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국립김해박물관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6_2층_3

by isanjo 2025. 2. 10.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6_2층_3

 

 

 

# 땅을 일구고 수확하다

"땅에 씨를 뿌리고 작물을 수확하다"
한반도 남부는 북부보다 철기 문화가 늦게 들어와서 쇠로 만든 농기구도 뒤늦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풍부한 철과 뛰어난 제철 기술을 바탕으로 도끼·괭이·낫 등 중요한 농기구들을 모두 쇠로 만들었다. 나무로 만든 손잡이는 거의 썩어 없어졌지만 드물게 남아 있는 손잡이가 있어 연결 방법을 추측할 수 있다.
농사기술이 발전하면서 U자형 삽날이나 쇠스랑· 호미·살포와 같은 농기구도 등장한다. 쇠로 만든 농기구가 널리 쓰여 농업생산력이 증대되었다.

 

 

 

 

◆ 10. 뼈괭이_골제확(骨製鑊)

- 4~5세기

- 창원 중동(中洞)

 

 

◆ 8. 쇠삽날_삽인(鍤刃)_쇠가래날

- 4~5세기

- 밀양 미촌리(美村里) / 김해 대성동 / 김해 양동리

 

 

◆ 7. 쇠가래_철추(鐵鍬)

- 3~5세기

- 김해 대성동

 

 

◆ 1. 쇠스랑_철파(鐵杷)

- 5세기

- 울산 하삼정 / 울산 효문동, 율동 / 울산 중산동(中山洞)

 


◆ 2. 쇠따비_철뢰(鐵耒)

- 삼한

- 울산 삼정리 / 김해 봉황동, 양동리

 


◆ 3. 쇠낫_철겸(鐵鎌)

- 5세기

- 창원 가음정동 / 함안 도항리 / 부산 복천동 / 김해 퇴래리

 


◆ 4. 쇠호미_철산(鐵鏟)

- 5세기

- 밀양 귀명리(貴明里)

 

 

◆ 5. 쇠끌_철착(鐵鑿)

- 5세기

- 울산 삼정리(三亭里) / 창원 합성동(合城洞)

 

 

◆ 6. 쇠살포_철산(鐵鏟)

- 5세기

- 울산 조일리(早日里) / 창원 가음정동 / 함안 도항리

 

 

 

◆ 9. 나무괭이_목곽(木钁)

- 4세기

- 창원 신방리(新方里)

 

 

◆ 6. 쇠작살_철섬(鐵銛)

- 5세기

- 김해 양동리

 

 

◆ 5. 전복따개_채패구(採貝具)

- 삼한시기

- 김해 회현동(會峴洞) / 창원 신방리

 

 

◆ 6. 세 갈래 작살_삼지창(三枝槍)

- 4~5세기

- 창녕 계성리 / 김해 대성동, 양동리, 본산리/ 여래리 / 창원 현동

 

 

◆ 2. 두 갈래 작살_삼지창(二枝槍)

- 3~5세기

- 김해 대성동, 양동리, 구지로, 망덕리 / 창원 가음정동

 

 

◆ 3. 낚시바늘_조침(釣針)

- 삼한시기

- 창원 다호리 / 김해 대성동, 신문리(新文里) / 창원 현동, 현동

 

 

◆ 4. 뼈작살_골제섬(骨製銛)

- 3~5세기

- 창원 중동 /  김해 신문리

 

 

◆ 11. 도끼자루_부병(斧柄)

- 4~5세기

- 김해 관동리(官洞里)

 

 

◆ 1. 세 갈래 작살_삼지창(三枝槍)

- 4~5세기

- 창녕 계성리 / 김해 대성동, 본산리 여래리 / 창원 현동 /김해 양동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