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661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2_2층_3.考古發現篇1-3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2_2층_3.고고발현편(考古發現篇)1-3 ◆ 도응(陶鷹) - 용산 말기~하대 초기 - 2019년 묘산 유지 황성대(皇城臺) # 이 도응이 발견된 황성대(皇城臺) 동쪽에서는 이런 대형 도응이 20여 건 출토되었다. 수량도 많고 규모도 크며 구조도 생동감 있어 중국 신석기시대 동물 조소 중에 매우 보기 드문 것이다. 이 도응이 실제 사용한 기물은 아니고 아마도 왕권을 상징하거나 종교와 제사와 같은 공동 활동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 後 동와(筒瓦) - 서주 시기(BC.1016~BC.771) ◆ 前 판와(板瓦) - 서주 시기(BC.1016~BC.771) ◆ 前 도 수관(陶水管) - 서주 시기(BC.1016~BC.771) - 2019년 서안시 장안구 두문가도(斗門街道) 관장(官庄.. 2023. 8. 29.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1_2층_3.考古發現篇1-2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1_2층_3.고고발현편(考古發現篇)1-2 # 노산묘(蘆山峁) 용산문화 유지 ◆ 기와 조각 - 용산초기. ◆ 左/中 1. 도가(陶斝) - 용산 초기(지금부터 4500~4300년 전) - 2018년 연안 노산묘(蘆山峁) 유지 대영반량(大營盤梁) IT2721 /IT2923. ◆ 右2. 단파력(單把鬲) - 용산 초기(지금부터 4500~4300년 전) - 2018년 연안 노산묘(蘆山峁) 유지 채집 ◆ 左 1. 도관(陶罐) - 용산 초기 - 2018년 연안 노산묘(蘆山峁) 유지 대영반량(大營盤梁) F2. ◆ 右 2. 도병(陶甁) - 용산 초기 - 2018년 연안 노산묘(蘆山峁) 유지 소영반량(小營盤梁) 채집 ◆ 3. / 용산 초기 / 2018년 연안 노산묘(蘆山峁) 유지 ◆ 4. / .. 2023. 8. 29.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0_2층_3.考古發現篇1-1 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0_2층_3.考古發現篇1-1 에는 양관채 환호(楊官寨環壕)와 노산묘(蘆山峁) 용산문화 유지, 신목현(新木縣) 신화(新華) 옥기갱(玉器坑)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양관채환호(楊官寨環壕)는 지금까지 발굴한 발굴된 유적 중 유일한 묘저구무화(廟底泃 文化) 중 가장 완전하게 보존된 해자로 인공으로 만든 방어시설이다. 이 초대형 환호(環壕)에서는 앙소중기에 만들어진 흙으로 만든 도부(陶釜), 도조(陶竈), 아궁이와 솥이 하나로 연결된 연체부조(聯體釜竈), 염구발(斂口鉢), 채도분(彩陶盆), 도소(陶塑) 돼지머리, 도훈(陶塤), 도우(陶盂), 도환(陶環), 도고형기(陶鼓形器), 니질고복관(泥質鼓腹罐), 회도원복관(灰陶圓腹罐), 돌을 가공한 석구(石球), 석착(石鑿), 석부(石.. 2023. 8. 29.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9_1층_2.文化譜系篇8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9_1층_2.文化譜系篇8 # 선주문화(先周文化)는 크게 선주문화(先周文化), 유가문화(劉家文化), 연자파문화(碾子文化)로 구분한다. ◆ 쌍이 력(雙耳鬲)_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력 - 상대 중말기 - 1994년 순읍(旬邑) 손가(孫家) 유지 G2. ◆ 5. 대구준(大口尊)_주둥이가 큰 준. - 상대 중말기 - 1994년 순읍(旬邑) 손가(孫家) 유지 ◆ 6. 