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5

동네한바퀴 # 불광천 - 저 돌에 있는 작은 흙으로 버드나무가 뿌리를 내렸다. 언제까지 살아 있을지가 궁금하다.  # 숭실고 비단산 입구 - # 소래풀꽃    # 튤립        # 수선화    # 영산홍  - 언뜻보면 이 나무에서 핀 꽃이라고해도 믿겠다. 사철나무에 얌전하게 떨어진 벚꽃잎.   # 민들레 # 벽화 2024. 4. 12.
목련3_자목련1 # 목련3_자목련_자주목련1 한신빌라 # 창가의 햇살을 받은 아이들이 반쯤 피었다. - 담장 위에 보라색이 아스라이 보이기 시작한다. 부산은 이미 목련이 진다. 증산동 증산동 - 백목련보다 늦게 피는 자목련도 이제 만개했다. - 누가 보면 다른 나무를 찍은 줄 알 수있다. 거의 별목련의 색깔로 변했다. 자연의 신비. 누가 아래 사진이 같은 나무라고 생각하겠는가. '자목련'이라고 입력하면서도 사기치는 기분이 들어 미안해진다. 2024. 4. 12.
우슬( 牛膝 ) # 우슬( 牛膝 )_쇠무릎 - 비름과에 속하기 때문에 잎도 비름과 비슷하다. 마디가 소의 무릎과 비슷해서 이름이 쇠무릎_우슬이다. - 한자로는 對節菜(대절채), 山莧菜(산현채), 牛莖(우경), 懷牛膝(회우슬) 등 다양하다. - 작년에 우슬이 자랐던 곳에서 새싹이 돋고 있다. - 가운데는 녹색, 가장자리는 연붉은색이다. - 올해는 꽃 뿌리를 캐서 차라도 끓여 마셔볼 요량이다. - 우슬꽃 - 야산에 자라는 우슬 - 앞면 - 뒷면 - 언뜻보면 감잎처럼도 보인다. 2024. 4. 12.
박태기나무4_불광천 # 박태기나무_불광천 G9 2024. 4. 11.
영산홍_보라색 # 영산홍_보라색 - 보라색 영산홍은 자산홍(紫山紅)이라고... 화단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색이다. 사진기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연노랑 꽃몽오리가 피어나고 있다. - 새싹이 돋아 난다. - 어느덧 작은 꽃몽오리가 올라왔다. - 화분에는 벌써 꽃이 피었다. 증산로 화단 - 오늘 영산홍 꽃몽오리가 퍼지는 것을 보았다. 연서중 버스정류장 앞 화단. 죽전 - 여기는 아직 몇 송이에서 꽃잎이 펴지고 있다. G9 증산로 G9 반홍산 - 아직도 피지 못한 영산홍이 꽃을 피웠다. 2024. 4. 11.
꽃잔디1_진분홍 # 꽃잔디1_진분홍 칠산아파트 화단 G9 미장원 앞 빌라 - 비가 오늘 날은 꽃사진은 더 아름답다. 경로당 옆집 화단 봉산 기슭 응암동 골목시장 꽃집 건너편. 2024. 4. 11.
머위_머위꽃 # 머위_머위꽃 - 어릴 때는 발음나는대로 '머우', '머구' '머귀'라도 불렀다. - 연한 새잎에 돋아난다. 머위는 시골 뒷뜰과 야산의 응달에서서 흔하게 본다. 증산동 텃밭 비탈 - 겉껍질을 벗긴 것같은 머위의 싹 - 한쪽이 벌어지면서 파란 잎이 보이기 시작한다. S22. 응암동 텃밭. - 죽은듯하던 뿌리에서 싹이 돋기 시작했다. - 작은 잎이 몇 개 나오고 나면 속에서 연녹색 꽃대가 올라오며 하얀 꽃몽오리가 보인다. - 삼성빌라 텃밭 올해는 무슨 이유인지 다른 곳 보다 꽃대가 느리다. 응암동 텃밭 - 태어나서 처음보는 머위꽃. 어려서부터 늘 먹었지만 이것이 머위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G9 - 머위의 꽃이 올해 필지 안 필지, 피면 언제즘 필지 궁금하다. - 문영마운틴 앞 텃밭에 머위가 보이.. 2024. 4. 11.
