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컴프리(comfrey) # 컴프리(comfrey)- 보기에 이래도 약용식물이란다.     - 아래에 꽃대가 보이기 시작한다. - 어느새 10일만에 꽃대가 올라왔다.        년 4월 30일> - 활짝 핀 꽃은 초롱꽃과도 색이 비슷하고, 참깨꽃과도 비슷하다.   - 2023년 첫꽃이 피었다.   년 5월 01일>              년 6월 13일> G9 - 컴프리가 한 달 만에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힌다. 2024. 4. 25.
설구화(雪球花)_증산동 # 설구화_증산동                - 설구화도 6월까지 피어 있다. 2024. 4. 25.
으아리_하양 # 으아리_하양 - 왜 이름이 으아리인지 알 수 있다. 처음보면 그냥 "으아"라는 소리가 나온다.  Q9   핸폰 Q9 - 같은날 다른 모습       Q9       S22     Q9  Q9- 잎이 진 으아리는 또다른 꽃으로 오인하기 쉽다.          S22 2024. 4. 25.
거제왕찔레_하양 # 거제왕찔레_하양     핸폰 Q9    S22      # 작년 열매가 달려 있다.      Q9 - 드디어 꽃잎이 져서 떨어지기 시작한다.    - 호박벌의 사투.  Q9   Q9     S22 2024. 4. 25.
백모란_특집 # 백모란_특집  S22- 사람들이 핸폰으로 찍을 줄 몰랐다.        오전 11시 20                 # 오후 17시 20분                  # 바로 옆집에 분양된 백모란 딱 2송이 피었다. 꽃이 엄청 크다.        # 다시 할머니네집.  - 꽃이 지기 시작한다. 2024. 4. 21.
참나무_ # 참나무 2024. 4. 20.
참나무_신갈나무 # 신갈나무 - 다랑어, 새치를 모두 참치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를 모두 참나무라고 부르고, 그 열매 역시 도토리라고 부른다. -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는 도토리받침의 윗부분이 뱃방석 모양으로 깔금하고,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는 도토리받침이 람푸탄의 털처럼 밑에서부터 위까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예전에는 상수리나무의 열매는 상수리, 굴참나무의 열매는 도토리라고 불렀다. 또 상수리와 도토리만 먹고 나머지는 먹지 않았다. 요즈음 다른 것도 없어서 못먹을 지경.... 상수리는 열매의 높이가 높고 굴참나무 열매인 도토리는 높이가 낮다. # 참나무의 종류 2024. 4. 20.
일본목련_증산 # 일본목련_증산 2024. 4. 20.
산사나무? # 산사나무? 2024. 4. 20.
산철쭉 산철쭉 대림시장 전주토종청국장 식당 - 실내에 두었다가 내어 놓은 산철쭉에 꽃이 피기 시작한다. G9 G9 2024년 04월 20일 - 올해는 핀 애들보다 안 핀 애들이 더 많음. - 산철쭉이 생각보다 오래 피어 있다. 2024. 4. 20.
매발톱5_빨강 # 매발톱5_빨강 - 증산동 메르시안 화단 - 바위 틈에서 거친 숨을 몰아쉬며 몸을 빼내고 있다. G9 - 참 특이한 모습이다. 기형인지? 자라다 만 것인지? 2024년 04월 20일. S22. - 매발톱 이파리 - 꽃이 지고 씨앗이 맺혔다. 구순을 바라보는 노인이 이 꽃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신다. 기분이 참 좋았다. 그분이 나랑 같이 사는 사람의 어머니이시다. 이 빨간색과 보라색이 마음에 드신다니 화단에 심기를 너무 잘했다. 올해 씨를 뿌린 키가 큰 매밥톱도 내년 봄에는 발톱을 드러낼 것이다. 지금은 방풍 밑에 숨어서 때를 엿보고 있다. - 화단의 거름이 걸고, 햇볕이 따뜻하니, 철을 잊은 듯 새싹을 티웠다. 2024. 4. 20.
둥굴레 # 둥굴레 - 증산동 경로당 부근 화단 - 힘차게 솟아나는 둥굴레 싹이 가자니아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 G9 접사 G9 - 동네 화단 2024년 04월 20일. s22. 화단 핸폰 Q9 핸폰 - 둥굴레 꽃이 화단에 만발하였다. - 꽃은 많이 봤지만 열매가 맺힌 것은 처음 본다. - 검게 익은 열매 2024. 4. 20.
딸기_빨강꽃 # 딸기_빨강꽃 - 빨간 부추꽃을 보고 놀랐던 것이 얼마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빨간 딸기 꽃을 보았다. - 빨간 꽃이 피었을 때 설마 여기에서 딸기가 열릴까라고 의심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딸기가 열렸다. 2024. 4. 20.
은쑥 # 은쑥 - 이름은 쑥인데 영하 10도에도 거뜬하다. 2024. 4. 20.
모란5_하양1_옥황슈퍼 근처 # 모란5_하양1 이 꽃을 보고 있으면 근심이 사라진다. 이 이야기를 아는 형님께 말씀드렸더니 "소수화(消愁花)"하고 이름을 지어 주셨다. - 가지 위쪽에 백모란의 꽃몽오리가 보인다. G9 - 천국계단을 올라가면 옥황슈퍼가 나온다. 지금은 슈퍼가 아니고 쓰레기장처럼 변했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왼쪽에 2층집이 보인다. 이집에서 작년에 아주머니에게 사진 촬영 허락을 받았다. 수요일에는 사진을 찍을 수 있을지.... - 다른 모란은 꽃이 활짝 피었는데, 백모란은 아직 생각도 없다. - 오늘은 노란색의 몽오리가 확실하게 보인다. - 점심을 먹고 산책 겸 증산도서관쪽으로 해서 옥황슈퍼 골목으로 향했다. 모란이 피었나 살펴보는데 할머니 뒷모습이 보였다. 반가워서 "안녕하세요..~~"라고 했더니, 할머.. 2024. 4. 20.