도분(陶盆)_질그릇 동이 - 상대 중말기 - 1994년 순읍(旬邑) 손가(孫家) 유지 G2. ◆ 7. 도관(陶罐)_질그릇 단지 - 상대 중말기 - 1994년 순읍(旬邑) 손가(孫家) 유지 G2. # 주원(周原) 유지 # 취락 분포의 변화 ◆ 左 9. 도치(陶觶)_질그릇 술잔 - 서주 중기 - 1999년 부풍현 제가촌 동호(.. 2023. 8. 29.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8_1층_2.文化譜系篇7 ㄴ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8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7 # 보산문화(寶山文化) - 성고(城固) 보산유지(寶山遺址) - 발굴시기: 1990~2004년 - 발굴지점: 한중시 성고현 원공진(原公鎭) ◆ ◆ 5. 편복도호(扁腹陶壺)_배가 납작한 질그릇 병 - 상나라_BC.1600~BC.1016 - 1990~2004년 성고 보산 유지 - 성고현 박물관 소장 ◆ 2. 장경권족준(長頸圈足尊)_목이 길고 다리가 둥근 준. - 상나라_BC.1600~BC.1016 - 1990~2004년 성고 보산 유지 - 성고현 박물관 소장 ◆ 4. 고병기좌(高柄器座)_손잡이가 높은 기물. - 상나라_BC.1600~BC.1016 - 1990~2004년 성고 보산 유지 H9 - 성고현 박물관 소장 ◆ 5. 도궤(陶簋) - 상나.. 2023. 8. 28.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7_1층_2.文化譜系篇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7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7 상대(商代)_상대(商代)_BC.1600~BC.1046 # 상대유존(商代遺存)_상대는 크게 주개구문화(朱開泃文化), 이가애문화(李家崖文化), 선주문화(先周文化), 유가문화(劉家文化), 상문화(商文化),보산(寶山文化) 6개의 문화로 구분된다. 상문화(商文化)의 유적으로는 서안시 노우파(老牛坡) 유지, 부풍시 예천현(禮泉縣) 주마취(朱馬嘴) 유지, 주개구문화(朱開泃文化)에 해당하는 안새현(安塞縣) 서과거(西坬渠) 유지, 가현(佳縣) 석라라산(石摞摞山) 유지, 선주문화(先周文化)에 해당하는 보계시 기산현(岐山縣) 쌍암(雙庵) 유지, 보산문화(寶山文化)에 해당하는 한중시(漢中市) 성고(城固) 보산(寶山) 유지 등이 있다. 노우파(老牛坡) 유지에서는.. 2023. 8. 28.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6_1층_2.文化譜系篇5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6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5 # 기원전 2070~기원전 1046년 - 하상시기(夏商時期) 하상시기(夏商時期:BC.2070~BC.1046)의 유적은 1950년대 황화에서 화양(華陽)ㆍ화현(華縣)에서 하상(夏商) 문화의 단서가 발견되었으며, 1980년 이후 서안 노우파(老牛坡)ㆍ상락(商洛) 동용산(東龍山) 등 유적의 발굴로 관중지역의 하상(夏商) 시기 문화 계보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아울러 주나라 사람들의 초기 문화 유물을 식별할 수 있었다. 청간(淸澗) 이가애(李家崖)ㆍ성고(城固) 보산(寶山) 같은 유적의 발굴은 섬서성 북쪽과 남쪽에 있었던 상대(商代) 지역의 문화를 판별할 수 있게 하였다. # 하(夏)_하나라-BC.2070~BC.1600년. 하(夏)나라(BC.2..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5_1층_2.