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역사박물관10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0_기본진열4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70_기본진열45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7 ◆ 16. 투채도철문방정(鬪彩饕餮紋方鼎)_채색한 도출문양 네모 정. - 청(淸)_강희제_1661~1722. - 1973년 유림시 수덕현 출토. * 투채(鬪彩): 명청시기 도자기 채색 기법의 하나. 유약 속에는 청화(靑花), 유약 위에는 채색을 결합해서 만드는 도자기 장식공예. ◆ 19. 장유묘금공작모란문집호(醬油描金孔雀牡丹紋執壺)_간장색 유약을 바르고 금으로 공작과 모란 문양을 그린 손잡이 가 있는 병. - 명(明)_가정 연간(1522~1566) - 1959년 동천시(銅川市) 요주구(耀州區 사구(寺沟) 출토. ◆ 용천요하엽개관(龍泉窯荷葉蓋罐)_용천요에서 만든 연잎 모양 뚜껑이 있는 단지. - 원(元)_1271~1368. .. 2023. 11. 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9_기본진열4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9_기본진열44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6 ◆ 1. 금은사리탑 - 송(960~1279) - 위남시(渭南市) 백수현(白水縣) 묘각사(妙覺寺) 지관(地官) 석탑 출토. ◆ 2. 유금참화경동(瑬金鏨花經筒)_도금하고 꽃을 파서 새긴 경전 통. - 요(遼)_916~1125. - 2009년 징집. ◆ 3. 금관(金棺) - 북송(北宋)_960~1127. - 함양시 무공현 북쪽 보본사(報本寺)탑 지관 출토. ◆ 4. 권초문은관(卷草紋銀棺)_말린 풀 문양이 새겨진 은관(銀棺) - 요송 시기(916~1179) -2001년 4월 징집. ◆ 5. 은관(銀棺) - 북송_960~1127. - 함양시 무공현 보본사탑 지관 출토. ◆ 6. 유금쌍봉문녹정은함( 瑬金雙鳳紋盝頂銀函)_도금한 두 마.. 2023. 11. 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8_기본진열4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8_기본진열43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5 ◆ 09. 진묘수(鎭墓獸)_묘를 지키는 짐승 - 남조(南朝) 420년~589년 -1982년 안강시(安康市) 장령(長嶺) 출토 ◆ 10. 답추용미용(踏錐舂米俑) - 서위(西魏) 535년~556년 - 1984년 함양시 호가구(胡家沟) 후의묘(侯義墓) 출토 ◆ 11. 도양(陶羊)_흙으로 빚은 양 - 북조(北朝) 386년~581년 - 1958년 3월 20일 징집 *살이 통통한 양의 모습을 너무 귀엽게 만들었다. ◆ 12. 채회인면진묘수(彩繪人面鎭墓獸)_채색된 사람 얼굴의 무덤을 지키는 짐승 - 서위(西魏) 535년~556년 - 1977년 한중시(漢中市) 최가영(崔家營) 출토 *보수 중 ◆ 13. 도우(陶牛)_흙으로 빚은 소. -.. 2023. 1. 1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7_기본진열4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7_기본진열42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4 ◆ 01. 청자 우(靑瓷盂)_청자 사발 - 서진(西晉) 266년~316년 - 보계시(寶鷄市) 출토 ◆ 02. 청자 수우(靑瓷唾盂)_청자 침 그릇 - 서진(西晉) - 섬서박물관 소장 * 이름은 청자지만 거의 노란색에 가깝다. ◆ 03. 청자 사형촉대(靑瓷獅形燭臺)_사자 모양 촛대 청자 - 남조(南朝) - 안강시(安康市) 자양현(紫陽縣) 출토 ◆ 04. 청자 사계관(靑瓷四系罐)_네 개의 고리가 있는 청자 단지 - 서진(西晉) - 서안시 출토 ◆ 05. 청자 천계호(靑瓷天鷄壺)_청계 호 - 동진(東晉) - 안강시(安康市) 출토 ◆ 06. 청자 육계관(靑瓷六系罐)_여섯 개 고리가 있는 청자 단지 - 남조(南朝) 안강시(安康市) .. 2023. 1. 8.
