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158

2021_고궁박물관11_2층_고궁연화1 2021_고궁박물관11_2층_고궁연화1 1. 바람이 문에를 처도 # 경복궁 발굴 복원 30주년 기념 특별전 # 경복궁의 역사 # 고궁박물관 전경 - 멀리 북악산 정산이 보인다. ◆ 흥복전(興福殿) - 고종 때 건립된 전각으로, 외국 공사와의 접견과 신하와 정사를 논하는 편전으로 사용되었다. # 20세기초 유리건판. ◆ 일제강점기 경복궁 훼손 ◆ 궁궐의 비애 #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경복궁 전각 매매. - 오호 통재라~ # 1915년 시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개최 - 흥레문과 회랑, 동궁(자선당, 비현간, 시강원) 훼철 # 1916년 조선총독부 청사와 부설건물 건립 - 영제교와 어구 훼철 및 동쪽 궁장으로 광화문 이건 # 1917년,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 전각 복원을 위해 경복궁 전각을 이동~ .. 2022. 2. 15.
2021_고궁박물관8_2층_조선의 궁실 2021_고궁박물관8_2층_조선의 궁실 # 조선의 궁궐 ◆ 삼장법사 ◆ 잡상 ◆ 경회루 연못 출토 청동룡 - 조선 - 1865년 - 이 용은 왜 경회루 연못에 있었을까? 경회루전도(경회루전도慶會樓全圖)에 의하면 화제를 예방하기 위해, 청동룡 2개를 연못에 넣었다고 한다. ◆ 궁궐 주련 受敎 非先生勿入(비선생물입) 受敎 見來客不起(견래객불기) 淸興高於將上月(청흥고어장상월) 맑은 흥취 하늘로 떠오르려는 달보다 고아하고 深情溢比欲開遵(심정일비욕개존) 깊은 감정 뚜껑을 열려고하는 술단지만큼 흘러 넘치네 # 궁궐 공간구성 # 정전(正殿) ◆ 진연도첩(進宴圖帖)_[숙종 즉위 30년 기념찬치 그림]_복제품. - 조선 - 1706년(숙종 32) -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렀다. 임진왜란 이후 100여년만에 연린 외연(外宴.. 2022. 2. 1.
2021_고궁박물관10_2층_왕실의 생활2 2021_고궁박물관10_2층_왕실의 생활2 ◆ 주칠원형소반(朱漆圓形小盤)_붉은칠 원형 소반 - 조선 - 1881년(고종 18) - 상판 뒷면에 "신사큰젼고간대듕소십오듁"이라고 새겨져 있다. 대중소 각 50개씩 납품된 그릇 중 하나이다. ◆ 칠가합(漆器盒) - 왕실에서 사용하던 칠기합으로 뚜껑 상단에 왕을 상징하는 용과 봉황 문양을, 옆면에는 꽃문 나비, "囍" 등 문양을 장식하였다. # 수라간(水剌間) ◆ 은제솥[釜] ◆ 법랑탕기 - 청대 - 20세기초 *대한제국 시기 청대의 법랑을 수입하여 사용했다는 사실... ◆ ◆ ◆ ◆ ◆ ◆ 법랑 향로 ◆ 분청사기 인화문_"금산 장흥고(長興庫)"명문이 새겨진 사발과 접시. - 조선시대 - 15세기 ◆ 분청사기 인화문 "내섬" 명문이 있는 대접 - 조선시대 - 1.. 2022. 2. 1.
2021_고궁박물관9_2층_왕실의 생활1 2021_고궁박물관9_2층_왕실의 생활1 ◆ 반달 나무빗 - 조선 - 나무로 이렇게 섬세한 빗을 만들다니, 대단하시다. ◆ 화장 도구함? - 뚜겅과 몸통에 "壽"자가 쓰여져 있다. - 혹시 연지곤지 찍는데 사용하는 화장품 통 ◆ 상자 - 혹시 경대?? ◆ 옥비녀 ◆ 경선궁(慶善宮) 회계문서 - 대한제국 - 1903년 이후 - 1903년부터 1910년 사이에 경선궁에서 쓰인 물품과 지출 내역을 기록했다. *경선궁은 고종의 후궁인 순헌왕귀비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던 곳이다. ◆ 왕비와 세손빈의 인장 ◆ 후궁의 궁궐 도장 # 정1품 빈(嬪)의 인장 10: 영조의 후비 영빈이씨_영빈방 11: 영조의 후비 영빈이씨_성희궁 12: 정조의 후비 의빈성씨_의빈방 13: 정조의 후비 희빈윤씨_경수궁 ◆ 16: 헌종의 후비 .. 2022. 2. 1.