文化譜系篇4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5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4 용산시기의 유물은 앙소시기를 계승한 형태를 비롯하여 단이관(單耳罐), 쌍이관(雙耳罐), 단파관(斷把罐), 단파가(單把斝), 절복쌍이분(折腹雙耳盆), 쌍이력(雙耳鬲), 단파도규(單把陶鬹), 단파력(單把鬲) 등 손잡이가 있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주둥이가 안쪽으로 들어간 염구옹(斂口甕), 기물의 위쪽이 좁아지는 절견관(折肩罐) 등이 있었다. # 백수하하(白水下河) 옹관 묘지 - 발굴시기: 2005년 - 발굴지점: 위남시 백수현 뇌촌향 # 유림 채묘량(寨峁梁) 석성. - 발굴시기: 2014~2015년 - 발굴지점: 유림시 유양구 안애진(安崖鎭) ◆ 左 8. 단파력(單把鬲)_1개의 손잡이가 있는 솥. - 용산시기 - 2014년 유림시 채..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4_1층_2.文化譜系篇3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4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3 # 묘저구(廟底泃) 유형_양소중기 - 화현(華縣) 천호촌(泉護村) 유지 ◆ 도도(陶刀)_질흙 칼. - 앙소시기 - 1997년 화현 천호촌 유지. # 백수하하 유지(白水下河遺址) - 위남시 백수현 뇌촌향(雷村鄕) 하하촌(下河村)에 있다. ◆ 도와(陶瓦)_질 기와 - 앙소시기 - 2018년 서안시 안탑구 마등공(馬騰空) 유지 F139. # 앙소중ㆍ만기 도와(陶瓦) ◆ 10. 채도기개(彩陶器蓋)_채색 도기 뚜껑. - 앙소시기 - 1997년 화현 천호촌 유지 H28 ◆ 11. 기개(器蓋)_그릇 뚜껑. - 앙소시기 - 1997년 화현 천호촌 유지 H108. ◆ 16. 도조(陶竈)_질 부엌 - 앙소시기 - 1997년 화현 천호촌 유지 H105 ◆ 1..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3_1층_2.文化譜系篇2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3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2 # 횡산(橫山) 양계사(楊界沙) 유지 - 발굴시기: 2010년 - 발굴지점: 유림시(楡林市) 횡산현(橫山縣) 뇌용만 향(雷龍灣鄕) ◆ 後左: 9. 도관(陶罐)질 단지 / 앙소시기 / 2010년 유림시 황산 양계사(楊界沙) 유지 F2. ◆ 後中: 8. 채도관(彩陶罐)_채색 질 단지 / 앙소시기 / 2010년 유림시 황산 대고계(大古界) 유지 F2. ◆ 後右: 8. 도항(陶缸)_질 항아리 / 앙소시기 / 2010년 유림시 황산 대고계(大古界) 유지 F5. ◆ 前左: 8. 도분(陶盆)_질 동이 / 앙소시기 / 2010. ◆ 前中: 9. 도반(陶盤)_질 소반 / 앙소시기 / 2010. ◆ 前右: 10. 도박(陶搏) / 앙소시기 / 2010. ◆ ..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2_1층_2.文化譜系篇1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2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1 에는 중국의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전(前) 앙소(仰韶)문화((8000~6800년 전), 앙소문화(6800~4800년 전), 용산문화에 해당하는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 중 전(前) 앙소(仰韶)문화는 다시 백가문화(白家文化)와 노관태문화(老官台文化)로 분류된다. 