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158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1_제3전시실3_역사 문화3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1_제3전시실3_역사 문화3 ◆ 굽다리 긴 목 항아리[臺附長頸壺] - 백제 - 군산 산월리 - 세로의 선 문양, 짧고 비스듬한 문양, 새 발 모양 문양, 격자 문양 등 여러 문양이 복합적으로 겹쳐져 있다. 굽다리는 삼각형 구멍을 내어 2단으로 배치하고 좌우로 삼각형 톱니무늬를 새겼다. # 마한은 익산 문화의 바탕이다. - 마한 사람들, 문화를 꽃피우다. # 마한 고분의 유물들 - 분구묘(墳丘墓)에 출토된 유물이다. ◆ 11. 독 항아리[甕] - 마한 - 익산 율촌리 ◆ 7~8. 짧은 목 항아리[短頸壺] - 마한 - 익산 율촌리 ◆ 9. 깊은 바리[深鉢] - 마한 - 익산 율촌리 ◆10. 두 귀 달린 항아리[兩耳附壺] - 마한 - 익산 율촌리 ◆ 1. 쇠낫[鎌] - 마한 / 익.. 2022. 10. 3.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0_제3전시실2_역사 문화2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0_제3전시실2_역사 문화2 # 고대 문화의 중심, 익산. 익산과 전북 서북부 지역의 산성 ◆ 1. "금마저성(金馬渚城)"이 새겨진 평기와. - 통일신라 - 익산 미륵산성 ◆ 2. "시산관초(屎山官草)" 새견진 둥근 기와. - 통일신라~고려 - 군산 안흥 유적 ◆ 3. "전주성(全州城)"이 새겨진 수막새 - 통일신라~고려 - 전주 동고산성(출토 추정) # # 금동관 관모와 금동 신발 # 금동 유물 ◆ 1. 금동관모 ◆ 2. 금동관 꾸미개 ◆ 3. 금동관 세움장식 ◆ 4. 금동 대관(臺冠) ◆ 5. 금동 드리개 ◆ 6. 금동 신발 # 입정리 고분군, 백제 중앙 영향권에 들다. 3. 재갈 ◆ 1. 화살통 꾸미개 ◆ 2~3. 유리 구슬 ◆ 4. 은제 고리 ◆ 5. 은제 장식 못 ◆.. 2022. 9. 30.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9_제3전시실1_역사 문화1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9_제3전시실1_역사 문화1 # 익산과 전북 서북부의 역사와 문화 ◆ 순금 불상좌상 - 고려(1361년 추정) - 익산 원수리 # 기록은 사람의 역사를, 그림은 땅의 역사를 보여준다. - 책과 지도, 옛 기록과 모습. * 막상 전시된 자료가 몇 개 없다. ◆ 전라도 지도 # 고대 토기에서 익사의 역사를 읽다. - 토기, 생산과 소비 속 지역을 잇다. # 익산 신용리 가마터 ◆ 1. 항아리[壺] 大 ◆ 2. 항아리[壺] 小 ◆ 3. 굽다리 접시[高杯] ◆ 4. 세발 달린 토기 ◆ 가마 출토품. # 각종 토기들 ◆ 중앙5. 각진 병[扁球甁] - 통일신라 - 익산 미륵사지_보령 진죽리. ◆ 7, 8. 주름무늬 병 - 익산 미륵사지(7), 보령 진죽리(8). ◆ 4. 납작한 병과 뚜겅.. 2022. 9. 27.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4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4 ◆ 1. "기축(己丑)"이 찍힌 기와 ◆ 2. "복순(福巡)"이 찍힌 기와 ◆ 3. "사모(巳毛)"가 찍힌 토기 ◆ 4. "병(丙)"이 찍힌 토기 ◆ 5. "사(巳)" "모(毛)"가 찍힌 토기 ◆ 6. 문양이 찍힌 토기 ◆ 7. "복순(福巡)"이 찍힌 기와 ◆ 8. "수부(首府)"가 찍힌 토기 ◆ 10. "정(井)"이 찍힌 토기 ◆ 11. 