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역사박물관10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1_기본진열1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1_기본진열15 # 청동 예술4 ◆ 1. 수엽기문 뢰(垂葉夔紋罍)_잎이 드리워진 기 문양 술독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제가촌(齊家村) 출토 ◆ 2. 동각도(銅刻刀) *사진누락(전시품 보수중) - 서주 - 서안시 풍동신성(灃東新城) 호경유지 출토 - 섬서성고고연구원소장 ◆ 3. 동각도(銅刻刀) *사진누락(전시품 보수중) - 서주 - 서안시 풍동신성(灃東新城) 호경유지 출토 - 섬서성고고연구원소장 ◆ 4. 령심(玲芯) - 서주 - 보계시 기산현 주원(周原) 장백촌(庄白村) 이가(李家) 청동주조 공방 출토 - 섬서성고고연구원소장 ◆ 5. 수두모(獸頭模)_짐승모양 거푸집 - 서주 - 보계시 기산현 주원(周原) 장백촌(庄白村) 이가(李家) 청동주조 공방.. 2022. 11.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0_기본진열1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40_기본진열14 #청동 예술3 ◆ 일기방준(日己方尊)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제가촌(齊家村) 교장(窖藏) 출토 ◆ 우준(牛尊) - 서주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하가촌(賀家村) 출토 높이 24cm, 길이 38cm, 복심 10.7cm. 술을 담는 그릇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소 모양으로 몸통은 둥글고 머리는 크며 주둥이 부위는 평평하다. 등에 네모난 뚜껑이 있고, 그 위에 호랑이 한 마리가 서 있다. 뚜껑과 소의 등이 고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두껑을 열었을 때 떨어지지 않는다. 등부터 발 부위까지에는 구름 문양과 이무기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손잡이인 호랑이를 잡고 약간 기울이면 술이 주둥이로 나온다. 전체적인 스타일이 세련되고 수법이.. 2022. 10. 3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9_기본진열1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9_기본진열13 # 청동예술2 ◆ 9. 중남보 력((中枏父鬲) - 서주 - 1987년 함양시 영수현 당두진 호치하촌 출토 體現出神秘的氣息 青銅鬲出現於商代前期。這件青銅鬲造型別致,寬寬的口沿向外周折出,頸處收束。圓腹的下部均勻地配置三條牛蹄狀的足,而且每條足的外側都鑄出縱向的凸棱即考古學家所稱的扉棱。每條棱兩側,是淺浮雕式的怒目圓睜的獸面,而扉棱恰位於兩目中間,形同高鼻。這種獸面,就是商周青銅器上最爲流行的饕餮紋。饕餮是古代傳說中的一種貪吃的惡獸,後世多以饕餮喻指貪婪之徒。 無論其口沿部位剛勁的折線,還是其腹部粗眉高鼻的饕餮和三條雄健的蹄足,我們都能從中體會出一股雄性的剛毅之氣。這種大氣的作派和古樸的作風所體現的神秘氣息,正是商周青銅器的魅力所在。鬲在商周時期是烹煮食品的器具,本身兼具了今日的灶和鍋的功能。但青銅鬲當時還是重要.. 2022. 10. 3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8_기본진열1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8_기본진열12 # 청동 예술1 - 서주 시기 청동기는 웅장한 형태, 질박한 무늬, 많은 명문, 뛰어난 공예와 정교한 서법이 자유롭고 다채로와 중국 문화예술의 보고 중의 보고이다. 서주 왕조의 통치지역의 중심인 섬서는 서한 이래로 서주 청동기가 출토된 중요한 지역으로 수량이 많고, 종류가 다양하고, 훌륭한 유물이 많아 전국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하여 청동기의 고향이라는 명예를 얻었다. ◆ 1. 명거보 호(冥車父壺) - 서주 말기 - 1976년 서안시 임동 출토 * 호(壺)의 내벽과 외벽에 각각 서로 같은 명문이 있다. 내용은 “冥車父乍(作)寶壺永用享” 9자이다. 通高51.5cm,口徑18*13.5cm,腹深36.4cm,重19.39kg 此壺橢方形,垂腹,圈足,蓋、器子母口.. 2022. 10. 