전 앙소시기의 전형적인 유적은 전형적인 유적은 서안시 임동구의 백가(白家)와 위남시(渭南市) 화현(華縣)의 노관태, 위남시(渭南市) 북류(北劉), 보계시의 관도원(關桃園), 서향(西鄕)의 이가존(李家村) 등이다. # 150만년~7만년 이전. / # 80만년~30만년 이전. # 2만 1천~1만 5천년 이전. # 8000년~6800년 이전. # 전(前) 앙소(仰韶) 시기 - 섬서성 경..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_1층_1.考古歷程篇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_1층_1.고고역정편(考古歷程篇) 1층 에는 용산(龍山) 시기(지금으로부터 4800~4000년 전), 양소(仰韶) 시기(지금으로부터 6800~4800년 전)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유물로는 도력(陶鬲)과 도관(陶罐), 1954~1957년에 발굴한 서안 반파 유지의 목이 긴 항아리, 1979~1980년 발굴한 봉상 서촌 주나라 묘 등에서 출토된 기좌용(跽坐俑:무릎 꿇은 토용)을 비롯하여 1996년 함양 저장만촌(底張灣村) 우문검(宇文儉)의 묘에서 출토된 동경(銅鏡), 2001년 서안이공대학교 곡강분교에 있는 이수(李倕)의 묘에서 출토된 팔곡규화형나전동경(八曲葵花螺鈿銅鏡), 서안 장안구 남리왕촌(南里王村)에서 출토된 당삼채(唐三彩), 북주(北周) 약간운묘(若干雲墓)에서 ..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0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0 섬서고고박물관은 공식적으로 2021년 12월에 세워졌다. 이 박물관은 섬서성 고고연구원의 고고출토문물을 전시한 박물관이다. 박물관은 남쪽에 진령(秦嶺)이 있고, 동쪽에는 향적사(香積寺)가 있다. 총면적은 10,753평방미터이며, 이 중 실내 전시관의 면적은 5,800평방미터이고 실외 면적은 10,000평방미터이다. 주차장에서 내리면 유객중심(游客中心) 건물이 있고, 다리를 건너면 박물관 건물이 나타난다. 전시관 왼쪽는 공중고고중심(公衆考古中心)이 있다. 박물관은 총 3층으로 되어 있다. 상설전시관은 “考古聖地 華章陝西”이라는 대주제 아래 1층에는 , , 2층에는 , 3층에는 등 4장으로 분류하여 4,000여건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 2022년 섬서고고박물관 개관. # .. 2023. 8. 27.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_한당풍채(漢唐風采)10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 2. 한당 풍채(漢唐風采)10 ◆ 영 우(永盂)_영(永)에게 토지를 내린 명문이 쓰여진 우(盂). - 서주 시기 - 1969년 서안시 남전현 설호진(泄湖鎭) 출토. 1969년 서안시 남전현(藍田縣) 설호진(泄루湖鎭)의 농민들은 우연히 땅속에서 금속 罐子[항아리]를 파내어 섬서성 물자회수부에 넘겨주었다. 1972년 서안박물원의 한 직원은 폐품을 회수하는 곳에서 동철을 수매하는 가격으로 몇백위안을 주고 이 항아리를 사왔다. 이것이 바로 현재 서안박물원의 보물인 영우이다. 이 평범해 보이는 청동기가 어떻게 보물이 될 수 있겠는가. 이른바 "우(盂)"는 사실 옛사람들이 물이나 음식을 담는 용기이다. 이 청동기의 주인은 "영(永)"이라고 한다. "영"자는 기물의 몸에 있는 명문에..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2_한당풍채(漢唐風采)9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2 2. 