바람 문양이 찍힌 기와 ◆ 12. "병(丙)"이 찍힌 기와 ◆ 13. "진(辰)"가 찍힌 토기 - 반대로 찍혀 있다. ◆ 14. "진(辰)"가 찍힌 토기 ◆ 15. "진(辰)"가 찍힌 토기 ◆ "왕궁사(王宮寺)"가 새겨진 토기 # 글자가 새겨진 기와 ◆ "대관궁사(大官宮寺)"가 찍힌 기와 - 국립익산박물관 ◆ "관궁사(官宮寺)"가 찍힌 .. 2022. 9. 26.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3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3 ◆ "증부을와(中部乙瓦)"가 찍힌 기와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수부(首部)" 도장이 찍힌 기와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 "도하(刀下)"가 찍힌 기와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기조(己助)"가 찍힌 기와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문자가 찍힌 토기 조각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국립익산박물관 ◆ 1. "상부을와(上部乙瓦)"가 찍힌 기와 ◆ 2. "상부(上部)"가 찍힌 기와 ◆ 3. "신부갑와(申部甲瓦)"가 찍힌 기와 ◆ 4. "전부을와(前部乙瓦)"가 찍힌 기와 ◆ 5. "전부갑와(前部甲瓦)"가 찍힌 기와 ◆ 6. "수부(首部)"가 찍힌 기와 ◆ 7. "신부갑와(申.. 2022. 9. 26.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2 2022_08_백제 왕궁박물관2 # 왕궁의 정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숫돌, 돌끌, 석제품, 거푸집조각, 토기조각.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국립익산박물관 ◆ 유리 구슬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국립익산박물관 # 왕궁의 공방 ◆ 좌하: 납유리 조각 ◆ 우측: 유리 도가니_유리 도가니 뚜껑. ◆ 동도가니 ◆ 동슬래그 ◆ 석기 벼루 ◆ 좌: 짐승 다리모양 토기 ◆ 항아리 조각 ◆ 배수로 - 백제 왕궁리유적 # 왕궁의 부엌 ◆ 목 짧은 병[短頸甁] - 백제 왕궁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숫돌 - 백제 왕궁리유적 # 왕궁의 토기 ◆ 각종 토기 - 전달린 토기[아궁이 등에 얹어 끓일 수 있는 토기?]와 굽이 달린 토기. ◆ 굽달린 사발, 작은 사발, 뚜껑. ◆.. 2022. 9. 26.
2022_08_백제왕궁박물관1 2022_08_백제왕궁박물관1 - 주차장 크기에 비해 전시실은 크지 않다. 1층 입구 왼쪽 앞에 주 전시관이 있고, 오른쪽 뒷편에 기획전시관이 있다. 기획전시관에는 실제 유물은 없고, 주로 사진자료이다. # 백제왕궁실_수부(首府) - "왕궁에 담긴 백제 중흥의 꿈"이 주제이다. # 관세음응험기 - 백제 무광왕(武廣王)이 지모밀지(枳慕密地)에 천도하여 정사를 새로 지었다. ... # 왕궁의 성토 방식. # 왕궁의 와적 기단 - 기와를 쌓아서 만든 기단이 인상적이다. 와적기단은 지붕에 올렸던 기와를 재활용한 것으로 삼국시대의 건물축조 방식이다. 이 기단은 석축기단에 비해 튼튼하지는 않으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장식성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와적기단은 부여와 익산의 백제 도성 관련 유적과, 정림사지와 .. 2022. 