2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7_기본진열1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7_기본진열11 # 전쟁과 왕래2 ◆1. 함황보정(函皇父鼎)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강가촌(强家村) 출토 這件雄渾大氣的青銅鼎通高58cm、口徑49cm、腹深27cm,重31.5公斤。立耳蹄足,足上部有獸面,腹壁稍外鼓。口沿及腹均飾大竊曲紋。 鼎內有銘文35字,記錄了函皇父爲女兒(或夫人)制作陪嫁禮器的事,其中明確有整套禮器的種類和數量,爲研究當時的禮儀制度提供了可靠的資料。 圅(函)皇父乍琱般(作周妘盤)盉(尊)器,鼎(簋)[一](具),自豕鼎降十又[一]、(簋)八、兩(罍)、兩(壺)。(周妘其)萬年子子孫孫永寶用。 # 동축식(銅軸飾) ◆ 2. 동궁형기(銅弓形器) - 서주 - 섬서박물관소장 ◆ 3. 동거비(銅車轡), 거할(車轄) - 서주 - 위남박물관소장 ◆ 4. 동거할(銅車轄) - .. 2022. 10. 2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6_기본진열1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6_기본진열10 # 전쟁과 왕래1 - 주(周) 왕조가 건립된 이후 전쟁이 끊이지 않아 당시에는 늘 형초(荊楚), 귀방(鬼方), 험윤(獫狁), 동이(東夷), 회이(淮夷) 등의 나라와 전쟁이 발생하였다. 동시에 만은 이웃나라와 우호를 맺고 왕래하며 경제와 문화 교류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문화가 서로 융합하여 청동기의 중류가 다양하게 되었다. ◆ 7. 오년사궤(五年師(㫃+吏)簋) - 서주 - 서안시 장안구 장가파(張家坡) 출토 ◆ 8. 동과(銅戈) - 서주 - 보계(寶鷄) 죽원구(竹圓沟) 출토 ◆ 9. 와문관공월(渦紋管銎鉞) - 서주 - 섬서박물관소장 ◆ 10. 동극(銅戟) - 서주 - 보계(寶鷄) 상원보(桑園堡) 출토 ◆ 11. 동과(銅戈) - 서주 - 섬서.. 2022. 10.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5_기본진열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5_기본진열9 # 예제와 형벌 - ◆ 1.정(鼎) - 서주 - 함양시 ◆ 3.궤보호(几父壺)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제가촌((齊家村) 출토 ◆ 4. 타반(它盤)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제가촌((齊家村) 출토 ◆ 5. 산거보호(散車父壺)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소진촌((召陳村) 출토 ◆ 5. 작종(柞鍾)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제가촌((齊家村) 출토 ◆ 1. 산백거보궤(散伯車父簋)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소진촌((召陳村) 출토 ◆# 정(鼎) 2022. 10. 2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4_기본진열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4_기본진열8 # 채읍과 제후국3 ◆ 24. 열백력(夨伯鬲)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지방두(紙坊頭) 출토 ◆ 23. 맥백치(麥伯觶)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6좌. 곡병두형기(曲柄斗形器)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7우. 아형식(鵝形飾)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6좌. 곡병두형기(曲柄斗形器)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7우. 아형식(鵝形飾)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8. 호유(戶卣) - 서주 - 보계(寶鷄) 청동기박물관소장 ◆ 30. 비릉정(扉棱鼎) - 서주 - 보계(寶鷄) 청동기박물관소장 ◆ 31. 옥완식(玉腕飾.. 2022. 10. 