한당 풍채(漢唐風采)9 ◆ 도철문 호(饕餮紋壺)_도철 문양이 있는 병. - 서주(BC.1046~BC.771) ◆ 도철문 력(饕餮紋鬲)_도철 문양이 있는 솥. - 상대 만기(BC.1600년대~BC.1028) ◆ 중남부 력(中枏父鬲)_"中枏父"가 새겨진 솥. - 서주(BC.1046~BC.771) ◆ 쌍수이유정문 궤(雙獸耳乳釘紋簋)_두 개의 짐승 모양 손잡이와 유정 문양이 있는 궤. - 서주(BC.1046~BC.771) *유정(乳釘): 젖꽃지나 못 대가리처럼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 ◆ 붕조문 작(鳳鳥紋爵)_봉황 문양이 있는 술잔. - 서주(BC.1046~BC.771) ◆ 현문 치(弦紋觶)_활시위 문양이 있는 술잔. - 서주(BC.1046~BC.771) - 1980년 서..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1_한당풍채(漢唐風采)8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1 # 2. 한당 풍채(漢唐風采)8 ◆ 삼채삼족반(三彩三足盤)_다리가 세 개 달린 삼채 쟁반. - 당대 ◆ 녹유촉대(綠釉燭臺)_녹색 유약을 바른 촛대. - 당대 - 1977년 서안시 연호구 제3 염색공장 출토 ◆ 삼채봉수호(三彩鳳首壺)_봉화 머리가 달린 삼채 호. - 당대 ◆ 삼채사계 罐(三彩四系罐)_네 개의 고리가 달린 삼채 단지. - 당대 ◆ 서명사 석차전(西明寺石茶磚)_서명사(西明寺)에서 한 차를 만드는 돌 벽돌. - 당대 ◆ 관자관백자(官字款白瓷)_'官자' 낙관이 새겨긴 백자. - 당대 - 1985년 서안시 구화소벽(區火燒壁) 출토. ◆ 영자관백자집호(盈字款白瓷執壺) 설(碟) '盈'자 낙관이 새겨긴 백자 호. 접시. - 당대 - 2002년 서안 철도국 신남화원(新南花..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0_한당풍채(漢唐風采)7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0 2. 한당풍채(漢唐風采)7 # 동경(銅鏡) ◆ 우인신수문 경(羽人神獸紋鏡)_우인(羽)과 신수(神獸) 문양이 새겨진 거울. - 한대 * 우인(羽人): 날개가 있는신선. # 동경(銅鏡)에 대한 설명. ◆ 상박국 경(尙博局鏡)_장기판 모양 거울. - 한대 ◆ 가상부기경(家常富貴鏡)_“家常富貴(집안이 늘 부귀하게)”가 새겨진 거울. - 한대 ◆ 삼단식신수경(三段式神獸鏡)_신수가 주조된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 거울. - 위진남북조 ◆ 금배경(金背鏡)_뒷면을 금으로 장식한 거울. - 당대 ◆ 삼락 경(三樂鏡)_영계기(榮啓期)의 삼락(三樂)을 그린 거울. - 당대 # 孔夫子問曰_答榮啓奇(期) - 영계기가 공자에게 답한, 세 가지 줄거움. 1) 사람으로 태어 난 것, 2) 남자로 태어 ..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9_한당풍채(漢唐風采)6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9 2. 한당 풍채(漢唐風采)6 - 상좌: 반무도(盤舞圖) / 동한 시기_화상 전(畵像磚) - 상우: 잡기악무도 / 동한 시기_화상 전(畵像磚) - 중좌: 제왕면복도 / 수나라 문제(文帝) - 중우: 기악도(伎樂圖) / 수나라 묘실벽화. - 하좌: 건무도(巾舞圖) / 초당 시기 묘실벽화. - 하우: 악무도 / 성당 시기 묘실벽화 - 상: 반탄비파도(反彈琵琶圖) / 중당 시기 돈황벽화. - 중: 무악도(舞樂圖) / 중당 시기 돈화벽화. - 하: 당궁악도(唐宮樂圖) / 북송 시기 ◆ 청유 관(靑釉罐)_푸른 유약을 바른 단지 - 당대(618~907) ◆ 계수청자호(鷄首靑瓷壺)_닭머리가 장식된 호. - 북위(386~534) ◆ 청자반구호(靑瓷盤口壺)_쟁반 모양 주둥이 청자 호. - ..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8_한당풍채(漢唐風采)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8 2. 