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6_기본진열4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6_기본진열41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3 # 남조(南朝) ◆ 19. 호인용(胡人俑)_오랑캐 토용 - 남조(南朝) 420년~589년 - 안강시(安康市) 출토 ◆ 18. 호인용(胡人俑)_오랑캐 토용 - 서위(西魏) 535년~556년 - 1984년 함양시 호가구(胡家沟) 후의묘(侯義墓) 출토 ◆ 17. 궤기낙타(跪起駱駝)_무릅 꿇고 있다 일어나는 낙타 토용 - 북주(北周) 557년~581년 - 2009년 징집 *낙타의 콧구멍도 섬세하게 묘사했다. ◆ 16. 재사낙타(載絲駱駝)_비단을 실은 낙타 토용 - 서위(西魏) 535년~556년 - 1984년 함양시 호가구(胡家沟) 후의묘(侯義墓) 출토 ◆ 15. 재원낙타(載阮駱駝)_원(阮)을 실은 낙타 토용 - 서위(西魏) 53.. 2023. 1. 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5_기본진열4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5_기본진열40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2 ◆ “승평십삼년(升平十三年)”이 새겨진 착금니통(錯金泥筩)_금을 박아 넣은 통 - 16국 전량(前凉) 320년~376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이 통은 369년에 만들어 졌다. 제작이 매우 정교하고 모양이 특이한데, 진흙으로 만든 도장을 보관할 때 사용하였다. 이 통은 아마도 전량의 황제가 왕국에서 사용하던 물건으로 보인다. 외부에 장식의 용호문을 아로새긴 띠 모양의 형태는 한대의 풍격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지(纏枝) 장식은 초기 서쪽 예술로 고장(姑臧:지금의 감숙성 무위(武威)이다.)의 영향이다. 전량은 전진(前秦)에게 멸망한 후 이 통은 아마도 그 소유자를 따라 장안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전지(纏枝) 중국 전통.. 2023. 1. 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4_기본진열3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4_기본진열39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1 # 위(魏)나라와 촉(蜀)나라가 서로 싸우다 ◆ 도루(陶樓)_흙으로 빚은 누각 - 魏晉시대 - 화양시 문화관 조발(調發:임대) - 누각 1층 안쪽에 사람이 있다. ◆ “치백오수(直百五銖)”가 새겨진 화폐[錢] - 삼국(三國)시대 - 안강박물관(安康博物館) 임대 ◆ 동질려(銅蒺藜)_구리로 만든 마름쇠 - 삼국(三國)시대 - 한중시(漢中市) 출토 *못에 있는 마름 뿌리를 닮아서 이름이 마름쇠이다. ◆ “정시삼년(正始三年)”이 새겨진 동노기(銅弩機)_쇠뇌. - 삼국(三國)시대 - 섬서박물관 소장 ◆ 예서착기승문묘전(隸書戳記繩文墓磚)_예서체 글씨가 있는 끈문양 무덤 벽돌 - 16국시대_전진(前秦) - 서안시 호읍구(鄠邑區) 학가.. 2023. 1. 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3_기본진열3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3_기본진열38 # 한대(漢代)12 ◆ 한나라 병마용- 漢나라- 함양시 양가만(楊家灣) 출토  ◆ 마답석조(馬踏石彫)_- 말이 흉노를 밟고 있는 석조물.- 말도 애국을 한다.   ◆ 기마병 토용  ◆ 유금동잠(瑬金銅蠶)_구리에 도금한 누에- 漢나라- 안강시(安康市) 석천현(石泉縣) 출토  #  ◆ 채회도마(彩繪陶馬)_채색한 도기 말- 漢나라- 함양시 흥평현(興平縣) 출토 *말 다리 아플까봐 배에 버팀목을 설치했다.  ◆ 쌍타문 금패식(雙駝紋金牌飾)_두 마리 낙타문양이 있는 금 장식- 전국(戰國)~서한(西漢) BC.475~AD.9년- 서안시 북쪽 교외 용수촌(龍首村) 출토  ◆ 기마족부문 투조 동대식(騎馬捉俘銅)_기마병이 포로를 잡는 문양의 투조 구리 허리띠 장식- .. 2022. 12. 