2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3_기본진열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3_기본진열7 # 채읍과 제후국2 ◆ 17. 조생두(琱生豆)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진창구(陳倉區) 고천촌(高泉村) 출토 ◆ 18. 은궤(銀簋) - 서주 - 동천시(銅川市) 요현(耀縣) 정가구(丁家沟) 출토 ◆ 19. “백차보(白車父)” 동수(銅盨) - 서주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하가촌(賀家村) 출토 ◆ 20. 사지궤(史𧧃(臣+舌)簋) - 서주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하가촌(賀家村) 출토 ◆ 21. 백언(伯甗)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2. 백방정(伯方鼎) - 서주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 23. 어계유(𢐗季卣) - 서주 만기 - 보계시(寶鷄市) 죽원구(竹圓沟) 출토 通梁高26厘米,通.. 2022. 10. 2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2_기본진열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2_기본진열6 # 채읍과 제후국1 - # 강력하게 전국의 광대한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서주는 봉건제도를 실행하여 많은 제후에게 봉호를 주어 왕실의 번방을 지키게 하였다. 도성 부근의 왕기(王畿:수도권)와 기주(岐周) 지역은 많은 공경대부에게 채읍을 주었는데, 이미 알고 있는 주(周), 소(召), 필(畢), 성(成), 정(鄭), 서괵(西虢), 산(散), 미(弭), 예(芮), 미(微) 등이 있었다. 이외에도 섬서 경내에 또 약간의 이성 국족이 있었는데 이미 알고 있는 녈(夨), 어(𢐗), 두(杜), 포(褒) 등이다. ◆ 11. 오사위 정(五祀衛鼎) - 서주 - 1975년 보계시 기산현 동가촌 동기교장 출토 출토 - 오사위 정(五祀衛鼎)은 중국 국보급 유물로 구조는 단순.. 2022. 10. 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1_기본진열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1_기본진열5 # 풍호(豊鎬)에 도읍을 세우다. - 주 문왕이 중원을 개척하기 위하여 풍수(灃水) 서쪽 지역에 풍경(豊京)을 건설하였고, 주 무왕이 왕위를 계승하여 풍수 동쪽 지역에 호경(鎬京)을 재건하였다. 풍경은 종묘와 정원이 있는 곳이고, 호경은 주왕의 거주지와 정사를 다스리는 중심지이다. ◆ 1. 오사호중(五祀㝬鍾) - 서주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백가촌((白家村) 출토 ◆ 2. 왕작중희 정(王作仲姬鼎) - 서주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예촌(禮村) 출토 ◆ 3. 누공 두(鏤空豆) - 서주 - 서안시 장안구 장가파(張家坡) 출토 ◆ 4. 맹궤(孟簋) - 서주 - 서안시 장안구 장가파(張家坡) 출토 ◆ 5. 도호(陶壺) - 서주 - 서안.. 2022. 10. 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0_기본진열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30_기본진열4 # 유적과 유물 # 주나라 이전[先周] 세계표 ◆ 10. 기용문 작(夔龍紋) - 상나라 - 1965년 유림시(楡林市) 수덕현(綏德縣) 언두촌(墕頭村) 출토 ◆ 11. 삼양 부(三羊瓿) - 상나라 - 1965년 유림시(楡林市) 수덕현(綏德縣) 언두촌(墕頭村) 출토 ◆ 12. 운뢰문 고(雲雷紋觚) - 상나라 - 1965년 유림시(楡林市) 수덕현(綏德縣) 언두촌(墕頭村) 출토 ◆ 1. 석조 고루상(石彫骷髏像) - 상나라 - 유림시(楡林市) 청간현(淸澗縣) 이가애(李家崖) 출토 수덕현(綏德縣) 언두촌(墕頭村) 출토 ◆ 2. 용수문 과(龍首紋戈) - 상나라 - 유림시(楡林市) 수덕현(綏德縣) 후임가구(后任家沟) 출토 ◆ 3. 수엽문 관이호(垂葉紋貫耳壺) - 상.. 2022. 10. 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9_기본진열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9_기본진열3 # 주나라의 네 이웃 - 기원전 16세기에 상족(商族)이 하나라를 멸망시키고 중원지역에 상왕조를 세웠다. 