한당풍채(漢唐風采)5 ◆ 채회우차(彩繪牛車)_채색한 소와 마차 북조(386~581) ◆ 용속여용(舂粟女俑)_곡식 찧는 여인 허수아비 북조 ◆ 우차(牛車)_소와 마차 북조 1966년 서안시 안탑구 영녕공사(永寧公社) 출토 ◆ 도등(陶燈)_질 등잔 한대(漢代) - 등잔 아래에 다양한 동물들이 조각되어 있다. ◆ 도양(陶羊)_질 양 한대 ◆ 도저(陶猪)_질 돼지 한대 ◆ 유도계(釉陶鷄)_유약 바른 질 닭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7_한당풍채(漢唐風采)4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7 2. 한당풍채(漢唐風采)4 ◆ 점등(拈燈)_손잡이가 있는 등잔. - 한대 ◆ 비조대병 훈리(飛鳥帶柄熏爐) - 한대 - 1965년 서안시 연호구 홍묘(紅廟) 출토 ◆ 홍안형 훈로(鴻雁形 熏爐) - 한대 ◆ 용병초두(龍柄鐎斗)_용모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냄비. - 한대 ◆ 용병위(龍柄熨)_용모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다리미. - 한대 ◆ 기화궁 오족로(奇華宮五足爐)_기화궁에서 사용하던 다리 다섯 달린 화로. - 한대 ◆동증유기(銅蒸餾器)_동 찜밥기 - 신망(新莽) 시기 ◆ ◆ 유금봉조동종(鎏金鳳鳥銅鍾)_봉황 장식이 있는 도금한 동종(銅鍾)_그릇. - 서한 시기 - 2003년 서안시 문경로 서한 묘(西漢墓) 출토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6_한당풍채(漢唐風采)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6 # 2. 한당풍채(漢唐風采)3 ◆ 동종(銅鍾)_그릇. - 한대(BC.206~AD.220) * 양옆에 포수가 달려 있다. # 목 바로 아랫부분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 상림감(上林鑑)_ "上林"이 새겨진 물동이 - 한대 - 1977년 서안시 미앙구 삼교진(三橋鎭) 출토 ◆ 유금응형 대(瑬金鷹形鐓)_도금한 매 모양 대. - 한대 ◆ 금병(金餠)_떡 모양 금덩이 - 한대 ◆ 구정(九鼎) - 신망(新莽) 시기(AD.8~23) ◆ 신망 구정(九鼎) 설명서. ◆ 초화(鐎盉)_자루가 달린 화(盉) - 한대 - 1974년 섬서성 위남시 양돈향(陽敦鄕) 서유촌(西劉村) 출토. # 뚜껑에 화려한 문양이 있다. ◆ 용문온주기(龍紋溫酒器)_용 문양이 있는 술 데우는 그릇. -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5_한당풍채(漢唐風采)2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5 2. 한당 풍채(漢唐風采)2 - 전시관 중간중간에 그림이 있다. 쉬어 가는 페이지 느낌. # 上左: 가취도(嫁娶圖)_결혼식 그림. - 중당 시기 / 돈황벽화. # 上右: 가취도(嫁娶圖)_결혼식 그림. - 만당 시기 / 돈황벽화. # 下: 연음도(宴飮圖)_연회식 그림. - 중당 시기 돈황벽화. ◆ 上: 임경소장도(臨鏡梳妝圖)_거울 앞에서 빗질하고 단장하는 그림. - 진나라 고개지(顧愷之) ◆ 下: 剃度圖(체도도) 중당 돈화벽 ◆ 上: 비기출행동(備騎出行圖)_말을 타고 출타 준비하는 그림. - 수나라 묘실 벽화 ◆ 中: 馬夫와 馬 그림. - 초당 시기. 돈황벽화 ◆ 下: 사마차도(駟馬車圖)_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 그림. - 성당 시기. 돈황벽 ◆ 인문마차(鱗紋馬鑣)_비닐 문..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4_한당풍채(漢唐風采)1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4 2. 한당풍채(漢唐風采) 2.1 물부민안(物阜民安) ◆ 상림종(上林鍾) - 한대(BC.206~AD.220) *치는 종이 아니고 그릇이다. # 외부에 전서로 "上林"이라고 새겨져 있다. ◆ 곤양승여정(昆陽乘輿鼎) - 서한 서기 - 1961년 서안시 미앙구 삼교진 고요촌 출토 # 솥의 배부부에 문자가 새겨져 있다. ◆ 양산궁 훈로(梁山宮熏爐) - 한대 * 뚜껑과 배 부분에 모두 문나가 새겨져 있다. # 2. 