범의귀과이다. 7~8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원뿔형의 꽃차례에 흰색의 장식꽃과 양성화가 함께 달린다. 나무수국이라고도 부른다. 2025. 4. 1. 백당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백당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인동과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다. 5~6월에 중앙에 수정이 가능한 꽃이 피며, 꽃잎이 뚜렷한 장식꽃이 가장자리를 에워싼다. 9~10월에 핵과 구형의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는다. 2025. 4. 1. 꽃산수국_UN평화공원_동북쪽 # 꽃산수국_UN평화공원_동북쪽 - 범의귀과이다. 7~8월에 가지 끝에 산방꽃차로 꽃이 달린다. 꽃은 백색 또는 청보라색이다. 2025. 4. 1. 개느삼_UN평화공원_동북쪽 # 개느삼_UN평화공원_동북쪽 - 콩과이다. 5월에 새로 나온 가지 끝에 5~6개의 노란색 꽃이 달리며, 7월에 열매가 익는다. 땅속줄기로 번식한다. *느삼은 풀이고 개느삼은 나무이다. 2025. 4. 1. 미국낙상홍_UN평화공원_동북쪽 # 미국낙상홍_UN평화공원_동북쪽 - 감탕나무과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일반 낙상홍에 비해 잎이 크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의 양면, 잎자루, 잎맥에 짧은 털이 있다. 꽃잎은 5~8장이며, 6월에 흰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붉은색을 띤다.*"미국"이 들어가는 동식물은 일반적으로 "북미"라는 의미로 보면 이해가 편하다. 2025. 4. 1. 골담초_UN평화공원_동북쪽 # 골담초_UN평화공원_동북쪽 - 콩과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한다. 잎은 홀수깃모양 겹잎으로 두 쌍씩 붙어 있고, 어긋난다. 5월에 나비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9월에 열매가 익지만 결실이 드물다. 꽃이 아름답고 잎 모양이 특히하여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2025. 4. 1. 산철쭉_UN평화공원_동북쪽 산철쭉_UN평화공원_동북쪽 2025. 4. 1. 설구화_UN평화공원_동북쪽 # 설구화_UN평화공원_동북쪽 - 인동과이다. 6월에 흰 꽃이 피며, 꽃은 불두화를 닯았으나 잎이 다르다. 수술이 없어 과실은 달리지 않는다.두 개의 잎 소에서 꽃대가 나온다. 2025. 4. 1. 해당화_UN평화공원_동북쪽 해당화_UN평화공원_동북쪽 - 아직 싹이 나지 않은 가지고 있다. 2025. 4. 1. 벚나무_홑벚꽃_경성대 분수대 벚나무_홑벚꽃_경성대 분수대 2025. 4. 1. 분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분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인동과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주로 서해안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며, 꽃은 4~5월에 연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검고 원형이며, 10월~11월에 익는다. 꽃의 관상 가치가 뛰어나 공원수 또는 정원수로 인기가 있다. # 참고 _서양분꽃나무와 비교.분꽃나무 서양분꽃나무 2025. 4. 1. 뜰보리수_UN평화공원_동북쪽 # 뜰보리수_UN평화공원_동북쪽 - 보리수나무과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형이며, 꽃은 4~5월에 연황색으로 피어나며 향기가 있다. 열매는 핵과로 긴타원형이며, 붉은색으로 6~7월에 익는다.잎의 뒷은 회색에 많은 점이 있다. 2025. 4. 1. 정금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정금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진달래과이다. 6~7월에 연붉은 색을 띤 갈색꽃이 아래를 향해 피며, 흑갈색의 열매가 9~10월에 익고 흰 가로로 덮여 있다. 2025. 4. 1. 수호초_UN묘지_평화공원_동쪽 중앙왼쪽화단 # 수호초_UN묘지_평화공원_동쪽 중앙왼쪽화단 2025. 4. 1. 황매화__UN묘지_평화공원_낙엽관목원 # 황매화__UN묘지_평화공원 - 황매화는 장미과이다. 이름에 '매화'가 들어가지만 매화랑은 아무 상관이 없다. 3~5월에 황색 꽃이 가지 끝에 잎과 함께 피고 꽃잎은 5개이며 열매는 8~9월에 흙갈색으로 익는다. 9~10에도 잎이 있는 상태에서 다시 꽃이 핀다. - 이번주에는 지난주에 비해 제법 많은 꽃들이 피었다. 