세력의 범위는 서쪽으로 경수(涇水)와 위수(渭水) 지구까지 이르렀다. 고공단보가 주나라 땅에서 나라를 세웠을 때 상나라는 나라가 쇠퇴하여 관중의 동부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나라는 이때까지도 신하로서 상왕조에 종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 방백(周方伯)”이라고 칭했다. 주나라 주변에는 4개의 이웃 나라가 있었는데, 강나라[(羌方], 정나라(井方], 귀나라[鬼方]과 파나라[巴方]이다. 이 나라의 부족은 주나라와 분쟁도 있었고 잘 지낼 때도 있었지만 함께 섬서 지역의 큰 영토를 개발했다. ◆ 1. 도철문 정(饕餮紋鼎) - 상나라 - 1977년 함.. 2022. 10. 2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8_기본진열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8_기본진열2 # 혁혁종주(赫赫宗周) # 주(周)나라 선주(先周): 하상(夏商)시기_기원전 21세기~기원전 11세기 서주(西周): 기원전 11세기~기원전 771년 - 서주는 중국 초기국가의 중요한 발전 단계이다. # 주나라 사람의 기원 - 기원전 21세기 쯤 하족(夏族)이 중원 지역에서 중국 역사상 첫번째 왕조를 건립하였는데, 같은 시기 경위(涇渭) 유역에는 황토 고원에 희성(姬姓)의 한 파인 부락이 문명시기로 접어들고 있었는데 점점 융성하여 강성한 주족(周族)이 되었다. 주나라 사람은 농업으로 유명했다. 계속 이어져 주나라의 시조인 기(棄)는 하왕조의 농관(農官:농림부장관)이 되었고 호칭을 "후직(后稷)"이라고 하였는데 '직'은 곡물의 신으로 후세에 농업의 시조조.. 2022. 10. 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7_기본진열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7_기본진열1 # 선사시기 이전의 예술 - 선사시대 이전의 사람들은 오랜 생산활동을 하면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끊임없이 탐구하였다. 처음에는 천문과 역벽 등 과학 원리를 인식하고, 또 도등, 점복, 제사 등 정신적인 숭배와 활동을 했으며, 아울러 회화, 음악, 조소 등 예술적인 것도 생산하였다. 문명 기원의 지혜 중에는 선사시기 이전 사람들의 질박한 심미추구와 원시의 신비한 정신신앙이 함축되어 있다. ◆ 43. 흙으로 만든 비녀 - 신석기시대 - 서안시 임동구 강채유지 출토 - 무슨 이유인지 사진을 놓쳤다. 다음에 가서 누락된 사진을 보충할 예정이다. ◆ 44. 골계(骨筓) - 신석기시대 - 함양시(咸陽市) 빈현(彬縣) 하맹촌(下孟村) 출토 ◆ 44. 아식(牙飾).. 2022. 10. 1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6_제1전시실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6_제1전시실6 # 석묘문화(石峁文化) - 석묘문화는 섬서 북쪽지역의 앙소문화에서 태어났으며, 아울러 주변 문화의 교류와 융합 속에서 형성된 독특한 문화의 면모를 가지고 있다. 이 문화의 도기는 2개의 고리가 있는 력(鬲), 가(斝), 세발 단지[甕], 두(豆) , 윗부분이 들어간 단지[折肩罐] 등 토기가 대표적이다. 발견된 대략의 석성으로도 마을은 성터 석묘 유지가 중심이다. ◆ 11. 옥응(玉鷹)_옥으로 만든 매 - 신석기시대 - 1976년 유림시(楡林市) 신목현 석류 출토 ◆ 12. 악어골판(鰐魚骨板)_악어뼈 - 신석기시대 - 1976년 유림시(楡林市) 신목현 석류 출토._섬서 고고연구원 소장. ◆ 13. 오공청옥장(五空靑玉璋)_5개 구멍이 뚫린 청옥으로 만든.. 2022. 8.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5_제1전시실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5_제1전시실5 # 고국조시(古國肇始) - 용산시대(龍山時代) 용산시대는 신석기 말기로 지금으로부터 약 5000~4000년 전이다. 이 시기에 생산된 공구와 생산력은 새로운 발전을 가져왔는데, 중국이 문명사회로 들어가는 관문이다. 황화와 양자강 유역의 성읍이 생겨나면서 초기 국가가 형성되었는데, 섬서성 북부의 신목시 석묘(石岇) 등 성터에는 이미 고대국가로 들어섰음을 확인할 수 있다. ◆ 01. 