3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2_기본진열3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2_기본진열37 # 한대(漢代)11 # 과학기술문화2 ◆ 동구(銅狗) - 전국(戰國)~서한(西漢) BC.475~AD.9년 - 신목시(神木市) 출토 ◆ 동록(銅鹿) - 전국(戰國)~서한(西漢) BC.475~AD.9년 - 신목시(神木市) 출토 ◆ 동비수(銅匕首)_구리 비수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호읍구(鄠邑區) 노욕(澇峪) 출토 ◆ 동검(銅劍) - 전국(戰國)~서한(西漢) BC.475~AD.9년 - 신목시(神木市) 출토 ◆ 응호상투문 동대식(鷹虎相鬪紋銅帶飾)_매와 호랑이가 싸우는 문양이 새겨진 구리 허리띠 장식 - 漢나라 - 섬서박물관 소장 ◆ 마형투조 동대식(馬形透彫銅帶飾)_투조 방식으로 만든 구리 허리띠 장식 - 漢나라 - 섬서박물관 소장.. 2022. 12. 2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1_기본진열36(이하 해설 미번역)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1_기본진열36 # 한대(漢代)10 # 과학기술문화 2022. 12. 2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0_기본진열3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60_기본진열35 # 한대(漢代)9 ◆ 도박산로(陶博山爐)_흙으로 빚은 박산향로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서쪽 교외 노동로 춡토 *마치 웃고 있는 가오리와 닮았다. ◆ 자뢰(瓷罍)_자기로 만든 술독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봉서원(鳳栖) 언덕 장안세(張安世) 가족묘 출토 - 섬서성 고고연구원 소장 ◆ 쌍구유금각명동편호(雙口瑬金刻銘銅扁壺)_유금하고 명을 새긴 주둥이가 2개인 편호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양쪽의 둥글고 좁은 면에 포수가 있다. ◆ 채회안어등(彩繪雁魚燈)_ 기러기가 물고기를 물고 있는 모양의 채색한 등잔 - 한(漢) BC.202~AD.220년 - 신목시(神木市) 출토 .. 2022. 12. 2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9_기본진열3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9_기본진열34 # 한대(漢代)8 ◆ “위지삼공(位至三公)”이 새겨진 동경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상부 중앙에 “位至" 2자, 하부 중앙에 '三公” 2자가 있고, 왼쪽과 오른쪽에는 대칭되는 문양이 있다. ◆ 청동 종(靑銅鍾)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봉서원(鳳栖) 언덕 장안세(張安世) 가족묘 출토 - 섬서고고연구원 소장 ◆ 유금동호진(瑬金銅虎鎭)_구리에 도금한 호랑이 모양 서진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동혼가(東昏家)”가 새겨진 구리 등잔_동정(銅燈)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손잡이가 길이서 불편해 보이지만, 모양이 예쁘다. 사.. 2022. 12. 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8_기본진열3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8_기본진열33 # 한대(漢代)7 ◆ “중사관(中私官)”이 새겨진 구리 그릇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쌍어동우(雙魚銅杅)_2마리 물고기 새겨진 세수대야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출토 * 2마리 물고기 사이에 "군의자손(君宜子孫)"?? 4글자 새겨져 있다. 아이들이 이 그릇에 세수를 하면 엄청 재미있어 할 것같다. 그릇에 물고기가 있으니 세수하기 싫은 아이도 물고기 보려고 얼굴을 숙였을 것이다. 동으로 만든 세숫대야는 전국말기에 처음 등장하여 한대에 와서 가장 유행하였다. ◆ “원흥원년당랑작(元興元年堂狼作)”이 새겨진 구리 세숫대야 - 한(漢) BC.202~AD.220년 - 1972년 면현(勉縣) 한묘(漢.. 2022. 12. 