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1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0
# 자운풍화(瓷韻風華)3
#3.3. 세시청공(歲時淸供)_자기와 중국 고대 화기 예술.
중국 화기 예술은 위진 시기의 불사 공양에서 시작되어 송대에 이르러 일반 문인과 선비에게 보급되었고, 일반 백성의 집에 깊이 들어가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夢梁錄)에서 말하는 분향, 차 주문, 그림 걸기, 꽃 꽂기가 송나라 사람의 ‘네 가지 한가한 일’ 중의 하나가 되었다. 도자기는 중국 고대 화기 예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꽃병의 모양이 풍부하고 키가 작은 매병, 담병, 목이 긴 꽃병과 모조품의 꽃병은 송나라 도자기 화병의 주요 형태이다. 원명 이후에는 화훼를 심기에 적합한 각종 화분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中国花器艺术始于魏晋时期的佛事供奉, 到宋代普及至一般文人雅士, 深入到寻常百姓家, 成为吴自牧《梦梁录》所说的焚香、点茶、挂画、 插花宋人“四般闲事”之一。瓷器在中国古代花器艺术中占有重要地位, 花瓶样态丰富, 高矮梅 瓶、胆瓶、长颈花瓶以及仿古类花瓶是宋代瓷质花瓶的主要瓶式。元明以后, 适合栽种花卉的各式花盆开始流行。
◆ 분채금어문장방화분(粉彩金魚紋長方花盆)
- 청 함풍(咸豊) 연간(1851~1861)
이 화분은 흰 유약 위에 물결무늬를 새기고 반홍채로 금붕어 문양을 묘사하였는데, "魚[물고기]"와 "玉(옥)"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금옥만당(金玉满堂)"의 상서로운 의미가 있다. 이 화분은 조형이 단정하고 세공이 정교하여 청대 함풍 어요의 정교한 작품이다.
该花盆在白釉上刻划水波纹为地, 以矾红彩描绘金鱼纹, 因“鱼”与“玉” 谐音, 故有“金玉满堂”吉祥寓意。此 花盆造型端庄, 做工精细, 为清代咸丰御窑的精致之作。
◆ 방목문유대좌화분(仿木紋釉帶座花盆)
- 청대 건륭(乾隆) 연간(1736~1795)
나무 문양을 모방한 유약은 옹정조 처음 구운 도자기 장식 방법이다. 적황색이나 갈색으로 목재의 결을 묘사하여 자연스럽고 사실적이다. 통모양의 화기(花器)는 청대에 흔히 만년청(萬年靑)을 재배하는데 "일통만년(一統萬年)" 길상의 뜻을 취하였다.
仿木纹釉是雍正朝创烧的一种瓷器装饰方法。以红赭或褐色描绘出木材的纹理, 自然逼真。桶状花器在清代常用来种植万年青, 取“一统万年”吉祥之意。
◆ 용천요청유고(龍泉窯靑釉觚)
- 명대(1368-1644년)
고(觚)는 본래 상주시기 청동 주구(酒具) 양식 중의 하나인데, 송대와 원대에 이르러 대부분 꽃을 꽂는 기물로 화고( 花觚)도 이로 인해 이름을 얻었다.
觚本为商周青铜酒具样式 中的一种, 至宋元多移作插花 之器, 花觚亦因此得名。
◆ 관요분청유담식병(官窯粉青釉膽式瓶)
- 남송(南宋) 1127-1279
송원시기의 시화에는 널리 표현된 담병은 조형이 다양하다. 송대 화가가 그린 꽃꽂이 작은 병은 가느다란 목이 늘어진 모양에 속한다.이런 종류의 꽃병은 선이 간결하고 부드러워 선비들이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규방 화사(花事)의 중요한 장식으로 명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왕성하여 쇠락하지 않았다.