천공석부(穿空石斧)_구멍 뚫린 돌 도끼 - 신석기시대 - 동천시 약왕산(藥王山) 출토 ◆ 02. 백도격(白陶鬲)_백색 도기 세발솥[鬲] - 신석기시대 - 서안시 임동구 강채 유지 출토 # 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 - 위수(渭水) 유역의 객성장문화는 섬서 관중지역의 앙소문화의 .. 2022. 8. 2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4_제1전시실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4_제1전시실4 # 앙소시대(仰韶文化) 중만기 - 앙소시기 말기에는 관중지역의 취락 규모는 신속하게 축수되었으며, 유지 또한 대량으로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앙소시대 최후의 영화였다. 이 시기 관중지구 거주민들은 동굴식 건축을 발명시켰다. 사회 분없이 더욱 정밀해졌으며, 전문 제작 도기 공예가 출현되었었다. 다만 도기 제작과 채도 가공에 있어 모두 앙소 중기에 비해 쇠퇴하였다. ◆ 29. 원점구엽문분(圓點勾葉紋盆)_원형 동이 - 신석기시대 - 보계시(寶鷄市) 기산현(岐山縣) 왕가취(王家嘴) 출토 ◆ 30. 첩소반리문관(貼塑蟠螭紋罐)_이무기 문양을 조소한 단지 - 신석기시대 - 동천시 왕가하향 전묘(前峁)출토 ◆ 31. 첩소사문(貼塑蛇紋罐)_뱀 문양을 조소한 단지 - .. 2022. 8. 2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9_당번고도(唐蕃古道)1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9_당번고도(唐蕃古道)19 # 티벳과 토욕혼(吐谷渾) # 당나라와 토욕혼 # 모용위(慕容威)의 묘지 ◆ 모용위(慕容威)의 묘지석 탁본 - 현대 - 영하 회족자치구 박물관 소장 ◆ 비구도화상전(比丘圖畵像磚)_비구 그림이 있는 벽돌 - 漢_魏晉 - 청해성 박물관 소장 ◆ 호인견타화상전(胡人牽駝畫像磚)_胡人이 낙타를 끌고 가는 그림이 새겨진 벽돌 - 漢_魏晉 - 청해성 박물관 소장 2022. 8. 2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3_제1전시실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3_제1전시실3 # 문화통일_앙소시대 - 앙소시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7000~5000년 황화유역의 중요한 신석기 문화이다. 또한 중국에서 동아시아 지역에 이르기까지 가장 번역한 선사 이전의 문화이다. 섬서 지역에는 약 2000여 곳의 앙소문화 유적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것은 중국 전체 수의 40%를 차지한다. 앙소시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밑이 뾰종한 병, 채새도기 등 대표성을 지닌 문화요소가 주변으로 확장해 나갔는데, 다른 지역의 문화 간에 서로 이동화 통합을 촉진시켰다. ◆ 11-1. 첨저병(尖底甁)_밑이 뾰족한 병 - 신석기시대 - 寶鷄市 金台區 福臨堡 출토 ◆ 11-2. 첨저병(尖底甁)_밑이 뾰족한 병 - 신석기시대 - 寶鷄市 金台區 福臨堡 출토 ◆ 12. 호.. 2022. 8.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2_제1전시실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2_제1전시실2 # 민족생활_- 노관대문화시기(老官台文化時期) ◆ 01. 환저발(圜底鉢) - 신석기시대 - 한중시(漢中市) 서향현(西鄕縣) 이가촌(李家村) 출토 ◆ 02. 삼족관(三足罐) - 신석기시대 - 위남시(渭南市) 임위구(臨渭區) 북유(北劉) 출토 ◆ 03. 삼족발(三足鉢) - 신석기시대 - 위남시(渭南市) 임위구(臨渭區) 북유(北劉) 출토 ◆ 04. 대공석산(帶孔石鏟) - 신석기시대 - 위남시(渭南市) 임위구(臨渭區) 북유(北劉) 출토 ◆ 05. 석부(石斧) - 신석기시대 - 위남시(渭南市) 임위구(臨渭區) 북유(北劉) 출토 ◆ 06. - 신석기시대 - 위남시(渭南市) 임위구(臨渭區) 북유(北劉) 출토 ◆ 07. 석부(石鉢) - 신석기시대 - 한중시(漢中市.. 2022. 7. 