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7_기본진열3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7_기본진열32 # 한대(漢代)6 # 상고시사(商賈市肆)_상인과 시장 - 한나라 초기에 정부는 상업에 있어 느슨한 정책을 펼쳐 교통이 날이 갈수로 편리해져 상업무역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수도인 장안에서 낙양(洛陽) 한단(邯鄲), 임치(臨淄), 완성(宛城), 성도(成都) 등 대도시에 이르기까지가 모두 대등하게 유명한 상업중심이었다. 실크로드가 생기면서 한대의 대외무역 또한 급속하게 성장하여 장안은 당시에 유명한 국제대도시가 되었다. ◆ 인지 금(麟趾金)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염가항(閆家巷) 출토 - 왼쪽이 금으로 만든 기린의 발이고, 오른쪽이 금으로 만든 말발굽이다. 금으로 만든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의 발모양이라. 참 신기할 따름이다. ◆.. 2022. 12. 1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6_기본진열3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6_기본진열31 # 한대(漢代)5 # 야련직조(冶煉織造) ◆ 장유녹채운문도준(醬釉綠彩雲紋陶尊)_흙으로 빚고 간장색 유약을 바른 녹색의 구름 문양이 있는 그릇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사신규구문경(四神規矩紋鏡)_4신과 그림쇠 문양이 있는 거울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거울의 가장자리에 8개의 곡자 문양이 있고, 안쪽에는 4개의 직자[T] 문양이 있다. *규구: 직자와 곱자 ◆ 자종(瓷鍾)_도자기 그릇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01. 유리이배(琉璃耳杯)_유리로 만든 손잡이가 있는 잔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삼도항(三道巷) 출토 *이.. 2022. 12. 1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5_기본진열3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5_기본진열30 # 한대(漢代)4 ◆ 04. 채회도방(彩繪陶倉)_흙으로 빚고 채색한 창고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파교구(灞橋區) 출토 ◆ 05. 녹문균(鹿紋囷)_사슴 문양이 있는 곳집 - 한(漢) BC.202~AD.220년 - 연안시(延安市) 부현(富縣) 출토 ◆ 06. 갈유계개균(褐釉鷄蓋囷)_흙으로 빚고 갈색 유약을 바른, 닭 모양 뚜껑이 있는 곳집 - 한(漢) BC.202~AD.220년 - 연안시(延安市) 부현(富縣) 출토 ◆ 도마(陶磨)_흙으로 빚은 맷돌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곳집과 맷돌 ◆ 07. 녹유복양준(綠釉伏羊尊)_녹색 유약을 바른, 엎드린 양 모양 술잔. - 한(漢) BC.202~AD.. 2022. 12. 1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4_기본진열2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4_기본진열29 # 한대(漢代)3 ◆ 채회도종(彩繪陶鍾)_흙으로 빚고 채색한 그릇[鍾]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채회견형도호(彩繪繭形陶壺)_흙으로 빚고 채색한 누에 고치모양의 병 - 한(漢) BC.202~AD.220년 - 위남시(渭南市) 포성현(蒲城縣) 평로묘(平路廟) 마가촌(馬家村) 출토 ◆ 채회도방(彩繪陶鈁)_흙으로 빚고 채색한 술그릇[鈁]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임동구 신풍진(新豐鎭) 출토 ◆ 청유포수함환배쌍이자종(靑釉鋪首銜環雙耳瓷鍾)_푸른 유약을 바른 2개의 문고리 모양이 있는 도자기 그릇[鍾]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출토 ◆ 철화(鐵鏵)_쇠가래 - 한(漢) BC.20.. 2022. 12. 