까치_숭실고 # 까치_숭실고 2024. 4. 11.
포포나무(pawpaw) # 포포나무(pawpaw)_인디안바나나 - 숭실고등학교 정문 부근 비탈길.열매는 바나나와 망고를 합친맛이라고 한다. 2024. 4. 11.
할미꽃_갈색 # 할미꽃_갈색  - 색이 참 묘하다. 처음보는 색깔의 할미꽃이다. 빨간색과 갈색이 섞인 느낌.     - 꽃대가 쓰러졌다. 꽃만 지는 것이 아니고. 꽃대도 함께 넘어졌다. 2024. 4. 11.
튤립_홍겹 # 튤립_홍겹 - 튤립은 늘 홉겹인줄 알았다. 2024. 4. 11.
으름_연복자(燕覆子) # 으름_연복자(燕覆子) 증산동 분토골 부근 - 일명 한국바나나.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으로도 불린다. 자주색꽃이 피고지고 있다. 씨가 많아서 품에 비해 먹는 양이 적지만 너무달지도 않은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증산동 - 덩굴에 열매가 잘 보이지 않는다. 2024. 4. 11.
박태기나무2_증산동 # 박태기나무1_증산동 - 한자로 자형화(紫荊花)라고 불린다. 염료로도 사용한다. 박태기꽃은 생각보다 꽃이 오랜 기간동안 피어 있다. 약 두 달정도. 분토골 공원에서 와산교로 가는 골목 증산동 분토골 공원에서 와산교로 가는 골목 - 올해는 가지를 정지해서인지 단촐하다. - 올해도 꽃이 늦었다. 오늘은 이집 아주버니를 만났다. 작년에 가지를 잘랐더니 꽃이 늦다고... - 콩 꼬투리가 맺히고 시작한다. 2019년 같은 날에는 아직도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올해는 확실히 봄꽃의 개화가 빠르다는 것을 또 한번 확인했다. - 아카시아 열매처럼 박태기나무 열매가 다닥다닥 여물어 간다. - 콩 꼬투리에 작은 열매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4. 4. 11.
튤립6 # 튤립6 - 이 아름다운 꽃은 원산은 터기이다. 수색교지나 월드컵경기장 가는 첫번째 다리 앞 - 속사귀 속에 노란색 꽃망울이 보인다. 한 일주일 뒤면 꽃대가 올라올 것이다. - 2022년에 비해 개채수가 많이 줄었다. 날씨 탓인지 사람 탓인지. 응암역 부근 2024. 4. 11.
지당화_황매화_홑 # 지당화_황매화_홑 분토골공원. - 서울에서는 홑꽃을 올해 처음봤다. 올해 이곳에 처음 심었으니.... 불광천 2024. 4. 11.
개복숭아_불광천 # 개복숭아_불광천 2024. 4. 11.
청둥오리_오리소리 # 청둥오리  - 세상에 청둥오리 소리를 오늘 처음 들었다.     s22- 청둥오리 새끼들이 섬에서 편안한 쉬식을 취하고 있다. 2024. 4. 11.
모과나무_꽃 # 모과나무_꽃_목과(木瓜)_(木果)   증산동 - 연녹색 싹과 꽃몽오리가 함께 피어난다.  2021년 3월 14일> 증산동 - 같은 시기 다른 느낌. 한쪽에서는 새싹이 돋고, 한쪽에는 작년에 열린 모과가 말라 붉은색으로 변해 가지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려 있다.  - 이제 여기 저기에서 싹이 튀어 나온다.        - 봄 모과   - 모과꽃 몽오리가 분홍색으로 변했다.      - 증산로에서 연서중학교 가는 작은 사거리에 있는 모과 나무        - 꽃잎이 피면서 잎도 함께 자라고 있다.             - 모과나무에 싹이 나고 3주만에 작은 주머니에서 바알간 꽃잎을 꺼내고 있다.        G9     _증산동- 분홍색 모과꽃        년 4월 17일>       - 철부지 모과꽃. 다.. 2024. 4. 11.
무화과_응암동 # 무화과(無花果)_응암동 - 어린 무화과. 주로 익은 열매를 날로 먹던가 말려서 간식으로 많이 먹었다. 말린 것은 좀 달다는 흠이 있다. 응암동 지물포 응암동 응암동 - 시장에서 파는 무화과는 철이 지난지 오래건만, 이 화분의 무화과는 이제, 가운데에 붉은색을 띤다. 2024. 4. 11.