2021_고궁박물관7_2층_조선의 국왕4 2021_고궁박물관7_2층_조선의 국왕4 ◆ 임관주연식희이제(臨觀胄筵識喜以題)_서연에 임하여 보면서 기쁨을 기록하여 쓰다. 甲觀今開講 화려한 저택에서 이제 강론을 여니 溫文又日新 배우고 익힌 글이 날로 날로 새롭네 臨筵予有喜 경연에 임하여서 내 마음 흐뭇하여 賜讌太和春 화창한 봄날 연회를 베푸네 병술 계춘(丙戌季春) # 승정원일기 고종 23년 3월 15일(1886년 光緖(淸/德宗) 12년)의 기사에 "王世子行召對訖。 仍下御製詩曰, 甲觀今開講, 溫文日又新, 臨筵予有喜, 賜讌太和春。"라고 하였다. 왕세자가 소대를 행하였다. 이어 어제시(御製詩)를 내렸는데, 甲觀今開講 화려한 저택에서 이제 강론을 여니 溫文又日新 배우고 익힌 글이 날로 날로 새롭네 臨筵予有喜 경연에 임하여서 내 마음 흐뭇하여 賜讌太和春 화창한.. 2022. 1. 30.
2021_고궁박물관6_2층_조선의 국왕3 2021_고궁박물관6_2층_조선의 국왕3 # 어필 석각(御筆石刻) ◆ 1. 태조대왕(太祖大王) 어필 각석 - 태조 이성계가 숙신옹주에게 집을 지어주고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해 쓴 문서를 새긴 석각. - 1판에 "대조대왕어필"이 두 번 새겨져 있다. "建文 參年 辛巳 玖月 拾伍日 妾生女子~~~" ◆ 2. 선조대왕(宣祖大王) 어필 각석 - 가을의 정취를 읊은 시. * 어필 아래에 이 석각의 번호가 있다. "一 " - 1번째줄과 2번째 줄 사이에 "二十九가 새겨져 있다. - "空庭得楓樓 藹藹碧珍瓏~~~ " ◆ 3. 효종대왕(孝宗大王) 어필 각석 - 효종이 심양에서 귀국한 구오(具鏊)에게 보낸 편지이다. - "어찰(御札)" *2번째 줄 纓자 오른쪽에 "五十三 九"라고 새겨져 있다. ◆ 6. 숙종대왕(肅宗大王) 어.. 2022. 1. 27.
2021_고궁박물관5_2층_조선의 국왕2 2021_고궁박물관5_2층_조선의 국왕2 ◆ 규장각(奎章閣) 현판 ◆ 규장각 내부 모형 - 서가에 책이 복제본 책이 놓여 있다. ◆ 액정서도좌목현판(掖庭署都座目懸板) - 대한제국_1901년(광무 5년) - 이름, 생년, 본관, 근무 순번이 새겨져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A1%EC%A0%95%EC%84%9C ◆ 조선시대 관제표 -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 어필서하호조현판(御筆書下戶曹懸板) - 조선 1734(영조 10) - “절용축력(節用蓄力) 균공애민(均貢愛民)” 쓸때 쓰고 아낄 때 아껴라. “씀씀이를 절약하여 재력을 축적하고, 공물을 고르게 배정하여 백성을 사랑하라.”영조의 애민정신을 느끼게 하는 문구이다. ◆ 대전통편(.. 2022. 1. 27.
2021_고궁박물관3_1층_인사동 발굴유물 2021_고궁박물관3_1층_인사동 발굴유물 ◆ 인사동에서 발견한 조선 전기 금속활자_안내판. - 세종 16년에 주조한 갑인자, 세조 1년 주조한 을해자, 세조 11년에 주조한 을유자 등의 활자가 있다. 또한 15세기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동국정운에 사용한 한글 활자도 있다. - 손바닥으로 화면을 누르면 다양한 활자가 나타납니다. ◆ 주자사실(鑄字事實) - 활자를 주조한 내용을 기록한 목판. 총 47행으로 되어 있다. 앞부분에는우리나라 활자의 시작이 태종조 계미년에 시작했다고 되어 있다. ◆ 주자소(鑄字所) 현판 ◆ 활자 2022. 1. 19.
2021_고궁박물관2_1층_대한제국2 2021_고궁박물관2_1층_대한제국2 ◆ 대한예전(大韓禮典)_복제 - 대한제국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대한제국의 예제를 제정하여 시행하기 위한 책이다. 국조오례의를 기초로하고 明의 의례를 참고하였다. 이 책에는 환구단 도면, 황제 복식, 깃발 등의 그림과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 대례의궤(大禮儀軌)_복제 - 고종황제의 즉위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대한제국_1897년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보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황제 즉위식과 황후와 황태자 책봉 등의 의식 절차가 수록되어 있다. 또 황제를 상징하는 황색 가마와 의장물을 확인할 수 있다. ◆ 신축진연의궤(辛丑進宴儀軌)_금속활자본 - 대한제국_1901년 *보물. 유네.. 2021. 12. 25.