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3_기본진열2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3_기본진열28 # 한대(漢代)2 # 토용(土俑)_허수아비 ◆ 채회기좌여용(彩繪跽坐女俑)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파교구(灞橋區) 강촌(江村) 출토 ◆ 포순남용(抱盾男俑)_방패를 잡고 있는 남자 토용.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당가촌(唐家村) 출토 ◆ 채회여입용(彩繪女立俑)_채색한 서 있는 여자 토용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채회여입용(彩繪女立俑)_채색한 서 있는 여자 토용 - 한(漢) BC.202~AD.220년 순릉구(純陵區) 한가만(韓家灣) 낭가구(狼家沟) 출토 ◆ 채회보명용(彩繪步兵俑)_채색한 보병 토용 - 한(漢) BC.202~AD.220년 - 함양시 장릉구(長陵區) 유지.. 2022. 12. 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2_기본진열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2_기본진열27 # 한대(漢代)1 # 대한 웅풍(大漢雄風) # 서한(西漢) 강역도 - 현재의 티벳이 포함되어 있고, 운남은 포함되지 않았다. # 한도 장안(漢都長安) - 한나라의 수도 장안. 장안(長安)은 현재 西安의 옛 이름으로 장치구안(長治久安)의 줄임말이다. 󰡔漢書·賈誼傳󰡕의 “建久安之勢, 成長治之業[영원히 안정된 국면을 세우고 오래도록 통치할 기업을 이룬다]”의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중국 문명발상지 중 하나로 일찍이 13개 朝代가 장안을 수도로 삼았는데 이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수도로 삼은 것이다. 규모는 매우 크고, 도시의 구조는 합리적이고, 궁실은 즐비하였고, 시설은 완전하였고, 개방적이고 번역한 한나라 장안성은 한 왕조의 도서 건설 뿐 만아니라.. 2022. 12.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1_기본진열2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1_기본진열26 # 여산석조(驪山夕照)_ 려산에 석양이 비추고 - 秦始皇은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방면에 힘쓰지 않았으나 후세의 많은 사람들에게 거대한 무형유산을 남겼다. 동시에 또 우리들을 위하여 신비하여 헤아릴 수 없고 사람으로 하여금 회상하게 하는 유형의 보고인 진시황릉을 남겨 놓았다. 임동구(臨潼區) 여산(驪山) 자락의 진시황릉에 자리한다. 진시황릉의 원래 이름은 여산(麗山 )으로 진왕 영정(嬴政)의 등극 초기부터 만들기 시작했다. 작업 공정은 성대하고 기백은 웅장하고 매장품은 풍부하여 역대 통치자가 사치스럽고 장례를 호화롭게 치르는 선례를 열었는데, 이 것이 중국 역사상 첫번째 황제의 능원으로 역대 제왕의 능칭제도에 영향이 매우 크다. # 문관(文官).. 2022. 11. 2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0_기본진열2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0_기본진열25 # 황권일통(皇權一統) -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한 후 황제의 제도와 3공6경제와 군현제 등을 건립하였으며, 황권을 강화된 후에는 또 중국 2천년 의 중앙집권 제도의 기초가 확정되었다. 동시에 진왕조는 문자, 화폐, 도량형 및 법률 등 방면에서 통일 정책을 실행하였는 이것 역시 후세에 매우 깊은 영향을 낳았다. ◆ 01. 동방승(銅方升)_동으로 만든 네모 됫박 - 진니라 - 섬서박물관 소장 ◆ 02. 양조동수량(兩詔銅橢量) - 진나라 - 1982년 함양시 예천현(禮泉縣) 약왕동(藥王洞) 양안촌(南晏村) 출토 - 높이 7.3cm, 입 길이 20.8cm, 입 너비 12.5cm, 손잡이 길이 5.7cm. - 량(量)에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내용은 .. 2022. 11.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9_기본진열2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9_기본진열24 # 제3 전시관 ◆ 채회 궤석사(彩繪跪射師) - 진나라 - 서안시 임동구 진시황릉 배장갱(陪葬坑) 출토. ◆ 01. 