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국립김해박물관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4_2층_1

by isanjo 2025. 2. 7.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4_2층_1

 

# 화합과 공존으로 일궈 낸 가야인의 역사와 문화.

 

# 가야의 멋

 

화려한 장신구는 아름다움을 더하고 그 주인의 정치·사회적 지위도 나타낸다. 가야 사람들은 수정·호박·마노 등의 보석과 유리·금속 등으로 장신구를 만들었다.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등 가야왕들의 무덤에서는 일찍부터 초록색·푸른색·붉은색 등 다채로운 유리구슬 목걸이가 나왔다.

4세기 이후에는 금과 은으로도 장신구를 만들었는데,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 나온 금동관과 허리띠가 대표적인 예이다.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다양한 귀걸이와 팔찌가 만들어져 가야사람들의 세련된 멋과 노련한 솜씨를 엿볼 수 있다.


  금동관 *보몰

- 5세기

- 부산 복천동(福泉洞)

 

가야 금동관은 신라의 화려한 금관과 달리 단순한 나뭇가지 모양이다. 이는 신라의 금관 장식인 '山(산)'자 모양의 초기 형태처럼 보이는데, 관의 테두리에 나뭇가지 모양 장식을 금못으로 고정한 것은 신라의 금관과 비슷 하다. 하지만 신라 금관처럼 금만으로 만든 것은 없고, 구리에 얇게 금을 씌운 금동관만 있다. 부산 복천동 11호 무덤에서 나온 금동관은 물결 무늬와 점무늬로 얇은 관의 테두리를 꾸미고, 곁가지가 세 줄 달린 나뭇 가지 모양 장식에 달랑거리는 달개를 달아 장식했다.

 

#

 

 


◆ 

 

 


◆ 금관

- 5세기

- 고령 지산동(池山洞)

 


 

 

◆ 1. 허리띠꾸미개_과대장식(銙帶裝飾)

- 5~6세기

- 함안 도항리

 

 


◆ 7. 호랑이 모양 허리띠고리_호형대구(虎形帶鉤)

- 5세기

- 창원 다호리(茶戶里)

 

 

◆ 8. 호랑이 모양 허리띠고리_호형대구(虎形帶鉤)

- 5세기

- 밀양 제대리(堤大里)


9. 호랑이 모양 허리띠고리_호형대구(虎形帶鉤)

- 5세기

- 김해 대성동(大成洞)

 

 

  귀걸이_이식(耳飾)

- 3~6세기  

6. 창원 다호리

7. 함안 도항리

11. 함양 평정리(坪亭里)

12. 창원 가음정동(加音丁洞)

13. 김해 능동(陵洞)

14. 김해 칠산동(七山洞)

15. 울산 하삼정(下三亭)

 


  귀걸이

3~6세기

3. 전(傳) 거창(居昌)

7. 함안 도항리

10. 부산 복천동(福泉洞)

11. 함양 평정리

 


◆ 
 귀걸이

- 3~6세기

18. 합천 반계제(磻溪堤)

 


# 귀걸이

- 3~6세기

2. 밀양 귀명리

3. 전 거창

23. 출토지 미상.

4. 창녕 계성리(桂城里)

6. 창원 다호리 

7. 함안 도항리

8. 고령 지산동(池山洞)

 

 

◆  귀걸이

- 3~6세기

20. 창녕 동리(東里)

21. 함안 오곡리(梧谷里)

8. 고령 지산동

7. 함안 동항리

22. 김해 양동리(良洞里)

13. 김해 능동

3. 전 거창

 


◆ 대구(帶鉤)


◆ 

 

 

 


◆ 


◆ 


 

◆ 발찌

- 4세기

- 김해 대성동

 

◆ 팔찌

- 4~6세기

3. 고성 내산리

7. 진주 중안동(中安洞)

2. 찬녕 교동(校洞)


◆ 

 

 

 


◆ 팔찌

- 4~6세기

6. 김해 양동리

2. 고성 내산리(內山里)

 

◆ 팔찌

- 4~6세기

1. 창녕 계산리

3. 고성 내산리

4. 고성 율대리(栗垈里)

 

 

◆ 목걸이

- 3~6세기

2. 김해 양동리

4. 김해 본산리(本山里) / 여래리(餘來里)
1. 김해 대성동

 


◆ 목걸이

- 3~6세기

2. 김해 양동리


 

 

 

◆ 목걸이?

- 3~6세기

5. 부산 복천동

6. 김해 능동

2. 김해 양동리



◆ 목걸이

- 3~6세기

1. 김해 대성동

3. 김해 망덕리(望德里)

4. 김해 본산리 / 여래리


◆ 목걸이

- 3~6세기

6. 김해 능동


◆ 목걸이

- 3~6세기

2. 김해 양동리

 

◆ 목걸이

- 3~6세기

10. 창원 다호리

7. 김해 관동동(官洞洞)

4. 김해 본산리 / 여래리

8. 김해 칠산동


목걸이

- 3~6세기

1. 김해 대성동

 

◆ 목걸이

- 3~6세기

1. 김해 대성동

2. 김해 양동리

3. 김해 망덕리


목걸이

- 3~6세기

1. 김해 대성동

6. 김해 능동

4. 김해 본산리 / 여래리

 

구슬을 귀하게 여겨

옷에 꿰매어 장식하기도 하고

목에 걸거나 귀에 늘어뜨리기도 하지만

금은과 수놓은 비단은 보매로 여기지 않았다.

<삼국지/위서 동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