한당풍채(漢唐風采) ◆행조(行竈)_이동식 부엌?? - 한대 # 수저. # 시루 ◆ 조씨 언(趙氏 甗)_"조씨"가 새겨진 찜통. - 한대 - 1977년 서안시 미앙구 제2 機磚場 출토 ◆ 쌍이 무(雙耳鍪)_솥귀가 두 개 달린 발 없는 큰 솥 - 한대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3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3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3 1.3 군군폭주(郡國輻凑) / 재화휘취(財貨滙聚) - 여러 나라가 폭주하고 / 재화가 모이고. 1.4 부월금과(斧鉞金戈) / 전차철사(戰車鐵駟) - 도끼와 창 / 전차와 사두마차. ◆ 곡척부(曲尺斧) 굽은 도끼 - 서주 시기(BC.1046~771) - 1995년 서안시 장안구 수주풍호 유지 출토 ◆ 삼공장인도(三銎長刃刀) 세 개의 구멍이 있고 칼날이 긴 칼 - 서주 시기 ◆ 유정문월(乳釘紋越)_乳釘紋이 있는 도끼 - 서주 시기 *유정문(乳釘紋): 젖꽃지나 못대가리 모양의 문양. ◆ 공공도(銎孔刀)_구멍이 뚫린 칼. - 서주 시기 ◆ 동극(銅戟)_동으로 만든 창. - 서주 시기 ◆ 단호 과(短胡戈)_길이가 짧은 창 - 서주 시기 ◆ 수.. 2023. 8. 14.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2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2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2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2 ◆ 력(鬲)_ 다리 3개 달린 솥이다. - 서주 시기(BC.1046~771) ◆ 원시자준(元始瓷尊)_원시 오지 준. - 서주 시기(BC.1046~771) ◆ 두(豆)_제기 - 서주 시기(BC.1046~771) ◆ 력(鬲) ◆ 석부(石斧)_돌 도끼 - 서주 시기(BC.1046~771) ◆ 석뢰(石犁)_돌쟁기 - 서주 시기(BC.1046~771) ◆ 도방륜(陶紡輪)_질 방추차 - 서주 시기 ◆ 동부(銅斧)_구리 도끼 - 서주 시기 ◆ 동도(銅刀)_구리 칼 ◆ 방도(蚌刀)_방합으로 만들 칼 - 서주 시기 ◆ 도준(陶尊)_질 준. - 서주 시기 ◆ 견형호(繭形壺)_누에고치 모양 호. - 전국 시기 ◆ 도분(陶盆)_질 동이 - 서주 시기 2023. 8. 13.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_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1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 1. 주나라와 진나라 문명[周秦文明]1 1. 1. 종명정식(鍾鳴鼎食) / 거마인순(車馬人殉) *종명정식(鍾鳴鼎食): 종을 쳐서 사람들에게 식사 시간을 알린 다음에, 솥을 벌여 놓고 회식을 한다는 말로, 태평성대에 부유하고 호화스럽게 사는 생활을 뜻하는 표현이다.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유래하였다. *거마인순(車馬人殉): 수레, 말, 사람을 순장함. ◆ 현문정(弦紋鼎)_활시위 문양이 있는 솥. - 서주 시기(BC.1046~771) - 솥 안에 문자가 있다. ◆ 환대문정(環帶紋鼎)_띠를 두른 문양의 솥. - 서주 시기 ◆ 환대문정(環帶紋鼎)_띠를 두른 문양의 솥. - 춘추 시기(BC.770~4761) ◆ 첩궤(𧩕簋) - 서주 시기. *사전 상 𧩕(녕)= 佞과.. 2023. 8. 13.