9. 26.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8_제2전시실5_미륵사지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8_제2전시실5_미륵사지5 # 사원의 일상과 풍경 - 불단(佛壇)과 공양 도구 ◆ 9. 청동 등잔과 받침 모형 - 고려 - 미륵사지 ◆ 10. 청동 등장 - 고려 - 미륵사지 ◆ 11. 청동 남작병 - 통일신라 - 북 승방지 ◆ 2~3. 청동 사발[靑銅鉢] - 통일신라 - 북 회랑지 ◆ 4. 토기 매병(土器梅甁) - 고려 - 미륵사지 ◆ 5. 청동 대접 - 고려 - 미륵사지 ◆ 6. 토기 매병(土器梅甁) - 고려 - 미륵사지 ◆ 16. 청동 대접 - 통일신라 - 미륵사지 ◆ 8. 청자 화분 - 고려 - 북쪽 건물지13 ◆ 중앙 14. 청동 향완(靑銅香琓) - 고려 - 사자암 ◆ 12. 청동 정병(靑銅淨甁) - 고려 - 미륵사지 ◆ 15. 청동 접시 - 통일신라 - 미륵사지 ◆ .. 2022. 9. 2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7_제2전시실4_미륵사지4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7_제2전시실4_미륵사지4 # 미륵사에서는 자급자족의 경계구조가 자리 잡았다. - 사원의 생산과 경제. # 녹색의 향연, 유리 제작 - 미륵사 곳곳에서 유리를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1. 도가니와 뚜껑 - 백제 - 동원 동쪽 배수로 ◆ 2. 납유리 조각 - 백제 - 미륵사지 # 철제 물건들 ◆ 1. 뒤꽃이 거푸집_고려 / 북쪽 축대 ◆ 2. 청동 뒤꽃이_고려 / 미륵사지 ◆ 3. 가위_鐵鋏 - 조선 - 미륵사지 ◆ 4. 모루[鐵臺]와 집게[鐵鉗] _고려 / 미륵사지 ◆ 5~6. 곡괭이[鐵鎬]_고려/ 미륵사지 ◆ 7~8. 쇠도끼[鐵斧]_조선 / 북쪽 건물지 ◆ 9~12. 따비[鐵耟]_통일실라~고려 / 미륵사지 ◆ 13~14. 쇠스랑[鐵搭]_고려/ 미륵사지 ◆ 15... 2022. 9. 2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6_제2전시실3_미륵사지3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6_제2전시실3_미륵사지3 # 백제인의 간절한 염원, 사리장엄구 ◆ 1. 금제 사리내호(金製舍利壺) - 백제 - 서원 석탑 심주석 ◆ 2. 사리병(琉璃製舍利甁)_복원품 - 백제 - 서원 석탑 심주석 # 금제 내호 안에는 유리 구슬과 금구슬 등과 함께 유리 사리병이 담겨 있었다. ◆ 유리 구슬 4종. - 비취색, 갈색, 연노랑, 노랑색 등이 있다. ◆ 4. 꽃 모양 금구슬 ◆ 5. 마노 대롱옥 ◆ 6. 마노 구슬 # 미륵사지 석탑 사리호 ◆ 금동 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 보물 제1991호 ◆ 2. 자수정 # 다른 모양에 담긴 같은 마음. # 심주석 사리 구멍에서 발견된 청동합 ◆ 1. 청동합(靑銅盒) ◆ 2. 청동합(靑銅盒) ◆ 3. 청동합(靑銅盒) ◆ 4. 청동합(靑銅盒) ◆.. 2022. 9. 2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5_제2전시실2_미륵사지2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5_제2전시실2_미륵사지2 ◆ 1. 청동 봉황 장식 - 통일신라 - 중원 남문터 ◆ 2. 청동 봉황 장식 - 통일신라 - 임실 용암리사지 ◆ 3. 청동 말 - 통일신라 - 서쪽 사원 서 회랑터 ◆ 4~7. 흙으로 만든 말 - 고려 - 미륵사지 ◆ 8. 흙으로 만든 자라 - 고려 - 북쪽 후대 건물지 * 훼손이 심해 자라 모양을 확인하기는 힘들다. ◆ 9. 