양다래_키위 # 양다래_키위 증산동 - 벌써 순을 따먹을 시기가 지난듯하다. 봄나물의 대명사 다래순 봄에 따서 삶아서 냉장고에 두면 파릇파릇한 나물을 1년 내내 먹을 수 있다. Q9 - 새순을 이제는 그만 드셔야 다래가 열릴터인데....다래에는 관심이 없으신가 보다. 다래는 시장에서 언제나 살 수 있지만, 순은 때가 있으니.... 이것도 하나의 방법일듯하다. 2024. 4. 20.
만첩홍도 # 만첩홍도 - 5일에 꽃이 피기 시작하기에 한참 뒤에 갔더니 지고 있었다. 2024. 4. 20.
모란_보_칠산아파트 # 모란_보_칠산아파트 - 꽃이 지고 열매가 맺혔다. 꽃이 지면 속에 있던 5개의 씨방이 자란다. 적게는 2개짜리도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 가지는 보통 하나에서 3가로 갈라지고 한 가지에는 대략 5개씩의 잎이 달린다. 2024. 4. 20.
장미매발톱_자노_칠산아파트 # 장미매발톱_자노 2024. 4. 20.
수선화4_하양 # 수선화4_하양 칠산아파트 2024. 4. 20.
돌산갓꽃 # 돌산갓꽃 2024. 4. 20.
모란_목단1_홑_이화소방 화단 # 모란_목단1_홑_이화소방 화단 - 가지에서 붉은 새순이 나오고 있다.      - 드디어 분홍색 꽃잎이 보인다.                                    이화소방 화단  - 꽃잎이 떨어지고 있다.       이화소방 화단 - 11시 27분 모란이 활짝피었다.   - 13시 11분.  모란이 시들기 시작한다.  - 이 몽오리도 따뜻한 햇살을 받고 내일 아침이면 활짤 피어 있을 것이다.  년 4월 27일>- 24일 몽오리졌던 것이 오늘은 활짝 피었다. 24일 피었던 꽃은 형태가 사라졌다.  - 24일 피었던 몽오리. 꽃이 진 몽오리에 새로운 꽃이 피었다.    년 4월 28일>  - 2022년에 비해 개화가 빠르고 낙화도 빨랐다. 모란은 사람이 겨울을 준비하듯 솜옷을 꺼내 입었다. .. 2024. 4. 20.
모란4_증산동 # 모란4_증산동 남경 앞 펫카폐 증서빌라 남경 앞 남경 앞 증산동 박태기 앞집 버려진 정원?? 2024. 4. 20.
두릅2_참두릅 # 두릅2_참두릅 - 확실히 2023년보다 싹이 늦다. - 같은 증산동이지만 다른 곳보다 새순이 자라는 속도가 빠르다. 다른 곳은 아직 껍질에 싸여 있다. 증산동 텃밭 - 증산동# - 늘 부러운 집이다. 집 뒤에 두릅나무. 증산동 텃밭 - 이른 곳에는 두릅 싹이 올라왔다. 핸폰s22 - 5일만에 올라간 밭에는 두릅이 더벅머리를 뽑내고 있었다. 3일 뒤면 나물로 변신할 수 있다. 증산동 - 3일 뒤면 먹기 좋게 자랐을 것이다. 그 때를 기억한다면.... _증산동 - 두릅을 오래 먹는 방법. 순이 자라면 하나씩 따서 먹는다. 집안에 두릅나무가 있는 것이 너무 부럽다. - 동네 골목 뒤에 이런 곳이 있다. - 새 순을 딴 주변에 여러 개의 싹이 돋았다. 새 순을 따면 나무가 자라지 못할 것같지만 사실은 더 많.. 2024. 4. 20.
나무딸기_멍석딸기 # 나무딸기_멍석딸기_산딸기   - 땅속 줄기에서 새순이 나온다.   - 이 어린 잎에서, 한달 뒤면 꽃이 피고 두달 뒤면 산딸기를 먹을 수 있다.              - 여름 방학 때쯤에면 빨간 딸기가 소담스럽게 열려 있을 것이다. 한 달을 꾹 참고 기다리자.     - 산딸기 새 순.   Q9       - 오랜만에 산에 올라 갔더니 멍석딸기는 벌써 다 익어서 떨어지고 있었다.           - 산딸기 잎 - 앞면  - 뒷면 2024. 4. 20.
영산홍3_진홍 # 영산홍3_진홍 - 설명을 읽어도 구분이 잘 안되는 영산홍과 철쭉.           경성대 중앙도서관                G9        한신빌라 입구.      - 쇠창살에서도 꽃은 피는가?     년 5월 03일> G9 - 꽃이 지기 시작한다.   - 모든 꽃이 지고나면, 어떤 꽃이 피었었는지 헛갈린다. 2024. 4. 20.
옥매화 # 옥매화 G9 2024. 4. 20.
심산앵초 # 심산앵초 2024. 4. 20.
설앵초_동서남북 앞 # 설앵초   - 꽃모양은 일반 앵초와 비슷하다.             S22 2024. 4. 20.
미나리아재비 # 미나리아재비_겹 2024.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