빨린 핀 꽃은 색이 하얗게 바랬다. - 영춘화처럼 꽃이 질 때는 하얀색으로 변한다. 2025. 4. 1. 납매_UN묘지_평화공원_낙엽관목원 # 납매_UN공원_조각공원 가는 끝에 있다. - 납매는 매화로 착각할 수 있지만, 매화와는 전혀 다른 받침꽃과 식물이다. 11월부터 꽃망울을 맺기 시작해서 2~3월에 잎보다 노란 꽃이 먼저 피며 향기가 좋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납매(臘梅)는 납월(음력12월)에 피기 때문에 '납매'라고 불린다. # 두 가지 납매의 모양이 다르다. 앞의 납매은 꽃이 뾰족하고, 뒤의 납매는 잎이 원형이다. S22 - 색은 연노랑이다. - 열매의 모양은 치지와 비슷하지만 색깔은 진한 갈색이다. 씨앗은 잣과 모양, 크기, 색깔도 비슷하다. - 꽃이 지고 납의 열매가 자라기 시작한다. 2025. 4. 1. 수양버들_UN묘지_동남쪽 # 수양버들 UN묘지 동남쪽. 2025. 3. 31. 덜꿩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덜꿩나무 - 인동과이다. 5월에 흰꽃이 가지 끝에 모여 피며, 열매는 9월에 붉게 익는다. 어린 가지에 성모가 빽빽히 자란다. 2025. 3. 31. 모과나무_UN묘지_남측_유실수정원 # 모과나무_UN묘지_유실수 2025. 3. 31. 시무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시무나무 - 느릅나무과이다. 5월에 연노랑색의 꽃이 피며, 6월에 열매가 익는다. 열매는 찌그러진 달걀모양으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2024년 3월 25일 2025. 3. 31. 꽝꽝나무_UN평화공원_동남쪽 # 꽝꽝나무 - 감탕나무과이다. 5~6월에 작고 흰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가 검게 익는다. 잎은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2025. 3. 31. 참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참꽃나무 - 낙엽활엽관목이다.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형 또는 마름형으로 톱니가 없고 표면에 윤채가 있고 연모가 있다. 꽃은 5~6월에 잎과 함께 피며 붉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갈색의 털이 있다. 10월에 익는다. 2025. 3. 31. 서양병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서양병꽃나무 - 인동과이다. 꽃은 통모양으로 병꽃나무보다 크고 붉은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는 거의 없다. 2025. 3. 30. 일본매자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일본매자나무 - 낙엽성소관목이다. 많은 가지가 있다. 잎은 새로 나오는 어린 가지에서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좁은도란형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늘어져서 피며 외면은 약간 적색이다. 열매는 긴타원형이며 관사용, 울타리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2025. 3. 30. 삼색병꽃나무_UN평화공원_동북쪽 # 삼색병꽃나무 - 낙엽활엽관목이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잎은 무주나기하며 타원형, 난상타원형이며, 꽃은 5월에 백록색으로 핀다. 열매는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1년생 가지는 두 줄의 털이 있고 고리를 만드는데 쓰인다. 2025. 3. 30. 두릅2_참두릅 # 두릅2_참두릅 - 확실히 2023년보다 싹이 늦다. 년 3월 23일> - 같은 증산동이지만 다른 곳보다 새순이 자라는 속도가 빠르다. 다른 곳은 아직 껍질에 싸여 있다. 증산동 텃밭 - 증산동# - 늘 부러운 집이다. 집 뒤에 두릅나무. 증산동 텃밭 - 이른 곳에는 두릅 싹이 올라왔다. 핸폰s22 - 5일만에 올라간 밭에는 두릅이 더벅머리를 뽑내고 있었다. 3일 뒤면 나물로 변신할 수 있다. 증산동 - 3일 뒤면 먹기 좋게 자랐을 것이다. 그 때를 기억한다면.... _증산동- 두릅을 오래 먹는 방법. 순이 자라면 하나씩 따서 먹는다. 집안에 두릅나무가 있는 것이 너무 부럽다. - 동네 골목 뒤에 이런 곳이 있다. - 새 순을 딴 주변에.. 2025. 3. 30. 매화_청매1 # 매화_청매1 - 색상이 화려하지 않지만 연한 녹색꽃이 눈을 편안하게 한다. 증산동 연못 증산동 연못 입구 동서남북 옆집 정원 - 얼마 있으면 매실을 사야겠다. 깜박하면 지나가는 것이 철이라. 올해는 잊지 말고 황매를 사야겠다. 2025. 3. 30. 이전 1 2 3 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