얼굴이 그려진 기와 - 통일신라 - 미륵사지 ◆ 10. 얼굴이 그려진 기와 - 백제 - 미륵사지 ◆ 11. 얼굴이 그려진 기와 - 통일신라 - 미륵사지 * 얼굴 모양이 선명하게 파여 있다. ◆ 12~14. 진단구로 사용된 그릇_鎭壇具 - 고려 - 미륵사지 #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는 백제 불교미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 백제.. 2022. 9. 2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4_제2전시실1_미륵사지1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4_제2전시실1_미륵사지1 # 백제 최대의 가람 미륵사 # 치미 ◆ 먹통 # 미륵사는 백제인의 예술적, 종교적 성취가 건축적으로 표현된 결과물이다. # 미륵사지 9층석탑 모형 # 수막새 # 목탑에 사용된 막새 ◆ 1. 연꽃무늬 수막새와 암키와 - 백제 ◆ 2. 국화무늬 수막새와 넝쿨무늬 암막새 - 통일신라 # 아로새겨진 바람, 사리봉영기 ◆ 사리봉영기 - 백제 / 서원 석탑 심주석 - 보물 제1991호 # 백제의 꿈이 서린 미륵사 # 문자가 새겨진 기와 조각들. ◆ "공양주(供養主)"가 새겨진 기와 ◆ "천력삼년(天曆三年)"이 새겨진 암기와 조각 - 고려_북쪽 건물지1 - 천력 3년 충숙왕 17년(1300). 경우년 장개이(張介耳)가 시주하다. ◆ "연우4년정사(延祐四年丁巳)".. 2022. 9. 25.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3_제1전시실2_익산 백제2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3_제1전시실2_익산백제2 # 왕궁에서 사원으로 - 왕궁리 5층석탑 ◆ 2좌: 청동방울_청동력(靑銅鈴) ◆ 1우: 금동 여래입상 - 통일신라 - 익산 왕궁리 5층석탑_국보 제123호 ◆ 왕궁리 5층석탑 사리함과 사리호 # 금과 은으로 만든 금강경 ◆ 금판과 은판 ◆ 4. 금동 경판 내함 ◆ 5. 주칠 금동 경판 외함 ◆ 3. 유리 구슬 # 제석사지와 관세음응험기 - 왕실 사원 제석사 ◆ 금동 나무널 꾸미개 조각 # 백제의 소조기술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 2022년 10월 1일~2023년 1월 29일 ◆ 소조 천부상_머리 - 작품은 마침 해외 여행중 ◆ 소조 승려상_머리 - 백제/익산 제석사지 폐기장 ◆ 소조 승려상_머리 - 백제/익산 제석사지 폐기장 ◆ 소조 악귀상_머리 .. 2022. 9. 22.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2_제1전시실1_익산 백제1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2_제1전시실1_익산 백제1 # 백제의 미래, 익산 # 왕궁의 담장 - 왕궁리유적 궁장은 동아시아에서 보존이 가장 잘 된 왕궁 담장이다. # 궁장의 구성 - 채움흙 면적 - 왕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 백제의 토목기술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 왕궁의 기와, 사원의 기와 ◆ 익산 왕궁리유적의 백제 수막새기와 무늬 비교 ◆ 1. "中部乙瓦(중부을와)"가 찍힌 기아 - 익산 왕궁리 ◆ 2. "福巡(복순)"이 찍힌 기와 - 익산토성 ◆ 3. 연꽃무늬 수막새 / 익산 왕궁리 ◆ 4. 연꽃무늬 수막새 / 부여 관북리 ◆ 5. "首府(수부)"가 찍힌 기와 / 익산 왕궁리 ◆ 6~7. "首府(수부)"가 찍힌 기와 / 부여 관북리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1~2. 