宋元时期诗画中广为表现的胆瓶, 造型多样。宋画所绘的插花小瓶, 属于细颈垂腹的样式。这类花瓶线条简洁 柔和, 不仅为士人所好, 也是闺阁花事的重要装点, 至明代犹盛不衰。
◆ 제홍유매병(祭紅釉梅瓶)
- 청대 강희(康熙) 연간(1662~1722년)
청대의 매병은 주로 진열과 꽃꽂이에 쓰였다. 강희시기의 고온동홍유(高溫銅紅釉) 품종은 주로 청홍유약ㆍ낭요홍유약(郞窑紅釉) ㆍ강두홍유(豇豆紅釉) 등 세 가지가 있는데 각기 특색이 있다. 제홍유(霽紅釉)는 유약의 표면이 고르게 응고되고 색깔이 짙으며 제기 이외에도 문방용구, 일용자기 등으로도 사용된다.
清代梅瓶, 主要用于陈设和插花。康熙时期的高温铜红釉品种主要有霁红釉、郎窑红釉、豇豆红釉三种, 各具特色。 霁红釉釉面均匀凝厚, 色泽深沉, 除用作祭器以外, 也做文房用具、日用瓷等。
◆ 길주요흑유척화절지매문매병(吉州窯黑釉剔花折枝梅紋梅瓶)
- 송대(960~1279년)
이 병은 매화 가지를 긁어내고 꽃을 새기고 나면 그림ㆍ병ㆍ꽃이 서로 어우러져 송대 선비들의 소탈한 정취를 재현했다. 이런 종류의 매병은 모양이 둥글고 돈후하며 아가리가 비교적 크며 목은 북방지역의 매병에 비해 약간 길다. 도자기 매병은 송대 이후에 유행하기 시작하여 송나라 남북쪽의 많은 요장에서 모두 생산되었다.
此瓶剔绘梅枝, 插上花后, 画、瓶、花交相辉映, 再现了宋代士人逸趣。这类梅瓶造型圆润敦厚, 口较大, 颈与北方地区梅瓶相 比略长。陶瓷梅瓶在宋代以后开始流行 ,宋元南北方许多窑场均有生产。
# 3.4. 노연보훈(爐煙寶熏)
- 자기(瓷器)와 중국고대 향문화
향에 대한 인간의 사랑은 본능에서 시작된다. 상고시대 제사에서 선민들은 연소되는 향의 연기가 인간과 신이 소통하는 매개체라고 여겼다. 굴원은 향초(香草)를 미덕에 비유하고나서 향은 도덕문화의 함의를 부여받았다. 생활 속에서 향은 냄새ㆍ목욕ㆍ훈의(熏衣:옷에 향을 입힘) ㆍ의료ㆍ음식 등 용도가 매우 넓다. 중국의 생활용 향은 선진시기에서 시작되었고, 성당시기에서 성숙하여 북송과 남송시기에 <일반적으로> 보급되었다. 중국 본토의 향료는 대부분 향모(香茅) 등 천연 식물성 향료이며, 동한시기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단향초훈(單香草熏)시대에 처해 있었다. "실크로드"가 원활해짐에 따라 각종 복합향료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각종 향기도 생겨났다. 동양의 향혼은 독특한 운치를 지니고 있어 매력이 무궁무진하다.
人类对香的喜爱始于本能。在上古祭祀中, 先民将燃烧上升的香烟视为人与神沟通的媒介; 屈原以香草比附美德, 香被赋予道德文化涵义; 生活中, 香可祛味、沐浴、熏衣、医疗、饮食等, 用途颇广。中国的生活用香, 肇始于先秦, 成熟于盛唐, 普及于两宋。中国本土香料多为香茅等 天然植物性香料, 东汉之前基本处于单香草熏时代。随着“丝绸之路”畅通, 各类复合香料广泛应用, 各式香器也应运而生。东方香魂独具神韵, 魅力无穷。
◆ 녹유박산로(綠釉博山爐)
- 한대(기원전 202年-기원후 220)
박산로라는 이름은 외형에서 비롯되었다. 그 뚜껑은 우뚝 솟은 산봉우리 모양으로 설계되어 산봉우리가 중첩된 곳에 미세한 연기 구멍을 뚫어 연기 발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낸다. 향로에서 향을 피우면 가벼운 연기가 흩날리며 향로의 본체를 감돌며 자연히 산들이 몽롱하고 많은 짐승들이 떠다니는 효과를 초래하는데 마치 전설속의 해상선산과 같다. 조형이 아름답고 문양이 독특한 박산로는 양한시기 풍조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기물이다.