2021_고궁박물관1_1층_대한제국1 2021_고궁박물관1__1층_대한제국1 - 궁중의 기물 ◆ 주방 기물 ◆ 관문각(觀文閣) 현판 ◆ 돈덕전(惇德殿) ◆ 중화전(中和殿) ◆ 덕수궁 평면도 - 지도의 건물 명칭에서 대한제국의 실제를 느낄 수 있다. ◆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 환구단의궤(圜丘壇儀軌) -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 환구축판(圜丘祝版)_환구제를 지낼 때 축문을 올려두는 판이다. - 대한제국 *붉은 색으로 칠했다. ◆ 유등(鍮㽅)_유기(놋쇠)로 만든 국 담는 제기 - 대한제국 '㽅'은 간을 하지 않은 고깃국_대갱(大羹)을 담는 데 사용한다. 그릇 밖에 붉은색으로 '환구단'의 '丘'자가 쓰여 있다. ◆ 유식축(鍮食柷)_유기(놋쇠)로 만든 주걱 - 대한제국 - 곡식을 푸는 데 사.. 2021. 12. 25.
개풍 현화사지 석등(玄化寺址石燈) 및 배례석 개풍 현화사석등(玄化寺址石燈) 및 배례석(拜禮石) - 현화사는 고려 현종이 부모님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사찰이다. 현종은 법경(法鏡)을 현화사 초대 주지로 임명하고 칠층섭탑과 이 석등을 만들게 했다. 석등 앞에 있는 배례석의 출토지는 미상이다. - 석등 상부 - 석등 중간_등실 - 석등 하부 # 석관 2021. 9. 26.
충주 정토사 홍법국사탑(淨土寺址弘法國師塔) 및 비(碑) ◆ 충주 정토사 홍법국사탑(淨土寺址弘法國師塔). 국보 제102호. - 여말선초에 활약한 홍법국사의 사리탑이다. 홍법국사는 당나라에서 수행하였으며, 고려 성종 때 대선사를 겨쳐, 목종 때 국사(國師)의 칭호를 받았다. 탑 중앙에 원형의 몸돌은 매우 특이한 형태로 고려 초의 새로운 시도이다. - 탑의 상부_옥개석(屋蓋石) - 탑의 중앙 # 충주 정토사 홍법국사탑비(淨土寺址弘法國師塔碑). 국보 제359호. - 1915년 경복궁으로 옮김. - 이수(螭首:머리)에 "실상지탑(實相之塔)"이라고 새겨져 있고, 비신(碑身:중앙) 상부에 "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의 전액(篆額:전서로 쓴 제목)이 새겨져 있다. 2021. 9. 25.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居頓寺址 圓空國師塔)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居頓寺址圓空國師塔). 보물 제190호. - 고려 전기에 활동한 원공국사 지종(智宗: 930~1018)의 묘탑이다. 고려 현종 16년(1025)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불법 반출되었다가 1948년에 경복궁으로 옮겼다. 원주 부론면 정산리 거돈사지에는 원공국사탑비가 남아 있다. 탑의 상단과 하단에 사천왕, 방부증 등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탑신 정면 상단에 탑 이름이 새겨져 있다. - 탑신부_중대석_실창 - 탑의 하부_하대석 # 탑 기단부_사천왕상 2021. 9. 25.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興法寺址眞空大師塔)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原州興法寺址眞空大師塔) 및 석관(石棺). 보물 제655호. # 신라 신덕왕(神德王)과 고려 태조의 왕사(王師)를 지낸, 진공대사 충담(忠湛)의 탑이다. 팔각집 모양에 기단 중간에는원통형에 구금과 용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 옥개석(屋蓋石) - 탑의 하부_하대석 - 용문양 # 석관 2021. 9. 24.
양평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菩提寺 大鏡大師 玄機塔碑) ◆ 양평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菩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 보물 제361호.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의 보리사지. 1914년 경복궁으로 옮김. 신라말~고려초. 성주산문(聖住山門)의 여엄(麗嚴:862~930)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 고려 태조 22년(939)에 건립했다. 거북 받침돌(귀부)가 거북에서 용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머릿돌(이무기머리)에 구름과 이무기가 조각되어 있다. - 탑의 상부 # 고대경대사(故大鏡大師) - 탑의 중앙 - 탑의 하부 - 몸은 거북, 머리는 용이다. 마치 이순신장군의 거북선을 보는듯하다. # 석관 2021. 9. 24.