연꽃무늬.. 2022. 9. 22.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_기획전시실_100년 전 미륵사지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_기획전시실 - 입구에는 미륵사지 탑 모서리에 있는 석상이 지키고 있다. # 박물관은 지하에 있다. 뮤지엄 카페를 지나서 맨 끝에 전시관이 있다. 오른쪽이 특별전시관, 왼쪽은 상설전시관이다. # 박물관 전시관 안내도 # 기획전시질 - 조선통복부박물관 유리건판 사진 - 100년 전 미륵사 터와 석탑 사진이 전시되었다. ◆ 당간지주에 서 있는 조선 사람 ◆ 당간지주에 서 있는 일본 학자 ◆ 미륵사탑 옆에 서 있는 인부? ◆ 미륵사 탑 ◆ 멀리 논에 파묻힌 미륵사지가 보인다. 2022. 9. 6.
2022_국립중앙박물관_2층 상설전시관 서화실 2022_국립중앙박물관_2층 상설전시관 서화실 - 왕실은 석각 ◆ 문종(文宗) 어필 - 두목의 https://blog.daum.net/yjongha/138 江涵秋影雁初飛(강함추영안초비) 강물에 가을빛 담기고 기러기 날아오면 與客携壺上翠微(여객휴호상취미) ​손님과 같이 술병 들고 산 중턱에 오른다 塵世難逢開口笑(인세난봉개구소) 진세에 크게 웃을 일 만나기 어려우니 菊花須揷滿頭歸(국화수삽만두귀) 머리 가득 국화나 꽂고 돌아가리라 但將酩酊酬佳節(단장명정수가절) 중양절 좋은 날 다만 흠뻑 취하려 하니 不用登臨怨落暉(불용등림원락휘) 산에 올라도 지는 해를 원망하지 말라 古往今來只如此(고왕금래지여차) 예나 지금이나 인생살이 다 마찬가진데 牛山何必淚沾衣(우산하필루점의​​) 어찌 우산에 올라 눈물로 옷을 적시는가​ ◆.. 2022. 3. 27.
2021_국립중앙박물관 # 2021_국립중앙박물관_# 도자기의 교류 - 도자기에 담긴 동서교류 600년 ◆ 이슬람 양식 중국 백자 청화 주전자 - 중국, 명(明)나라_1540~1660 - 프린세스호프 국립도자박물관 ◆ 청자 물가 풍경 무늬 매병 - 한국, 고려(高麗) 13세기 - 덕수5382 ◆ 청자 포도 동자(童子)무늬 병 - 한국, 고려 12세기 - 덕수1701 # 아시아에서 발생한 자기와 교역 # 16세기 이전 중국의 대외 무역, 해상 실크로드. # 난파된 신안선과 그 배에 실린 중국 자기 ◆ 흑유 모란당초문 매병(黑釉牡丹唐草文梅甁)_모란 넝쿨무늬 매병 - 중국, 원(元) - 자조요 신안선 출토 - 신안12111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마크가 있는 접시 - 일본, 에도시대 1670~1720 - 아리타(有田) - 프린세스호.. 2022. 3. 26.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6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6 # 이집트의 역사 # 기원전 3000년경 - 달력의 사용, 수학과 기하학의 발잘, 의학의 발달. ◆ 기원전 2500년경 - 스핑크스 ◆ 오벨리스크, 여왕 핫셉스트 ◆ 기원전 1250년경 - 람세스 2세 ◆ 기원전 5세기 - 헤로도트스의 이집트 여행 - 헤로도토스의 이집트 여행._BC.450년 이집트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힘을 덜 들이고 곡식을 수확한다. 쟁기로 밭을 갈거나 힘든 농사일을 할 필요가 없다. 강물이 저절로 흘러 들어와 농경지를 갈아엎고 물러가기만을 기다리면 된다. -헤로도토스의 ㅡ ◆ 기원전 69~30년 - 클레오파트라 7세 ◆ 642년 - 잊혀진 문명_쿠푸왕의 대피라미드 ◆ 1798년 -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 1922년 - 투탕카멘 무덤의 발굴 .. 