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1_제1전시실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1_제1전시실1 # 섬서고대문명 # 머릿말 # 섬서지형지모도(陝西地形地貌圖) # 낙남분지 구석기유지군(洛南盆地舊石器遺址群 ) - 섬서의 낙남(洛南)분지에는 수천여 명의 직립인이 광야에서 활동지역과 동굴에서 거주지가 분포되어 있다. 이곳에는 매장되어 있던 초기 인류의 생활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정교하게 만들어진 각종 석기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유물은 최근에 전세계에 알려진 밀집된 초기 인류의 활동지역 중 하나로, 현대 인류의 기원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있다. ◆ 구석기토기 ◆ ◆ # ◆ ◆ ◆ ◆ 대려인(大荔人) - 중국 섬서성 대려현 단가향 대려인이 발견되었는데 약 20~30만년전 중국에서 수차례 발견된 초기 지인(智人) 중 가장 오래된 유형이며, 또.. 2022. 6.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0_당번고도(唐蕃古道)2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20_당번고도(唐蕃古道)20 # 수나라와 토욕혼 - 토욕혼은(Tuyuhun : 吐谷渾) 사람이면서 토욕혼이 285년 세운 나라의 이름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하남국(河南國)이라고 불렀다. # 당항고도(黨項故道) - 당항(黨項) 강원(姜原)은 청해성 남부 및 감숙, 사천 상린(相隣) 지구에 거주하면 목축을 위주로 한다. *당항족(黨項族) # 토욕혼(吐谷渾)은 서부지구의 도로교통에 공헌했다. ◆ 목간(木簡) - 청해성박물관 소장 # 토욕혼 왕세계표 1대 토욕혼(?~317)에 시작해서 22대 낙갈발(諾曷鉢)에 당나라에 멸망하였다. 토욕혼은 지금의 '투족'이라고 불리는 중국의 소수민족이다. ◆ 회도조(灰陶竈)_회색 토기로 만든 부뚜막. - 한대 - 청해성 박물관 소장 # 토욕.. 2022. 6. 2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8_당번고도(唐蕃古道)18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8_당번고도(唐蕃古道)18 # 도난열수묘군(都蘭熱水墓群) - 청해성 도난현에 있다. 8세기 중엽의 무덤이다. ◆ 은유금연주문인장(銀鎏金連珠紋印章)_은에 도금한 구슬을 연결한 문양의 도장 - 魏晉_唐 - 황원고도 박물관(滉源古道博物館) 소장 - 아랫부분 양쪽에 손잡이 모양의 고리가 있다. ◆ 금이수(金耳墜)_금 귀고리 - 明 - 황원고도 박물관(滉源古道博物館) 소장 - 아랫부분은 호리병 모양으로 되어 있다. ◆ 조수문유금안교식(鳥獸紋鎏金馬鞍橋飾)_짐승 문양이 조각된 도금한 말 안장 장식. - 明 - 황원고도 박물관(滉源古道博物館) 소장 ◆ 권초문누공금식건(卷草紋鏤空金飾件)_당초문의 구멍이 뚫린 금 장식. *권초문: 식물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장식무늬. -.. 2021. 11.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7_당번고도(唐蕃古道)17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7_당번고도(唐蕃古道)17 ◆ 채회도낙타(彩繪陶駱駝)_ 채색한 토기 낙타 - 唐 -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 청유견타도용(靑釉牽駝瓷俑)_푸른 유약을 바른 낙타 끄는 자기 허수아비 - 唐 - 사천박물원 소장 - 해학적인 마부의 눈동자와 낙타의 예쁜 눈썹이 인상적이다. 2021. 11. 1.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6_당번고도(唐蕃古道)16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6_당번고도(唐蕃古道)16 # 석보성 유지(石堡城遺址) - 티벳에서는 철인성(鐵仞城)이라고 한다. ◆ 화상전(畵像磚)_그림이 그려진 벽돌 - 남북조(南北朝) 시대 - 청해성(靑海省) 박물관 소장 # 말과 집 # 사람 # 꽃문양 ◆ 화상전(畵像磚)_그림이 그려진 벽돌 *복제품 - 수렵도 - 위진(魏晉) 시대 - 감숙성(甘肅省) 박물관 # 대비천(大非川) - 670년 4월부터 8월까지 당나라와 티벳은 대비천에서 1차 대규모 전쟁을 치뤘다. ◆ 채회니소 무사입용(彩繪泥塑 武士立俑)1_채색한 서 있는 무사 토용.