2023_1_오사카 박물관 2023_1_오사카역사 박물관 오사카에 있는 역사박물관이 아니고 오사카의 역사를 기록한 박물관이다. # 박물관 앞에 있는 옛날 건축 모형 # 기차역 쪽 박물간 입구 - 후문 느낌이다. # 입장료 - 성인: 600원. 오사카성 천수각 통합표 1,000엔. # 미깡나무 - 나무에 1개 남아 있다. 국어사전에는 미깡을 제주도 방언이라고 했다. 일본어를....아고. 그럼 혹시 귤을 제주도에서 일본으로 가져 갔나??? # 오사카부 경찰본부 # 왼쪽 건물이 박물관, 오른쪽은 방송국건물. - 오사카역사 박물관 # 박물관 입구 - 오사카성쪽이 정문이다. # 박물관 - 難波宮(나니와 미야) 시대. 고대(古代) - 한자는 같은데 지금의 '난바'와는 발음이 다르다. - 10부터 보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층씩 내려간다. #.. 2023. 7. 26.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1_1층_우측_101호_불교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1_1층 우측_101호 # 불교 미술 ◆ 청동유금좌불 삼존상(靑銅鎏金坐佛三尊像) - 명나라 ◆ 청동유금문수보살좌상(靑銅鎏金文殊菩薩坐像) - 명나라 ◆ 청동유금보살반가의좌상(靑銅鎏金菩薩半跏倚坐像) - 명나라 ◆ 청동유금남천왕임상(靑銅鎏金南天王立像) - 서장(西藏)_티벳. 15세기 ◆ ◆ 청동유금석가모니불좌상(靑銅鎏釋迦牟尼坐像) - 북위(北魏) 태화(太和) 원년 명(銘) 447년. ◆ 청동유금석가모니불좌상(靑銅鎏釋迦牟尼坐像) # 108호 # 106호 # 105호, 107호 특별 전시관은 휴관이었다. # 103호, 104호 - 고향아취(古香雅趣) - 피서산장에 대한 내용이다. 열하일기를 지은 박지원에 대한 내용도 있다. # 익숙한 얼굴이다. 물론 얼굴은 모를 수도 있다. 박지원과 열.. 2023. 7. 10.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4_도자기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4_도자기 ◆ 당삼채 마용(唐三彩馬俑) 백마:높이 71.2cm 길이 82.5cm 흑마:높이 70.0cm 길이76.5cm 중국 당(唐)나라(8세기) 중요미술품 센타카 의자(銭高衣子) 기증 교토국립박물관 흑백 1쌍의 말 토용이다. 검은 말은 전체를 짙은 갈색의 유약을 발라 금속같은 광택을 보이고, 하얀 말은 백토로 만든 몸을 황토로 덮고, 흰 진흙으로 반점을 그리고 그 위에서 흰 유약을 발라 하얀 무늬와 담홍색의 신비한 색을 띄고 있다. 검은색은 노란색 털을(金鹿毛:きんしかげ), 흰색은 말의 장식에 밤 색깔 털(連銭白栗毛:れんせんしろくりげ)이라고 불리는 진귀한 종류의 모발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진한 갈색 유약으로 표현 된 검은 말의 유약은 그 유래가 없는 것이다. 안장.. 2023. 3. 10.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3_금공 2023_1_교토(京都)15_교토박물관3_금공 ◆ 철제 등롱 높이 67.0cm 가마쿠리시대(1319) 스즈키 소이치로(鈴木そう一郎氏) 기증 중요문화재 교토국립박물관 철제로 만들었다. 육각형의 큰 등롱[렌턴]으로 불을 켜는 곳에 연결된 七寶와 소나무 껍질같은 문양이 있다. 거기에 거북 껍질 문양과산스크리트 문자가 조각되어 있으며 등롱 문에 金剛力士像이 투조되어 있다. 정면 오른손 아래쪽에 "白山中宮 元応 元年 己未六月日 尾州玉井 大工貞澄"라는 명문이 투조되어 있다. 만든 사람과 만든 시기, 그리고 白山中宮 長滝寺 소유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에 제작 연대가 가장 확실한 등롱 중에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그 모양은 대범하고 옛날 형식을 전승해 틈새의 문양과 猪目 등 세부의 장식이 교묘하..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