2022. 3. 26.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5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5 # 문자와 예술 - 기원전 3000천 년 전 시작된 이집트 역사에는 31개 왕조와 수 많은 왕들이 존재했다. 왕의 재위 기간이나 사건이 구체적인 연도와 함께 알려져 매우 놀랍다. ◆ 파디마헤스 - 타레모우(레온토폴리스) - 후기왕조 시대, 제25왕조 후기~제26왕조 초기 - BC.680년~BC.650년. - 장석 반점이 있는 화강섬록암. # 이 조각상은 '파디마헤스'가 웅크리고 앉아 얼굴을 들어 앞을 보고 있는 모습이다. 이 조각상은 신전의 바닥에 놓아 파디마헤스가 신들을 위한 의레에 영영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물 조각상을 신전에 모시는 이유는 자신의 혼이 무덤에서 나와 조각상에 깃들어 신에게 바쳐진 공헌물을 나누어 가질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내용은 .. 2022. 3. 23.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4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4 ◆ 뚜껑 달린 카노푸스 단지 - 후기왕조 시대, 제26왕조. - BC.664년~BC.525년. 이 단지는 신체를 미라로 만들 때 제거된 장기를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미라 관 # 부적들 1. 좌후: 티예트 부적([이시스의 매듭] - 신왕국, 제18~19왕조 - BC.1539년~1075년. - 벽옥 2. 좌전: 제드 기둥 부적[오시리스의 척추] - 후기왕조시대, 제26~30왕조 - 파이앙스 3. 우중: 심장 스카라브 - 사카라 - 후기왕조 시대, 제26왕조 -BC.664년~525년. - 독석, 금박 ◆ 4. 이시스, 어린 호루스, 네프티스 - 프톨레미이오스 시대 - BC.305년U~BC.30년 - 파이앙스에 유약을 발랐다. ◆ 5. 파타이코스 부적 - 후기왕조 .. 2022. 3. 23.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3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3 ◆ 하토르(Hathor)가 있는 거울 - 아스완 - 신왕국, 제18왕조 초기 - BC.1539~1478년 - 청동 *하토르 ◆ 각종 부적 1. 상좌: 바(Ba) 부적 - 사카라 - 후기왕조 시대, 제26~30왕조 - BC.664년~332년 * 바(Ba): 이집트인들이 초자연적 인격을 구성한다고 믿는 영혼 중 하나이다. 2. 상우: 와제트 눈 부적 - 데이르 엘바하리 - 후기왕조 시대, 제26~30왕조 - BC.664년~332년 - 금 3. 하좌: 바 부적 - 사카라 -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 BC.305년~ - 금, 청금석, 터키석, 동석으로 만들었다. 4. 와제트 눈부적 - 사카라 - 후기왕조 시대, 페르시아 시대, 제27왕조 - BC. ◆ 5. 와제트 눈을 가진 .. 2022. 3. 12.