博山炉之得名源于外形。其盖被设计成耸立的山峰状, 在山峦重叠处开细小的出烟孔, 以起舒缓发烟之效。炉中焚香, 轻烟飘出, 缭绕炉体, 自然造成群山朦胧、众兽浮动的效果, 仿佛传说中的海上仙山。造型优美、纹饰独特的博山炉是代表两汉风尚的标志性器物。
◆ 홍주요청황유대탁오수족로((洪州窑靑黄釉带托五獸足爐)
- 당대(618-907)
이 향로는 양진 남북조 시기에 흔히 볼 수 있는 기물 형태이다. 세 발 또는 다섯 발로 대부분 받침대가 있고, 크기가 비교적 작다. 수당시기에는 이 방식을 답습하여 늘 난로의 발에 번잡한 장식을 증가시켰다. 예를 들면 짐승의 얼굴과 역사(力士) 등이다.
此炉为两晋南北朝时期常见的器型: 三足或五足, 多带有承盘, 尺寸较小。隋唐沿袭此式, 而常在炉足上增加繁复的装饰, 如兽面、力士等。
◆ 관요분청유쌍이삼족로(官窑粉靑釉雙耳三足爐)
- 송대(960-1279)
고대 양식을 모방한 송대의 소형 향로는 관요ㆍ용천요 제품이 아름답다. 송대 상고의 풍격이 성행하였는데, 이 향로는 송대 문인 대부의 복고 추구와 청아한 예술 품위를 숭상하는 것과 정확하게 부합한다.
仿古式样的宋代小型香炉以官窑、龙泉窑制品为佳。宋代尚古之风盛行, 此香炉恰合宋代 文人士大夫复古的追求以及崇尚清雅的艺术品位。
◆ 백유행로(白釉行爐)
- 북송(960-1127)
이 향로는 개방식으로, 더 많은 공기가 들어갈 수 있고 향료가 충분히 연소될 수 있다. 북송시기에 행로(行爐)는 북방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향로 조형이었다. 용천무요, 자주요, 영무요 등 북방의 가마의 입구는 모두 이런 향로를 구운 적이 있다.
此炉为开敞式, 能够让更多的空气进入, 使香料充分燃烧。北宋时期, 行炉为北方最常见的香炉造型。龙泉务窑、磁州窑、灵武窑等北方窑口都曾烧造过此类香炉。
◆ 관요분청유현문준식호(官窑粉靑釉弦紋樽式爐)
- 남송(1127-1279)
술동이 형태이 향로는 북송시기에 유행했는데, 당시 사람들은 '렴(奩)' '렴로(奩爐)' 등으로 불렀는데, 대부분 여요ㆍ정요ㆍ남송 관요ㆍ용천요ㆍ길주요 등에서부터 구워졌는데 풍격에 비교적 변화가 생겼고 고아함을 추구하지 않고 다시 활발하고 생동감 있는 취향을 보인다.
◆ 용천요분청유력식로(龍泉窑粉靑釉鬲式爐)
- 남송(1127-1279)
이 향로의 양식은 옛날의 청동력을 모방하여, 장식이 소박하고 유약색이 독특하며 얇은 태에 두터운 유약이 서로 잘 어울린다. 남송시기 관요자기는 선명한 궁정 풍모를 가지고 있었는데, 향로도 또한 그렇다. 용천요는 관요 제품을 모방하여 유약색의 아름다움을 더욱 드러냈다.