모란_홍겹_부산 # 모란_홍겹_부산 남천 - 올해 처음 만남 모란이다. 서울은 아직 깜깜. # 같은 날 서울~~ 2024. 4. 11.
일본목련과 백목련의 차이 # 일본목련과 한국목련의 차이 - 일본목련은 예전부터 후박나무 또는 함박꽃나무라고 불렸다. 1. 잎이 나고 꽃이 핀다. 2. 어린 꽃몽오리는 붉은색이 섞인 노란색이다. 3. 꽃은 붉은색을 띠는 아이보리색이다. 3. 하나의 가지에서 1개의 꽃이 핀다. 4. 걷껍질을 제외한 꽃잎이 8개 5. 꽃잎이 짧다. 6. 꽃잎이 두껍다 7. 꽃 속에 도토리 모양의 빨간 꽃술이 있다. 1. 꽃이 피고 잎이 난다. 2. 어린 꽃몽오리는 녹색이 섞인 노란색이다. 3. 꽃은 아리보리색을 띠는 백색이다. 3. 하나의 가지에서 여러 개의 꽃이 핀다. 4. 걷껍질을 제외한 꽃잎이 6개 5. 꽃잎이 길다. 6. 꽃잎이 얇다. 7. 꽃 속에 송기같은 녹색 꽃술이 있다. 2024. 4. 11.
영산홍_하양 영산홍_하양 - 색이 하얗다고 백영산 G9 Q9 - 늦둥이 영산홍. 2024. 4. 11.
불두화_남천동 # 불두화_남천동 2024. 4. 11.
서부해당_수영도서관 앞 서부해당 2024. 4. 11.
줄딸기_연분 # 줄딸기_연분 - 줄딸기의 꽃도 하양, 연분홍 2종이 있다. 분홍. 금련산. ++++++++++ 반홍산 배수지 부근. - 북한산에서 만난 줄딸기. 정말 어릴 때 먹던 그 맛이 났다. 먹다보니 막상 사진은 못찍었다. 다음에는 날을 잡아 긴팔을 입고 가서 따먹어야겠다. 2024. 4. 11.
금련산 2024. 4. 11.
줄딸기_백 # 줄딸기_백  . 하양.    금련산. 2024. 4. 11.
무화과_부산 # 무화과_부산 # 무화과(無花果) - 어린 무화과. 주로 익은 열매를 날로 먹던가 말려서 간식으로 많이 먹었다.말린 것은 좀 달다는 흠이 있다. - 이제  무화과 눈이 보이기 시작한다.  - 새싹이 생각보다 늦게 돋는다.    핸폰 Q9 부산 금련산 - 벌써 열매가 열렸다.    S22         Q9 부산   Q9 금련산       S22 2024. 4. 11.
맥문동1 # 맥문동1   - 반홍산 산책로의 맥문동 년 3월 23일>  증산로 화단 영산홍 군락지 - 작년 가을보다 더 진하고 검다.   증산역 막걸리공장 부근 화단.- 흙을 밀고 부수며 맥문동의 가늘고 여린 녹색의 새싹들이 올라온다.  G9 - 증산동 도서관에서 해담는다리로 건너기 전 화단 모퉁이에 맥문동을 베어낸 자리에 새싹이 돋았다.새삼 알았다 잘라야 새싹이 나는구나. 그냥 둔 화단에는 새싹이 없는 것이 당연....   - 맥문동 새싹이 못자리의 모처럼 연녹색의 잎을 뽐내며 자라고 있다.왠지 연두색은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 보라색 맥문동 꽃이 활짝 피었다. 항상 사진을 찍으려고 생각하지만 꽃피는 시기를 놓쳤다.  - 아직 남아 있는 꽃이 맥문동임을 증명한다. - 꽃이 떨어지고 익어가는 열매.. 2024. 4. 7.
벚나무_보라 # 벚나무_보라 증산 월드빌 화단 증산 월드빌 화단 - 불광천 벚꽃보다 늦게 피고 색이 분홍색이다. - 하얀 벚꽃 사이로 분홍색이 보인다. - 불광천 월드컵경기장 부근 2024.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