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2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2 # 신의 아들, 파라오 # 신화의 시대 - 이집트 신의 계보 ◆ 람세스(Ramses) 2세 - 아비도스, 람세스 2세 신전 - 신왕국, 제19왕조, 람세스 2세 치하 - BC.1279~1213년 - 석회암에 안료를 칠했다. ◆ 프톨레마이오스 왕(Claudius Ptolemaeos)(프톨레마이오스 6세로 추정) -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 BC.186~BC.145년 - 석회석에 안료를 칠했다. ◆ 왕의 머리(프톨레마이오스 12세로 추정) - 테베(Thebes) - 프토레마이오스 시대 - BC.80년~58년, 55~51년 - 석회석으로 만들었다. ◆ 여왕 또는 여신이 새겨진 장식판 - 나일 델타 지역 -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프톨레마이오스 9세 치하 추정 - BC.116년.. 2022. 3. 11.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1 2021_국립중앙박물관 3층_이집트1 ◇ 이집트_삶, 죽음, 부활의 이야기 ◇ 이집트의 역사 # 자연환경 ◆ 1. 석각 ◆ 2. 항아리 ◆ 3. 주걱 모양 인형 - 중왕국 - 약 기원전 BC.2008년~BC.1630년 - 나무에 그림을 그리고 채색했다. 다산과 순산을 기원하는 물건으로 추정한다. ◆ 4. 우유 담는 용기 ◆ 엑세서리 5. 상좌: 목걸이 - 메칼리 선왕조 시대, 나카다 1기 - BC.3850년~3500년 - 석영, 홍옥수, 마노, 동석, 사문석 등으로 만들었다. 6. 상우: 스카라브가 달린 팔찌 - 아비도스_중왕국 제12왕조 - BC.1938년~BC.1875년 - 자수정, 장석으로 만들었다. 7. 중좌: 베스와 타웨레트가 달린 목걸이 - 신왕국 제18왕조 - BC.1539~1292년 - 금.. 2022. 3. 10.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5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5 Ⅳ. 일상 속 청동기 1. 청동 예기의 변화 ◆ 55. 쌍룡락문령(雙龍絡文?)_두 마리 용 문양과 줄로 묶은 문양이 있는 단지 - 춘추 후기__BC.6C~BC.476년 ◆ 52. 용문정(龍文鼎)_용 문양이 새겨진 솥 - 춘추 중기__BC.7C~BC.C 전반 ◆ 53. 반룡문보(蟠龍文簠)_이무기 문양이 새겨진 그릇 - 춘추 후기_BC.6C 전반~BC.476년 2. 생활 청도기의 발달 ◇ 허리띠 고리 착용방법 ◆ 62. 용문대구(龍文帶鉤)_용 문양 허리띠 고리 - 전국시대_BC.475년~BC.221년 ◆ 63. 조문대구(鳥文帶鉤)_새 문양 허리띠 고리 - 전국시대_BC.475년~BC.221년 ◆ 64. 은상감기하문(銀象嵌幾何文帶鉤)_은으로 상감한 기하 문양.. 2022. 3. 8.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3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3 ◇ 술의 봉현 ◆ 23. '백하보령(伯夏父 ?)_'伯夏父'가 새겨진 술단지. 서주 후기_BC.9C~BC.771년 ◇ 청동 예기의 종류 ◆ 22. 기백매망호(杞伯每亡 壺)_'杞伯每亡'이새겨진 술병. - 춘추 전기_BC.770년~BC.7C 전반 ◆ 21. 인문호호(鱗文瓠壺)_물기기 비늘 문양이 있는 조롱박 모양의 술병. - 조롱박 모양 술병 - 서주 후기~춘추 전기_BC.8C~BC.6C ◆ 20. 사치(史 觶)_'史'가 새겨진 술잔 - 상대 후기_BC.13C~BC.11C ◆ 19. 가작(家 爵)_'家'가 새겨진 술잔 - 상대 후기_BC.13C~BC.11C ◆ ●부정 고(●父丁觚)_'●父丁'이 새겨진 술잔. - '●父丁'이 새겨진 나팔 모양 술잔 - 상대 후.. 2022. 3. 4.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2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2 Ⅱ. 