此香炉样式仿古铜鬲, 装饰素朴, 釉色独特, 薄胎厚釉相得益彰。南宋官窑瓷器带有鲜明的宫廷风范, 香炉亦然, 而龙泉窑仿官窑制品, 更显釉色之美。
◆ 균요천람유삼족로(鈞窑天藍釉三足爐)
- 원대(1206-1368)
균요 향로는 조형이 돈후하여 낮고 작은 향로라도 포만하고 두터운 미감이 있다.
钧窑香炉造型敦厚, 即便是低矮小炉, 也有饱满厚重的美感。
◆ 균요천람유쌍이삼족로(鈞窑天藍釉雙耳三足爐)
- 원대(1206-1368)
◆ 백유과형향합(白釉瓜形香盒)
- 원대(1206-1368)
향합(香盒)은 또 "향합(香合)"으로도 쓴다. 무릇 수지향료와 중향을 합쳐서 만든 향병(香甁) 과 향환(香丸)은 모두 향합 안에 넣어야 한다. 대략 북위시기에 향합의 사용은 이미 매우 보편적이었다. 송대의 생일 축하는 향합을 선물하는 것이 풍조가 되었다. 자기 향합은 손바닥 크기의 분합(粉盒)ㆍ유합(油合) 크기보다 약간 크다.
香盒, 也写作“香合”。凡树脂香料及合和众香制成的香饼香丸, 均须置放在香盒内。大约北魏时期香盒的使用已经很普遍。宋代贺寿以香盒为赠成为风尚。瓷香合比掌心大小的粉合、 油合尺寸稍大些。
◆ 공작녹유철조운룡문쌍이삼족정식로(孔雀綠釉凸雕雲龍紋雙耳三足鼎式爐)
- 명대(1368-1644)
이 향로는 옛날 정(鼎)을 모방한 향로이다. 정(鼎) 형태의 향로는 청동 정(鼎)의 번잡한 장식을 버리고, 송나라 도자기의 주요 특징을 보존하였다. 청동 정(鼎)은 뚜껑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송나라 절대다수의 정(鼎) 형태의 향로도 뚜껑을 설치하지 않았다. 즉 입구가 열려 있는 향로이다.
此炉为仿古鼎式炉。鼎式炉舍弃青铜鼎繁杂的装饰, 保留宋代陶瓷器的主要特征, 由于青铜鼎较少带盖, 因此宋代绝大多数鼎式炉也不设炉盖, 即为敞口香炉。
◆ 분채누공운룡문정식향훈(粉彩鏤空雲龍紋亭式香熏)
- 청대 건륭 연간(1736-1795)
청대의 향훈은 옥질ㆍ동질이 많이 보인고 자기질은 보기가 드물다. 이 기물은 제작 공예가 복잡하고, 누공ㆍ 더미ㆍ채색을 한데 모아 건륭조의 뛰어난 도자기 제조 기예를 보여준다.
清代香熏多见玉质、铜质, 瓷质少见。此器制作工艺复杂, 集镂空、堆贴、彩绘于一身, 显示出乾隆朝高超的制瓷技艺。
◆ 유변유녹단향훈(窑變釉甪端香薰)
- 청대(1644-1911)
이 향훈은 조형이 유머러스하고 독특하며, 유변유를 발라 매우 독특하다. 원명시대에는 사자 모양으로 직접 만든 향로가 많았다. 명청시대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향수는 녹단이다.
此香熏造型风趣别致, 施以窑变釉, 颇显独特。元明时代多有直接做成狮子形的香炉。明清时代最常见的香兽是甪端。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2 (0) | 2024.11.19 |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1 (0) | 2024.11.18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8 (0) | 2024.11.16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7 (0) | 2024.11.15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7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1)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