석개갑(石鎧甲)_돌로 만든 갑옷. - 진나라 - 서안시 임동구 진시황릉 배장갱(陪葬坑) 출토. # 병마용 # 채색한 병사 토용 # 진시황이 개척한 영토 2022. 11. 2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8_기본진열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8_기본진열23 # 횡소육합(橫掃六合) - 기원전 230~기원전 221년 진나라 왕 영정(嬴政)이 6세의 위업을 떨쳐서 역대의 먼 나라와 잘 지내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하는 책략을 계승하여 약한 쪽을 먼저 공격하고 강한 쪽을 뒤에 공격하며 가까운 곳을 먼저 공격하고 먼 곳은 뒤에 공격하는 구체적인 전략 절차를 채용하여 썪은 나무를 꺾는 기세로 초(楚),연(燕),제(齊),한(韓),위(魏),조(趙) 6국을 차례로 멸망시키고 통일국가의 새로운 국면을 열였다. ◆ 동검(銅劍) 14. 연왕직 검(燕王職劍) - 전국시대 - 연안시(延安市) 낙천현(洛川縣) 출토 15. 철검(鐵劍) - 전국시대 - 서안시(西安市) 남전현(藍田市) 출토 23. 동검(銅劍) - 전국시대 - 상락시(商.. 2022. 11. 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7_기본진열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7_기본진열22 # 천하일통(天下一統) ◇ 황황제도(皇皇帝都) - 기원전 350년 秦나라 孝公 역양(櫟陽)에서 함양(咸陽)으로 수도를 옮겼다. 이후 143년 동안 함양은 줄곧 진나라와 진왕조의 도성이 되었다. 함양성은 위하(渭河)의 양안(兩岸)을 넘어 城市의 배치는 어느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건축 구조로, 지리적인 특성에 맞게 잘 이용하고 형세에 따라 합리적으로 계획하였으며 규모가 거대하였다. 6국의 건축기술의 정수를 모두 함축하였기 때문에 “天下第一都”라고 칭하였다. ◆ 01. 구형 동 건축구건(矩形 銅 建築构件) - 秦나라(BC.221~BC.207) - 1974년 서안시 장안현 紀陽公社 小蘇村 출토 ◆ 02. 방형 동 건축구건(方形 銅 建築构件) - 秦나라(B.. 2022. 11. 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6_기본진열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6_기본진열21 # 진(秦)나라5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5) #◆ 청동 용(靑銅龍) - 전국시대 - 섬서박물관소장 ◆ 1. 옥석혜저(玉石鞋底)_옥으로 만든 신 바닥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大墓) 출토 ◆ 2. 옥벽(玉璧)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大墓) 출토 ◆ 3. 옥결(玉玦)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大墓) 출토 ◆ 6. 옥휴(玉觿)_옥 송곳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大墓) 출토 ◆ 7. 석경(石磬)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大墓) 출토 ◆ 9. 옥장(玉璋)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산현 진공(秦公)1호 대묘(.. 2022. 11. 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6_기본진열2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5_기본진열20 # 진(秦)나라4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4) ◆ 32. 양두거비(羊頭車轡)_양머리 모양의 고삐 - 전국시대 - 1959년 서안시 삼교(三橋) 출토 ◆ 32. 유금동산두호(鎏金銅蒜壺)_동에 유금한 마늘모양 병 - 전국시대 - 1977년 보계시 봉산현 고장 출토 ◆ 34. 조개호호(鳥蓋瓠壺)_뚜껑이 있는 새모양 호리병 - 전국시대 - 유림시(楡林市) 수덕현(綏德縣) 출토 ◆ 35. 유금호진(鎏金虎鎭)_유금한 호랑이 모양 서진 - 전국시대 - 섬서박물관소장 ◆ 36. 