신을 위한 그릇 1. 음식 바치는 그릇 ◆ 1. 수면문정(獸面文鼎)_ 짐승 문양이 새겨진 솥 고기 삶는 세발솥 ◆ 10. ~부정 정(~父丁 鼎)_~의 아버지가 丁日에 사망했다는 내용이 있다. - 서주 전기_BC.11C 중엽~BC.10C 전반 - 솥의 외부 중앙에는 매미문양이 있고, 다리에 봉황문양이 있다. ◆ 11. 려왕 력(呂王 鬲) '려왕' 글자가 새겨진 세발솥 - 서주 후기 BC.9C 중엽~BC.771년 ◆ 12. 파곡문 복(波曲文鍑 )_파도치는 문양이 있는 솥 - 굽다리 솥 - 춘추 전기__BC.770년~BC.7C 전반 ◆ 13. 와신수문궤(蝸身獸文簋)_달팽이 문양이 새겨진 그릇 - 곡식 담는 그릇 - 서주 전기_BC.11C~BC.10C 전.. 2022. 3. 3.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1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_상해박물관소장 청동기1# 중국 고대 청동기_신에서 인간으로  Ⅰ. 청동기문화의 시작중국의 청동기는 기원전 2천년 무렵 하(夏)나라 때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토기를 본떠 청동 그릇을 만들었다. 최초의 청동기는 세발 술잔과 고기 삶는 세발솥이다. 중국 역사에서 본격적으로 청동기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첫 번째 나라인 하나라 때부터 입니다. 전설처럼 알려지던 하나라는 1959년 허난(河南)성 옌스(偃師:언사)현 얼리터우(二里頭:이리두)에서 궁전유적이 발견되면서 역사적 사실로 확인되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하나라는 전설 속의 우왕(禹王)이 기원전 21세기에 세운 뒤 17대 걸왕(桀王)에 이르기까지 500년 가까이 존속하였다. 하나라 사람들은 이 지역에 오랜 .. 2022. 3. 1.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 로비 2021_국립중앙박물관 1층 로비 ◆ 팔부중(八部中) - 통일신라 - 출토지 미상 1. 2. 3. 4. 2022. 3. 1.
2021_고궁박물관13_2층_고궁연화3 2021_고궁박물관13_2층_고궁연화3 # 고궁연화 # 3. 500년 거룩한 공 # 침전 영역, 다시 짓다. # 근정전, 지키다. ◆ 향원정_귀주두 *귀주두: 기둥 위에 설치되는 목재. ◆ 향원정_하엽 *하엽: 난간 장식용 목재. ◆ 근정전 주두(柱頭) *주두: 기둥과 공포를 연결하는 목재. # 근정전 보수 # 궁궐 건축에 사용한 물건들. ◆ 향원정 귀익공 일제공 ◆ 향원정 문고리와 오지창 ◆ 용마루 못 ◆ 기와_암키와 숫키와 ◆ 치미_취두 ◆ 거두톱 ◆ 대패, 먹통, 먹칼, 평끌 ◆ 기와틀 ◆ 다지개 ◆ 근정전_반자널 *반자널: 천장을 꾸미는 나무 널 # 고궁연화 # 고궁연화 동영상 2022. 2. 26.
2021_고궁박물관12_2층_고궁연화2 2021_고궁박물관12_2층_고궁연화2 # 2. 진흙속에 묻혀 눕은. ◆ 경복궁 유적 조사 일지 ◆ 야장. 현장 기록 일지 ◆ 소주방 터 발굴 조사 입단면도 # 발굴에 사용된 물건들 ◆ 붓 ◆ 레벨_토지 높낮이 측량기 ◆ 카메라 ◆ 호미와 흙손 # 소주방지 출토 유물 - 소주방지에서는 다양한 도자기와 기와, 금속 기물이 출토되었다. # 기와 파편 # 소주방지 출토 유물 해설 함안요(咸安窯)에서 만들었다. 예빈시(禮賓寺)에 보낸 그릇 ◆ "대(大)"자가 쓰여진 백자 조각. *大: 궁궐의 대전. ◆ "상실(上室)"이 쓰여진 청화백자 조각. *上室: 궁궐의 대전 ◆ "연(延)"자가 쓰여진 청화백자 접시. *延 : ◆ "계묘 웃전"이 새겨진 조각 ◆ 한글로 "무오 영춘헌 고간대듕오듁"(戊午 迎春軒 庫間 大中五竹.. 2022. 2. 26.