창원 봉림사 진경대사탑(鳳林寺 眞鏡大師寶月凌空塔) ◆ 창원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 보물 제362호. - 통일신라 말기 선종 봉림산문의 시조인, 고승 진경대사 심희(審希)의 묘탑. 완만한 팔각집 모양이다. 기단부에 꽃받침 문양을 새겼다. - 탑의 상부 - 탑의 하부 2021. 9. 24.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興法寺址 廉居和尙塔) # 국립중앙박물관 입구 왼쪽에 있는 야외 전시장 탑이 자기 자리에 있을 가장 아름답지만, 그래도 야외에 있어서 그나마 위안이 됐다. ◆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興法寺址 廉居和尙塔). 국보 제104호 신라 문성왕 6년(844)에 세워졌다. 선종인 가지산문 2대 선사 염거화상을 위해 만들었다. 8각집 모양에 사천왕 등 부조상을 새겼다. 이후 만들어진 탑은 이를 전승한 팔각 구조에 부조를 새겼다. - 탑의 상부 - 탑의 하부 팔면에 사천왕상 등이 조각되어 있다. 2021. 9. 23.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고대5_신라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5_삼국시대_신라 ◆ 새모양 토기 ◆ 철로 만든 칼 ◆ 다양한 모양의 토기 ◆ 와당(瓦當) ◆ ◆ 포항 냉수리 신라비(복제품) - 경북 포항 냉수리 - 국보264호 - 삼국시대_신라 503년 ◆ 굽다리 곧은목 항아리 ◆ ◆ 뚜껑 있는 접시 ◆ ◆ 굽다리 접시 - 안.. 2019. 10. 15.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고대4_삼국시대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4_삼국시대 ◆ 항아리는 데우는 솥?? ◆ 새 발자국 무늬 항아리 - 삼국시대 4~5세기 - 전남 영암 만수리 고분군 - 1984년 발굴_국립광주박묵관 소장 ◆ 장고형 그릇 받침 - 백제_7세기 - 충남 부여박물관 소장 ◆ ◆ ◆ ◆ ◆ ◆ ◆ ◆ ◆ # 가야 ◆ ◆ ◆ .. 2019. 10. 15.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고대3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3 # 청동 그릇_평안도 대동군 석암리 9호 고분 - 낙랑 시기 무덤이다. ◆ 청동 소호(小壺) ◆ 청동 냄비[靑銅洗]?? - 봉산 양동리 5호 무덤 출토 ◆ 질 화덕 ◆ 거울 - 평안도 평양 ◆ 토기 ◆ 오리모양 토기 ◆ 토기 ◆ 새모양 토기 ◆ ◆ 집모양 토기 ◆.. 2019. 10. 15.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고대2_고조선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2_고조선 ◆ 돌칼 ◆ 청동 방울 - 의례에 사용하던 물건이다. 왼쪽은 간두령(竿頭鈴), 오른쪽은 쌍두령(雙頭鈴) ◆ 청동 방울_간두령(竿頭鈴) ◆ X자형 쌍두령(雙頭鈴)_조합식 쌍두령 ◆ 청동거울 ◆ 도끼날 ◆ 비파형 동검과 돌칼 ◆ 쌍귀 단지 ◆ 비.. 2019. 10. 15.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구석기_신석기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1_구석기_신석기 - 회의 시간이 남아 잠시 들렀다가 핸드폰으로 몇 장 찍었다. ◆ 울주 암각화 모형 # 구석기 - 한반도 구석기는 플라이스토세 중기(약78~13만 년 전) 추정. ◆ 연천 전곡리 돌도끼 # 원거리 교류 ◆ 신석기 # 토기의 등장 ◆ 토기 파편 .. 2019. 10. 15.
서삼릉 # 서삼릉 ◆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진 곳. ◆ 어처구니 ◆ 석등 ◆ 무인석_너무 착한 무인 ◆ 무인석_별로 인상 좋지 않은 무인. ◆ 능 둘레 문양 ◆ 무인상_졸리신듯. ◆ 문인석_이분도 졸리신듯 ◆ 문인석_기분 좋은신듯 ◆ 석등_문양이 아름답다 2018. 8. 2.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왼쪽 서법 회화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왼쪽 서법 회화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앞 기증유물3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앞 기증유물3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가운데 기증유물2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가운데 기증유물2 외국유물 예쁜 통나무 아기욕조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뒤 기증유물1 2016 국립중앙박물관 2층 오른쪽 뒤 기증유물1 귀하신 분이 쓰던 도장?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뒤 일본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뒤 일본 중국에 비해 유물의 종류와 갯수가 소박했다.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가운데 중국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가운데 중국 ◆ 金沙寺? - 금사사는 중국 복건성(福建省) 장정현(長汀縣) 북부에 있다. 2016. 10. 16.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앞 인도 및 동남아 2016 국립중앙박물관 3층 오른쪽 앞 인도 및 동남아 중앙아시아 2016.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