당양십량동표(當陽十兩銅勺)_동 주걱 - 진(秦)나라 - 함양시 무공현(武功縣) 출토 ◆ 38. 동 편종(銅編鐘) - 전국시대 - 함양시 위성구(渭城區) 출토 ◆ 39. "사.. 2022. 11. 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5_기본진열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5_기본진열19 # 진(秦)나라3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3) ◆ 23. 절곡문동반(竊曲紋銅盤)_절곡문이 있는 쟁반 - 춘추시대 - 1974년 서안시 호현(戶縣) 송촌(宋村) 출토 ◆ 24. 절곡문언(竊曲紋甗)_ *이미지누락 - 춘추시대 - 1974년 서안시 호현(戶縣) 송촌(宋村) 출토 ◆ 25. 수수청동이(獸首靑銅匜)_짐승 머리모양 청동 술그릇 - 춘추시대 - 섬서박물관소장 ◆ 26. 제량동화(提梁銅盉)_손잡이가 있는 동화 - 전국시대 - 연안시 감천현(甘泉縣) 출토 ◆ 27. 반훼문동화(蟠虺紋銅(金+和))_손잡이가 있는 동화 - 춘추시대 - 2001년 4월 징집(徵集) ◆ 29. 용문동대(龍紋銅敦)_용 문양이 있는 동대 - 전국시대 - 섬서박물.. 2022. 11. 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4_기본진열1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4_기본진열18 # 진(秦)나라2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2) ◆ 1. 동화(銅鏵)_동 가래 - 전국시대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출토 ◆ 2. 동벽토(銅辟土)_동 쟁기?? - 전국시대 - 보계시 기산현 출토 ◆ 3. 도균(陶囷) - 진(秦)나라 - 함양시 경양현(涇陽縣) 출토 ◆ 4. 철산(鐵鏟)_철 대패 - 전국시대 - 서안시 임동구 진시황릉 출토 ◆ 5. 철삽(鐵鍤)_철 가래 - 전국시대 - 서안시 임동구 진시황릉 출토 ◆ 6. 철●(鐵●) - 전국시대 - 보계시 봉상현 출토 ◆ 6. 동삭(銅削) - 춘추시대 - 보계시 봉상현 팔기둔(八旗屯) 출토 ◆ 8. "은성려씨(隱成呂氏)"가 새겨진 도부(陶缶:질장군) - 전국시대 - 보계시 봉.. 2022. 11. 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3_기본진열1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3_기본진열17 # 진(秦)나라1 - 秦나라와 진대(秦代) - 秦나라는 기원전 770년~기원전221년까지를 가리키고, 진대(秦代)는 기원전 221년~기원전207년까지를 가리킨다. # 서쪽 기(岐) 땅에 나라를 세우다.(1) - 서주시기 지금의 감숙성 천수(天水) 지역에서 활동하던 秦人은 주왕실의 말을 기르는데 공에 있었기 때문에 주나라 효왕에게 秦땅을 봉지로 받았다. 기원전 770년 秦나라 양공이 주나라 평왕을 호송하여 낙양으로 동천할 때 공이 있어 제후로 봉해지고 岐땅 서쪽지역을 하사받았다. 이때부터 秦人이 정식적으로 국가 정권을 건립하여 제후의 반열에 들어가게 되어 참신한 정치 면모로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게 되었다. ◆ 1. 굉궤(訇簋) *訇: 중국 현대 발음은.. 2022. 11.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2_기본진열1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2_기본진열16 # 장인의 기술과 예술 - 서주시기에는 원시 자기의 사용이 비교적 많았다. 방직기술이 높아짐에 따라 직물제품 중에 평문(平紋:씨실과 날실을 한 올씩 엇바꾸어 천을 짜는 방법) 비단과 암화(暗花:드러나지 않는 꽃무늬) 비단 외에도 또 다채로운 채색 비단과 자수가 출현하였다. 옥기에 선을 새기고, 부조를 만드는 기술, 벽(璧:둥근 옥), 종(琮:서옥), 규(圭:홀), 장(璋:반쪽 홀) 등의 예기(禮器) 및 조수충어를 형상한 장식품에 장식한 형상은 정교하여 살아 있는 것처럼 생동감 있다 ◆ 1. 원시자관(元始瓷罐)_원시 도자 항아리 - 서주 시기 - 보계시 지방두(紙坊頭) 출토 - 원시 청자는 상대 초기에 출현하여 서주 시기에 수량이 증가하였다. 다만 청.. 2022.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