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채회니소 무사입용(彩繪泥塑 武士立俑)2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 2021. 10. 30.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5_당번고도(唐蕃古道)15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5_당번고도(唐蕃古道)15 # 당나라와 티벳의 화친 ◆ 채회도호인남입용(彩繪陶胡人男立俑)_채색한 서 있는 남성 胡人 허수아비 - 唐 - 섬서역사박물원(陝西博物院) 소장 ◆ 채회도호인용(彩繪陶胡人俑)_채색한 胡人 허수아비 - 唐 - 섬서역사박물원(陝西博物院) 소장 ◆ 채회도남용두(彩繪陶男俑頭)_채색한 남성 머리 허수아비 - 唐 - 섬서역사박물원(陝西博物院) 소장 ◆ 채회도마(彩繪陶馬)_채색 도자기 말1 - 唐 - 섬서역사박물원(陝西博物院) 소장 ◆ 채회도마(彩繪陶馬)_채색 도자기 말2 - 唐 - 섬서역사박물원(陝西博物院) 소장 ◆ 도방륜(陶紡輪)_질로 만든 가락바퀴 - 北朝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牧馬圖가 그려진 벽돌 *복제품 -.. 2021. 9. 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4_당번고도(唐蕃古道)14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4_당번고도(唐蕃古道)14 # 문성공주 사당[文成公主廟] - 淸海省 玉樹에 있다. 이 사당은 티벳식 건축풍의 고건축물이다. 건물내 마애석각은 전형적인 대당 예술풍격을 보여준다. 문성공주가 티벳으로 시집갈 때 이 옥수를 거쳤는데 이곳 사람들의 열열한 환영을 받았으며, 문성공주는 옥수에 머무를 대 이곳 사람들에게 경작과 방직 기술을 전수했다고 한다. 또 수행하는 장인들이 암벽에 불상과 예불도 등을 새겼다. 금성공주가 이 곳을 거치면서 대일여래불당(大日如來佛堂)을 지었는데, 이것이 바로 지금의 문성공주 사당이다. ◆ 기하 수문 모담(幾何獸紋毛毯)_기하학적 무늬가 있는 짐승 문양의 담요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피도초(皮刀鞘)_가.. 2021. 9. 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2_당번고도(唐蕃古道)1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2_당번고도(唐蕃古道)12 ◆ 銅印 “당파 장관사인(黨壩長官司印)” *黨壩鄉은 지금의 四川省 阿壩 藏族羌族自治州 馬爾康市이다. - 淸代 乾隆 26년 - 四川博物院藏 # 인주를 묻혀 종이에 찍은 실물이 하나 있었으면 더 좋았을 듯하다. 거꾸로 된 글자는 읽기도 어렵고... ◆ 銅印 “작사갑포선무사인(綽斯甲布宣撫司印)” *綽斯甲 3대 土司 이다. - 淸代 乾隆 40년 - 四川博物館藏 ◆ 銅印 “송강 장관 사인(松岡長官司印)” * 松岡長官의 관리 지역은 지금의 사천성 爾康耳縣 서쪽 松岡鄕이다. - 淸代 乾隆 18년 - 四川博物館藏 ◆ 銅印 “탁극기 장관사인(卓克基長官司印) *卓克基는 티벳어로 "지고무상(至高無上:가장 높아 위고 없다)"이다. * 지금의 사천성 爾康耳縣 동.. 2021. 8. 22.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3_당번고도(唐蕃古道)1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13_당번고도(唐蕃古道)13 ◆ 석조호인상(石彫胡人象) - 唐 - 滉源古道博物館藏 ◆ 참단화문 유금은관(鏨團花紋鎏金銀罐) 둥근 자수 무늬를 새기고 은에 유금한 단지 - 唐 - 滉源古道博物館藏 ◆ 참화조문 유금은관(鏨花鳥紋鎏金銀罐) - 唐 - 滉源古道博物館藏 ◆ 귀상금패(貴霜金幣)_쿠샨제국* 금화 ◆ 라마금폐(羅馬貴金幣)_로마제국 금화 # - 唐 - 滉源古道博物館藏 ◆ 토번문 목간(吐蕃文木簡)_티벳어로 된 목간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금성공주(金城公主) 티벳으로 시집가다. "旋知偃兵革 長是漢家親" 707년 3월에 티벳의 섭정 태후 沒祿氏가 파견한 사신 悉薰熱이 당나라 조정에 이르러 조공을 바치고 아울러 당 中宗에게 혼인 관계.. 2021.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